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학원 가기 싫은 날 ㅣ 작은북 큰울림 9
이자연 지음, 오은정 그림 / 큰북작은북 / 2018년 12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소개해드릴 책은 <학원 가기 싫은 날> 입니다
초등학교 입학전부터 우리나라의 사교육 열풍은 굉장하죠
입학 후에는 학원을 다니지 않는 친구를 찾아보기가 힘든것 같아요
이 책은 학원 수업을 많이 받는 친구들의 생활 모습과 고민들을 담고 있는
동화예요. 자유롭게 놀고 싶은 아이들, 우리 아이가 뒤쳐질까봐 걱정하는 부모님들
과연 정답은 있을까요?
주인공 민호는 학원을 너무 많이 다녀서 스트레스가 최고조에 달했습니다
마음껏 놀고 싶고 학원을 가지 않고 집으로 가는 친구가 부럽습니다
자기도 혼자서 잘할수 있을것 같은데 직장에 다니는 엄마는 학원으로만
내몹니다. 스트레스가 몸이 아픈것으로 나타나서
엄마와 민호는 고민하다가 학원을 가지 않고 혼자서 해보기로 결정합니다
그렇지만 스스로 하는 것이 생각만큼 쉽지가 않죠
놀다가 나중에 한다는 것이 결국 공부가 밀리고
학원에 가지 않았는데도 피곤한것은 똑같고 말입니다
민호는 이 상황을 어떻게 해결해 나갈까요?




사교육에 의존하기보다 필요할때 도움을 받는 식으로 이용해야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저는 이 책을 읽기 전부터 기대감이 있었어요
요즘 아이들이 얼마나 스트레스를 받는지 책을 읽으며 느꼈구요
글쎄요.
제가 직장맘이었고
도저히 아이를 봐주실수 있는 분이 없었고
돈은 넘쳐났다면...
(약간의 과장입니다만....)
저는 사교육을 선택했을지도 모릅니다,
아이들 교육과 육아는 전적으로 부모의 마인드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정답이 없고 자신의 생각에 따라 키워야 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어쨎든 저는 직장을 다니지 않았을것 같고
아이를 직접 키웠고 돈은 당연히 늘 부족하니 돈이 생겼더라도
함께 여행을 간다거나 체험활동을 하는등 평소 모아서 해야했던 것들을
하면서 아이들의 감성을 채우려 했을것 같아요.
이야기 속의 민호는 결국 자신이 흥미 있어하는 분야를 찾아서
스스로 공부하고 자신감있고 즐거운 학교 생활을 하는 것으로 마무리 하지만
현실에서는 학원을 다니지 않더라도
저학년들이 스스로 관심있는 것들을 찾아서 탐구하고
공부하는 모습을 찾는 아이는 천연기념물 일거예요
흥미있는 분야를 찾아주는 것,
책을 좋아하게 만들어주는 것,
계획을 세우고 꾸준히 실천해나가는 성실한 습관
제가 아이들을 키우며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인데요
이 동화를 읽으며 현재 나를 돌아보게 되었어요
학원이 정말 중요한 수단인가? 언젠가는 학원에 의존하게 되지 않을까?
자기주도학습을 우리 아이들이 해낼수 있을까?
스스로에게 질문이 많아졌습니다
학교생활의 가벼운 소재로 쓴 동화라고 밝히셨지만
독자의 가슴에 울림이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