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7년 6월
평점 :
매일 조금씩 가족과 이별하는 치매 노인과 가족의 이야기.
이 책은...
호불호가 좀 심하게 갈릴꺼 같다.
남들은 이 책을 읽고 감동을 받았다, 울었다 뭐 그러는데...
미안하지만 난... 한참을 읽고 또 읽고, 앞에 봤다가 뒤에 봤다가를 반복해야만 했다.
그도 그럴것이...
이 책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보는 시간적, 공간적 흐름을 전적으로 무시해버린 소설이기때문이다.
치매에 걸린 할아버지.
할아버지 자신도 안다.
자신이 치매란 것을...
하지만 자신의 기억이 조금씩 조금씩 머릿속에서 사라지는걸 두려워 하기도 하고, 한편으론 가족들에게 미안해 하기도 한다.
그런 주인공 할아버지의 곁엔 손주인 노아가 있다.
노아는 그런 할아버지옆에서 손을 꼭 잡아드리고, 할아버지가 잃은 기억으로 고통스러워 할때는 옆에서 지켜봐주기도 하고, 특히 할머니에 대한 기억이 점차 사라져 갈땐 할아버지에게 할머니에 대한 기억을 되돌려주는 역할을 한다.
아들에겐 바빠서 못해준 것들을 손자에게 해주다보니 아들보다 더 가까워진 손자.
게다가 원래 유전은 한대를 건너뛰고 나타난다고 하던가?
아들보다 더 자신과 닮은 손주와 가까워지는건 어쩌면 당연한 이치였는지 모른다.
현실에서, 자신의 기억에서...
치매로 인해 하나씩 잊혀져 가는 모든 것들을 아쉬워하는 할아버지.
그런데... 맨 마지막에... 노아가 말을 한다.
"이제는 제가 선생님이 되었어요~"
그리고 한 손으로 자신의 딸의 머리를 쓰다듬는다.
우리가 기억하는 기억이 100이라면... 시간이 흘러흘러 벌써 할아버지의 기억은 10이나 혹은 20밖에 남아있지 않은 상황.
그래도 다행일까?
할아버지는 노아를 기억하고, 노아 또한 할아버지의 기억을 잠시나마 돌릴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죽음을 준비해 가는 것!!!
중간에 노아가 말한다.
할머니는 몸이 먼저 아프셨지만, 할아버지는 머리가 먼저 아프신거라고...
감정이 메말라 그런건지~
전혀 안슬펐던 책!
울줄 알았는데...
말똥말똥 눈뜬채 읽었던 책!
작가에게 좀 미안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