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아 있는 자를 수선하기
마일리스 드 케랑갈 지음, 정혜용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6월
평점 :
심장장기이식에 대한 심리묘사가 돋보이는 이야기
사실 이 책은 난 심장이식을 하는 과정과, 그 급박한 상황에 대한 상황 묘사가 더 많을꺼라 생각했는데, 예상이 확.실.하.게. 빗나가 버렸다. ㅠㅠ
이 책은 그런 상황정 묘사보다는 각 사람들의 심리적 묘사가 더 강하다보니 사건의 진행에 대한 기대를 한 나같은 사람에겐 다소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는 책!
게다가 그냥 코마에 빠진 기증자와 그의 가족, 그리고 이식을 받는 수해자의 심리뿐 아니라 진행하는 의사들, 간호사들까지의 심리와 그들의 상황까지도 설명해 놨다보니 '이 이야기가 여기서 왜 나오는거지?'란 짜증까지 살짝 났다.
이 책은 서핑을 좋아하는 시몽이 교통사고를 당하면서 시작한다.
안전벨트를 매지 않아 결국 코마에 이르게된 시몽.
하지만 그의 나이가 아직 19살이라... 그냥 죽기엔 다소 아까운 장기들!
결국 병원 관계자들은 시몽의 상태를 코마.
즉 뇌사로 판정하고 뇌가 죽었기에 더이상 처치를 하는 것은 무의미 하다고 판단하고 시몽의 부모님에게 장기이식을 진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하지만...
이게 말처럼 바로 "OK"할 수 있는 일이 아니지.
자식을 잃은 슬픔도, 아니 자식이 깨어니자 못함을 인지한지 불과 몇시간만에 시몽의 부모는 자식의 장기를 적출하는 것에 동의할 것을 요구받는다.
(물론 강요는 아니다.)
헌데 우리나라도 프랑스와 같은지 모르겠지만...
프랑스의 경우엔 부모의 선택으로 장기이식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기부자의 평소 생각.
즉, 평소에 장기이식을 원했단 의사에 대한 합의가 있어야만 가능하다고...
결국 시몽의 부모는 시몽이 사후세계를 믿었다는 말로 시몽의 장기기증을 인정한다.
아마 여기까지의 이야기가 이 책의 60%는 차지하는 듯...
그 다음은 수해자의 이야기, 그리고 심장이식 권위자인 의사 등에 대한 심리묘사와 그들의 업무에 대해 나온다.
그렇다보니 앞에는 자꾸 지루하단 느낌이... ㅠㅠ
빌 게이츠가 극찬했다고 해서 봤는데...
일단 하나도 무섭지도 않고, 둘째로 난 읽는데 좀 힘들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좋았던건...
또 다시 생각하게 된 장기이식.
과연 나라면...
어떻게 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