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홍 - 彩虹 : 무지개 ㅣ 김별아 조선 여인 3부작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얼마전 TV 에서 김별아 작가가 나와서 "불의꽃" 이라는 책을 출간했다고 하며 출연한것을 보았다.
"미실" 의 작가라서 이름을 익히 알고 있었는데 무심코 지나가다 앉아서 보게 되었다.
역사속의 여성을 소설로 부활시킨 3부작 중에서 채홍이 1부, 불의꽃이 2부, 그리고 지금은 3부작의 마지막을 집필중이라고 하였다.
마지막의 그 여인은 정말 나쁜 여자 라고 하는데 과연? 여러가지 추측이 생기는 와중에 이 책에 대해서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문종의 두번째 세자빈이었던 순빈 봉씨.
문종이 세자 시절에 벌써 부인이 2번이나 바뀌는 일이 있었다는 것은 그녀들의 문제일수도 있지만 정말 소설에서 말하는 문종이 문제일수도 있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조선시대에는 남자들의 위치가 더 높아서 이런 문종의 문제가 부인들에게 상처를 주고 결국은 부인들만 내쳐지는 상황을 만들었다는것이 안타깝고 더더욱 성군이라 칭하는 세종임에도 이런 결정을 내릴수 밖에 없는 조선의 유교적 상황이 더더욱 안타까웠다.
그래서였을까
순빈봉씨의 동성애적 사랑이 이해가 되면서도 지독히도 외로웠던 그녀가 그냥 그것을 사랑이라 믿어버린것은 아니였는지 하는 생각도 들었다.
신분사회에서 세자빈 이라함은 그 위엄함은 말할것도 없을것인데 세자빈이어도 여자는 여자였으니...
그녀가 그런 상황에서 조금 더 마음을 추스리고 책이라도 보고 다른 모습을 보였다면 역사는 어떻게 달라졌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주인공은 아니지만 세종의 일면을 볼 수 있기도 했는데 직접 순빈봉씨와 하는 대화들은 세종이 성군은 성군이었구나 하는 생각을 들게했다. 특히.. 순빈봉씨에게 사실확인을 위해 물어보는 장면에서는 일반사람도 상상할수 없는 동성애 를 저지른 며느리이지만 노발대발 하지도 않고 자신의 아들에게도 과오가 있음을 생각하며 며느리에게 약간의 자비를 베푸는 모습을 보인다.
소설을 읽고나서 순빈봉씨에 대해 궁금해서 인터넷검색도 해보고 도서관 갔을때 찾아서 읽어보기도 했는데 소설과는 달리 실제로 순빈봉씨는 사가로 돌아와서 아버지에게 죽음을 당했다고 한다.
자식을 죽일수밖에 없는 그 아비도 참 불쌍한 인생이었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