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와 질병 선생님도 놀란 초등과학 뒤집기 27
황성진 지음, 강준구 그림,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감수 / 성우주니어(동아사이언스)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인체와 질병" 편은 우리몸의 각 부분별로 걸릴 수 있는 질병이 소개되고 우리몸의소중함을 깨닫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있다. 

가장 중요한 심장 우리 몸의 혈관에 지방같은 것이 쌓여서 혈관을 막으면 병이 생겨 심장마비나 고혈압. 심장기능부전이 되어 죽음에 이르게 되는데 지금부터 식습관을 고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호흡기관, 소화 흡수 , 배설, 뇌 등등 

우리몸은 하나의 공장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매초, 매순간 모든것들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작동하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에너지가 소모될지 생각하니 복잡하면서도 대단하단 생각이 든다. 

병들고 아프지 않게 건강에 유의해야겠고 아이들이 어릴때부터 건강의 중요성을 주지시켜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지하철역 이정표 도난사건
이세벽 지음 / 굿북(GoodBook)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지하철 이정표 도난사건




지하철에 들어갔을때 사람들이 행선지를 가기 위해 보는 이정표. 또 지금 역이 어디인지 알려주기도 하는 그 이정표가 사라진다면???




음.. 비판을 하고 싶지는 않지만 이 작가에 대해서 가볍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 전에 나온 “사랑 그리고 꽃들의 자살” 이라는 책도 어떤 속설에서 모티브를 받아 쓰게됬다는데 이 책 역시 한순간 아이디어를 얻어 쓱~ 써버린것 같다는 생각이 자꾸 들었다.




쓰게된 목적은 무척이나 좋다. 이 시대에 사람들이 가장 많이 자주 다니는 곳인 지하철역 그곳을 지나가야만 원하는 목적지에 가기 때문에 지하철역으로 비유를 잘 한것은 좋으나 거기에서 엄마를 잃은 철수와 갑자기 철수와 만나서 같이 길을 떠나는 부장판사, 또 꿈인지 현실인지 모르는 아침상마련 하는 부분은 내용의 연계성도 없고 부드럽게 이어지지도 않아서 자꾸 추리하면서 읽어야했다.




또 마치 판타지 같은 현실과는 동떨어진 우체통이 나오는 부분이라든가 꿈과 희망 발전소를 가동시키기 위해서 임신한 아주머니가 나오는 장면.




어떤 책의 결말을 내기 위해서 억지로 여러 가지 줄거리들을 짜낸듯한 이 책에 점수를 주기가 힘들다.




그래도 돈에 노예가 되어 살아가는 돈이 가장 최고라고 생각하는 황금쥐 캐릭터를 보면서 내 삶을 반성했다면 책을 읽은 작은 목적은 성취했다고 할 수 있을까~?




서평을 쓰기 전에 내 생각만 이런 것인지 궁금하여 다른 사람들의 리뷰를 읽어보았는데 대부분 비슷한 생각들이었다. 내가 작가를 해석하지 못한 건지 작가가 소설을 이상하게 쓴건지.. 이 책을 잘 해석하고 작가를 이해한 리뷰가 올라온다면 읽어보면서 내가 이해하지 못한 부분을 체크해보고 싶긴 하다.

 

내용이 궁금하다면 읽어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후아유
임은희 지음 / 반디출판사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평소에 내가 예지몽을 잘 꾸는 탓에 관심이 갔던 책이다 

주인공 아리의 꿈 속에 가끔 등장했던 남자. 

아성에게 차인 후, 우연히 앰뷸런스에 실린 남자를 보고 깜짝 놀란다. 

얼마후 아성이 헤어진 이유가 아리의 친구 원희 때문인게 3분의 1은 차지 한다는 얘기를 듣고 아리는 술을 왕창 마시는데.. 

그리고 화장실인줄 알고 들어간 곳에서 꿈 속에서 봤던 그 남자를 보게 된다. 

그의 이름은 "이언" 

이언에게 아리것이라고 선포하는데.. 

인터넷 소설을 참 오랜만에 보았는데 예지몽에 평소 관심이 많았던 터라 그 주제로 나온 소설 후아유가 재미있었고 감정묘사도 잘 되어 있어서 다른 소설도 읽어보고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혈액 선생님도 놀란 초등과학 뒤집기 24
황성진 지음, 강준구 그림,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감수 / 성우주니어(동아사이언스) / 200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혈액에 많은 관심이 있던 것은 아니지만 이 책을 보면서 궁금증도 생기고 관심도 생겼다. 

옛날 사람들은 열이 나면 피를 뽑아내야 새롭고 깨끗한 피가 생기면서 병이 낫는다고 믿는 이른바 방혈요법이라는 방법을 사용했다고 한다. 그때문에 미국의 제 1대 대통령이었던 조지 워싱턴은 2.5리터의 피를 뽑고 결국 호흡곤란을 일으켜 사망하고 말았다. 

또 혈액형을 제대로 밝히지 못한 예전에는 수혈도 아무 피나 했으므로 10명중 3~4명만 목숨을 구했다고 한다. 

ABO식 혈액형을 밝혀낸 란트슈타이너가 없었다면 지금도 수혈받기전에 잘 맞는 피를 넣어달라고 기도하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강과 바다 선생님도 놀란 초등과학 뒤집기 28
정재은 지음, 이국현 그림, 와이즈만 영재교육연구소 감수 / 성우주니어(동아사이언스)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강과 바다는 매일 매일 빠르게 움직이며 지구의 모습을 바꾸어 놓는다. 이렇게 부지런한 강과 바다 덕분에 지구가 균형을 유지하는 지도 모른다. 

가장 가까운 지구의 바다이지만 아직 인간이 연구하지 못한 분야인 심해도 호기심이 생긴다. 햇빛도 들지 않고 산소도 거의 없는데.. 

생각해보면 생명체들은 대단한 것 같다. 어떤 환경에서도 적응하고 살고 번식하는 것을 보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