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하이츠의 신 1
츠지무라 미즈키 지음, 이정민 옮김 / 몽실북스 / 2020년 9월
평점 :
절판



KakaoTalk_20201005_122042970 (1).jpg

젊은이들의 꿈과 그 노력, 우정, 사랑에 관한 이야기.


일단 1편만 읽어서는 미스터리나 추리는 잘 모르겠다.

그냥...

잠시 나온 고키의 천사가 그들중에 있겠지 싶은 마음뿐...

이 책이 좀 읽으면서 마음에 들었던 결정적인 이유중 하나는...

아마도 여기에 나오는 주인공의 다수가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직업을 갖고있고, 갖고파 하고, 갖으려 노력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슬로하이츠의 주인인 다마키.

그리고 그런 다마키와 함께 슬로하이츠를 구성하고 있는 친구들과 지요다 고키.


책 소개엔 자살사건이란 말이 나와서 그 사건에 숨은 무언가가 있는 줄 알았는데, 일단 그 사건 안에서는 뭔가 특이한 것은 없고 그 사건을 게기로 생긴 고키의 천사에 대한 추리인 듯하였다.

그리고 그 안에서 우정과 사랑, 시기와 질투, 부러움과 응원까지...

딱 20대들의 성공에 대한 감성과 노력들이 엿보였던 책이다.


전체적으로 추리나 미스터리라고 하기엔 장르상 젊은이들의 성장스토리라고 보는게 가장 맞을 듯 싶었던 책!

한가지 좀 특이한 점은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가가미 리리아 정도라고나 할까?

솔직히 내가 느낀 가가미 리리아에 대한 느낌은...

그냥 뭐랄까...

작가의 연막같은 느낌이?(아직 결과를 모르니 이제 막 던진다. ㅠㅠ)


읽는데 힘들거나, 집중이 안되는 것도 아닌데, 요즘 이런저런 일들이 워낙 많다보니 읽는데 다소 시간이 걸렸던 책.


이제 2권을 시작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본은 얄밉지만 돈카츠는 맛있어 반갑다 사회야 25
김해창 지음, 나인완 그림 / 사계절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1.jpg
일본을 좀 더 알아가자!!!


원래 이런 말이 있다.

진짜 상대를 누르고 싶다면 상대를 잘 알아야 한다고...

그래야 이긴다고...


우리는 일본을 잘 모른다.

일단 일본이라고 하면 무시하고 관심이 없는 척 한다.

그런데 이런 우리를 보고 전 세계는 신기해 한다고...

일본처럼 대단한 나라를 아무것도 아닌 한국은 왜 그리 무시하냐고!!!


그런 다른 나라 사람들의 말처럼...

일본을 더 잘 미워하기 위해(?), 일본을 이기기 위해 일본을 조금 더 잘 알아보자는 의도로 만들어진 책이다.
12.jpg

사실 내용을 보면 어른들은 다 한번 이상은 들어본 일본에 대한 내용들이 수록되어 있다.
13.jpg
하지만 아이들에겐???

이 책을 읽기 전엔 돈카츠가 일본 음식이라는 말에 아이들은 적지않게 당황했다.

그냥...

우리나라, 혹은 서양의 음식인 줄 알았는데 일본음식이라니...!!!

(원조 카레는 인도 음식이지만, 지금 우리가 먹는 카레는 사실은 일본에서 들여온건데 말이다.)
14.jpg
우리와 일본이 왜 이리 사이가 나빠졌는지 기장 기본인 역사를 소개하고 있다.

이런한 사실 때문에 우리는 일본이 나쁘다고 배워왔고, 그리거이 상대도 하면 안되는 암같은 존재로 배워왔다.

(그런데 지난해부터 생긴 불매운동까지... 쩝! 그건 그들이 자초한거니...)

15.jpg

저자는 그렇기에 일본도 어쩌면 아픔이 있다고 알려주지만...

일단 나같은 경우엔 이미 일본에 대한 감정이 기본적으로 나쁘게 자리잡고 있다보니 썩... ㅠㅠ


우리와 가장 가까운 나라인 일본!

그렇기에 떼어놓고는 그 무엇도 하기 어려운 나라가 아마 일본이 아닐까 싶다.

그런 사실로 인해 우리는 일본을 더 잘 이해하고, 그들을 더 열심히 알아가야지만 그들에게 또 다시 우리의 주권을 빼앗기지 않고 동등한 입장에서 함께 나갈 수 있지 않을까?


그나저나...

내용은 중간중간 만화와 그림이 섞여있어 아이들 혼자 보기에도 어렵지 않아서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다섯 마리 개
앙드레 알렉시스 지음, 김경연 옮김 / 삐삐북스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DSC00003.jpg

인간에게 과연 행복이란 무엇일까? 지능이 있어서? 아니면...


신들의 장난으로 15마리의 개들에게 인간의 지능이 생겨났다.

물론...

그건 개들을 위하거나 인간을 위해서 한 것이 아닌 단순한 자신들의 재미를 위해서 시작된 사건!


물론 개들에게 인간의 지능이 생겼다고 바로 인간처럼 생각하거나 행동하진 않는다.

인간이 유인원에서 진화했듯 개들도 조금씩 진화를 거듭해 나간다.


처음 이 책의 소개를 봤을 땐 아이들 용으로 나온 개와 고양이를 의인화 한 책과 유사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직접 책을 읽으면서 느낀 사실은...

아이들은 절.대. 읽을 수 없을만큼 오묘하고 난해하다는 사실이다.


물론 결론은 이거다.

과연 내 자신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고민하고 또 고민하는 것!


사실 신들은 개에게 인간의 지능을 주고 그것을 바라본 것처럼 소개하지만 이 모든 것은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이 세계에서의 인간 하나하나의 면모를 보여준다.


새로운 것이 들어와도 그 자리에 안주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새로운 것을 받아드리고 실천해가는 사람이 있고, 또 누군가는 그 새로운 것을 갖고 새로운 기득권을 쟁취하려 드는 모습들을 개를 통해 묘사하고 있다.


어른들은 이렇게 말한다.

중간만 가라. 나서지도 말고, 뒷쳐지지도 말며 중간만 가고 그 곳에 순응하라고...

어릴땐 그 말이 가장 듣기 싫은 말이였는데, 지금은 그 말이 가장 지키기 어려운 말임을 나는 알고 있다.

그리고...

그런 삶이 어쩌면 가장 행복한 삶이라고 저자도 나와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런지...


그나저나...

난 왜케 이 책이 어려운 것인지... ㅠㅠ

작가에겐 많이 미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없는 게 아니라 낭만적인 거예요 - 한번 사는 인생, 하고 싶은 거 하고 살아야지
응켱 지음 / 필름(Feelm)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DSC00002.jpg

31살에 자신의 꿈을 찾아 새롭게 시작한 저자의 이야기.


어른들이 보면 대책없고 철없는 것이고, 동기들이 보면 용기있는 것이지만, 정작 본인은???

저자는 잘 나가던 회사의 안락을 포기하고 자신의 꿈을 위해 새로운 인생을 시작한다.


하지만 그런 모습을 봤을 때... 당신은 저자가 어떻게 보이는가?

아마 나처럼 비슷한 심정일 것이다.

'용감하지만... 대책은???'

그럼 부모님의 입장에선?

답답한거지... ㅋㅋㅋ


그런 어른들의 주변 시선에 저자는 말한다.

이게 뭐 어때서? 라고...

그리고 자신의 이런 선택에 대해 사람들에게 말한다.

"별거 아니에요. 그냥... 시작한 겁니다."라고...


부모가 자식을 키울 때 가장 고민되는게 있다.

과연 잘하는 것을 시켜야 하나, 좋아하는 것을 시켜야 하나.

여기에 정답을 제시해 준 사람이 있는데 누군지 보다 결론부터 말하면 "좋아하는 것"을 시켜라 이다.

결국 인생은 길기에... 좋아하는 일을 계속하지 않고 잘한다고 밀어붙이면 결국 지쳐서 끝까지 완주가 안된다는 것이다.


이렇듯 저자는 가장 기본에 충실하게 "좋아하는 것"을 선택했고, 그 선택에 주변 시선에 흔들림 없이 쭈우욱 가는 그 모습에 박수를 보내며, 나도 용기를 좀 내보고 싶다.

나는 저자에게 이렇게 말해주고 싶다.

철없는게 아니라 용기있는 거에요. 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 가장 높은 곳의 정원 라임 청소년 문학 44
버지니아 아론슨 지음, 김지애 옮김 / 라임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DSC00001 (2).jpg

미래에 대한 생각을 하게 만들어주는 청소년 강추도서!!!


예전에 어느 서울대 교수가 한 말이 있다.

자신의 아이에겐 농업을 전공시키겠다고...

왜?

미래엔 가장 중요한게 먹거리라는 말이다.

물론 바이러스도 있지만 기본에 충실한... 의.식.주 중에서...

아마 사람을 지배할 수 있는 가장 큰 힘은 식에 있다고 말이다.


이 책은 이런 식생활에 대한 미래를 말하고 있다.

3D프린터로 뭐든 만들어내고 있는 작금의 시대!

미래엔 이 3D프린터로 음식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책에 녹아내고 있다.


하지만 사람의 가장 기본적인 본능인 먹는 본능!

맛에 대한 본능은 아마도 없애지 못하는 가장 큰 본능이라고 저자는 생각을 하고 있었나보다.

그렇기에 이런 책을 쓸 수 있었겠지???!!!


주인공 조니는 양성애자다.

그러니까 스스로 성별을 결정할 수 있다고...(솔직히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이조차도 놀라운 결과는 아니다. 너무 당연한 이야기의 흐름일뿐!!!)

그리고 온 가족이 열심히 노력하지만 가장 기초적인 의/식/주를 해결하기위해 고군분투를 하지만 이마져도 정말 살.기.위.해.먹는 것일뿐 진짜 맛있어서 먹는게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주인공 조니는 인간다움을 찾기 위해 공원만들기를 시작한다.


인간의 가장 기본 본능인 의식주!

이 의식주를 위한 주인공의 노력과 그런 주인공의 모습을 그려낸 책!


사실 이 책이 아이들 용이라 그런지 뭐 크게 주인공이 힘든 일은 안생기지만...

삶에 대한 이유와, 과연 지금 우리가 이렇게 살아가는게 옳은지에 대해서는 많은 고민을 하게 만들어 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