-
-
수표교 세책점 -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작 ㅣ 책고래아이들 23
구본석 지음, 반성희 그림 / 책고래 / 2021년 7월
평점 :

안녕하세요?
오늘은 <수표교 세책점> 이라는 책을 소개해드릴게요.
조선시대에도 서점이 있었을까요? 라는 호기심을 갖고 이 책을 읽으면 재미있는 내용이 펼쳐질거예요.
이 책의 주인공 겸이는 가족들이 모두 장티푸스에 걸려 죽는 바람에 외삼촌댁에 가서 살다가
외삼촌이 한양에 가실 일이 생겼을때에 따라가게 된다.
한양에서 외삼촌을 잃어버리고 봉수 라는 형을 만나 한강포구에서 각설이 타령을 하며 생활을 합니다
시간이 흐르고...
봉수는 운종가의 갓 파는 상점에서 일하게 되고
겸이는 수표교 세책점 에서 일하게 되죠.
세책점은 요즘 시대로 따지면 '책 대여점' 에 해당합니다.
몰락한 양반, 중인, 역관, 사대부가의 안방마님들이 돈을 주고 책을 빌려가서 읽고 다시 갖다주지요,
인쇄기술이 없었던 터라 책은 일일이 필사를 하여 진열을 하구요.
주로 중국소설을 언문으로 번역하여 내놓거나 요즘 전래동화로 많이 읽는 심청전, 숙향전, 사씨남정기, 금방울전, 구운몽 같은 언문책들이 깔려있었죠.
겸이가 세책점에서 일하다보니 책을 만드는 장면은 재미있었고
책비 라는 직업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책비는 필사된 책 여러권을 가지고 다니며 예약된 집으로 가서 책을 읽어주고 수고비를 받았던 직업으로
책을 직접 빌리러 가기 힘든 손님들은 책비를 통해 그 시절 바깥 상황을 들었을 것으로 짐작이 됩니다.
겸이는 세책점 주인 나리에게 야단을 들으면서도 책을 좋아하는 아이라서 즐겁게 일을 하는데요.
그리고 어릴때부터 이야기꾼에 대한 동경심이 있었고 관심이 있어서인지
이야기를 짓는 것도 재미있어해서 책을 고칠때에 새로운 결말로 바꾸어 놓는다거나
남는 종이를 모아서 작은 크기로 만들어 이야기를 지어서 좁쌀책을 만드는등
겸이의 모습이 재미있었어요.
조선시대에 사람들은 이렇게 책을 읽었구나 ... 라는 것을 알수 있었던
재미있는 책이었어요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