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집인 줄 알고 샀더니 인터뷰는 한 챕터만 할애하고 팀버튼의 영화론 또는 잡지의 기획기사글이다. 인터뷰를 선호하는 까닭은 인터뷰글이 생각보다 어렵지 않으면서 감독의 즉흥적인 다른 면을 많이 읽어낼 수 있다. 이 책에서 인상적인 것은 팀버튼의 디즈니에 대한 혐오, 뭐 팀버튼이 워낙 데뷔 초부터 자기는 디즈니의 이쁘고 귀여운 그림 그리는 거 죽어도 싫다고 떠들어대서 알고는 있었지만, 디즈니에 대한 혐오가 이 정도인 줄은 몰랐다.  하지만 팀 버튼의 지금 영화이미지와 테크닉이 완성된 뒷 배경에는 디즈니 영화를 보고 자란 세대들의 영향력 또한 없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림책계의 거장 모리스 센닥의 화풍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한 것은 어린 시절 보아온 디즈니의 애니였으며 토미 드 파올라가 그의 챕터북 26Fairmount Avenue 에서 묘사한 백설공주를 처음 영화관에서 봤을 때의 그 흥분감을 읽었을 때 드는 생각은 팀 버튼 윗 세대 그 누구도 디즈니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는 것이다.  

 

현재 팀 버튼은 세인 애커의<9>이라는 단편영화를 장편으로 만들고 있다고 한다. 점점 팀 버튼의 영화에서 색이 없어지는구나. 개인적으로 난 그의 알록달록한 그의 초기작같은 작품을 다시 보고 싶다.  

지금까지 읽어본 아이들 챕터북중에서 가장 재밌게 읽는 책을 들라하면 난 이 토미드 파올라의 이 시리즈를 꼽겠다. 흔히 재밌다는 소문이 무성한 여러 챕터북 시리즈들 한 두권 정도 집적거렸는데, 내가 그림책 작가들에게 흥미를 느끼고 좋아해서 그런지 이 토미 드 파올라의 어린시절을 엮은 챕터북이 제일 재밌더라. 30년대 이탈리아 가족의 끈끈한 가족애을 이 보다 더 훈훈하게 묘사할 수 있을까. 이 책중에서 디즈니의 <백설공주>가 처음으로 상영돼, 극장가서 보는 장면이 나오는데, 작가의 어린 시절의 그 흥분감이 그래도 전달된다. 볼 것도 많지 않는30년대에 백설공주는 얼마나 매력적인 캐릭터이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진리뷰] 데이비드 위즈너 그림책 리뷰 작성해 주세요~ 5분께 2만원 적립금을 드립니다!!
구름공항 벨 이마주 28
데이비드 위스너 그림, 이상희 옮김 / 중앙출판사(중앙미디어)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외국 그림책 작가들 특히 서양쪽 작가들은 그림을 정말이지 참 잘 그려요. 그림뿐만 아니라 상상력도 풍부하고 치밀해서 정교하다고 해야하나 테크닉적이라고 해야하나...그림 속에서 뭐하나 버릴 게 없더라구요. 저 같은 경우는 그네들의 그림책 한권한권 보다가 그들의 뛰어난 상상력때문에 수집하는 대상이 점점 많아지게 되는데요.  

예를 들어, 아이들에게 보여줄 생각으로  아무 생각없이 산 알파벳 북 같은 경우도 이 작가 저 작가의 알파벳북을 뒤적이다가 작가들이 글자 하나로 펼쳐내는 뛰어난 상상력을 보고 감탄해서 소유하고 싶다는 생각에 알파벳책을 모으게 되고, 어떤 하나의 이야기를 이미지화하는데 작가들 저마다 다 다른 상상력을 동원하다 보니, 이 작가는 이 장면을 어떻게 표현했을까 싶어, 같은 이야기라도 다른 버전의 <신데렐라>나 <눈의 여왕>같은 책을 수집하게 되더라구요.(요즘은 호두까기 인형에 필 받아서 모으고 있는 중)  워낙 외국의 경우, 일러스트의 역사가 오래 되고 층이 두꺼워서 뛰어난 작가들이 많이 나오는 것 같아요.  

데이빗 위즈너같은 경우는 두말 할 필요가 없는, 이 작가는 상상력뿐만 아니라 사고하는 방식도 독특한 사람이라서  <허리케인>을 보면 위즈너가 그림뿐만 아니라 글을 참 잘 쓴다는 것을 알 수 있거든요. <아기돼지 세마리>같은 경우는, 아기돼지 삼형제의 패러디인데, 제가 아기 돼지 삼형제를 패러디한 작품을 몇 작품 아는데, 그 중에서도 이야기의 전형성을 넘어선, 이야기의 경계를 흐트려서 이야기의 안과 밖이 존재하는 가장 독특한 아기돼지 삼형제였어요. 여하튼 그림책의 포스트모던은 이런 작품이 아닐까하고 생각했던 그림책이었어요.(내용 보시면 이 말이 무슨 말인지 수긍하실 거예요.)  

데이빗 위즈너의 그림의 특징은 말없는 그림책이라는 것도 있지만 이 작가가 선호하는 이미지가 플라잉 또는 플로팅의 이미지가 상당히 강해요. 그림책 어디서든지 날아다니거나 떠 다니는 이미지를 볼 수 있거든요. 사실 전 위즈너의 그림책들을 보면서 그가 선호하는 이미지가 있는데, 그게 뭘까하고 그 이미지의 패턴이 잡힐 듯 하면서 명확하게 안 떠올랐거든요. 그런데 의외로 <시간상자>의 바닷속에서 떠다니는 물고기를 보고 그리고 제목이 flotsam 이라는 점에 힌트를 얻어서 아, 이 위즈너가 좋아하는 이미지가 바로 이거구나하고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리고는 그의 다른 모든 작품들을 들여다 보니깐 바로 그 플라잉의 이미지들이 작품의 한 두 장면에는 꼭 끼여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구름이 여러 형태를 만들 수 있다라는 <구름공항>의 아이디어는 그렇게 특별한 것은 없는데(구름공항이 존재한다는 아이디어가 더 신선한), 구름들이 일반적인 구름 모양을 거부하고 생물이나 사물의 형태로 여기 저기 떠돌아 다니는 모습을 유머스럽게 표현했고, 풍부한 상상력과 그 상상력을 뒷받쳐주는 섬세한 그림이 멋진 작품입니다. 

 제가 글자없는 그림책은 읽어주기가 참 난감해서 아들에게 이 친구가 뭐라고 했을까하고 적어보라고 해서 적은 글, 7살때인가 적어서 철자도 다 틀리고 그러네요










상상력도 상상력이지만 이 작품이 45페이지에 불과하거든요. 근데 이야기의 완결이나 구성이 탄탄해요. 뭐 어떤 부분적인 이야기를 담은, 쪼가리 이야기도 아니예요. 상상력은 그림만으로 보여 줄 수 있지만 이런 이야기의 완결도 상당 부분 차지한다고 봐요. 그게 어떨 때는 진짜 부러울 때가 있어요. 저의 나라 교육 시스템(학벌위주의)으로는 이런 작가가 나오기도 힘들고 사실 나올 수도 없다고 생각하거든요. 이런 상상력이 풍부하고 이야기도 탄탄한 작품이 나오기 위해서는 그 아이가 사물을 생각할 수 있는 시간과 여유가 있어야하는데, 우리의 현재 교육 현실에는 어떤 사물이나 상황을 천천히 뜯어보고 조립할 수 있는 시간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고 봐요. 몇 달전에 읽은 <생각의 도구>라는 작품이 있는데, 그 책의 요지가 천재가 될 수 있는 조건들, 예를 들어 유추,관찰,패턴등의 여러가지 조건들이 나와요. 그런데 그 책을 읽고 나서 100% 그 작가들의 말에 수긍을 하면서도, 과연 이러한 조건들이 우리의 교육현실에서 충족될 수 있을까싶더라구요. 이러한 조건들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성숙이라는 어떤 정신적인 힘과 가장 중요한 시간적 여유가 있어야 하는데 우리 아이들에게 과연 시간적 여유라는 사치가 존재할 수 있을까 싶더라구요. 존 버닝햄이 2006년에 우리나라를 방문하고 떠날 때, 학원에 쫒기며 사는 우리 아이들을 위해 부모들에게 남긴 말이 있어요. 아이들에게 꼭 혼자 있는 시간을 주라고 말이예요. 아이가 혼자 있는 시간은 사고하고 무엇인가를 창조할 수 있는 시간인데, 그런 시간이 우리들에게 있을 수 있느냐하는 것이죠. 이런 데이빗 위즈너의 상상력 정도 나오려면, 아마도 우리 아이들은 낙오자라는 이름의 딱지가 붙을 거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실 이 책은 몇 년 전에 한림출판사에서 매달 받아보는 달맞이책에서 받아 보았다. 그런데 왜 관심가는 신간이냐고? 문제는 조카가 기차를 좋아하고 이 책을 좋아하는 것 같아 옛다! 선심 좋게 선물하고 다시 사려고 했더니 품절이 되버린 책이라는 것. 일본아마존에서 구입할까하다가 언니네 있는데 궂이 비싼 돈 주며 살 필요가 있을까 싶어, 그럴바에는 다른 책을 사는 게 더 낫지 싶어 구입을 미룬 차에 신간으로 나왔다. 이 작가는 기차만 전문으로 그리는 작가인 것 같다. 그의 작품 검색해 보면 기차 앞머리가 표지를 장식한 작품만 우수수 나오는 걸로 봐서는. 이 작품도 기차가 달리는 주변 경관이 은근 향수를 일으키는 책인데 이 책하고 계속해서 눈여겨 본 작품은 바로 밑의 그림책. 가격도 저렴하고(880엔)..엔화 오르기 전에 주문했어야 하는데, 지금 살펴보니 두 권 일본에서는 품절이다. 헌책 가격이 만만치 않은데 여기나 거기가 품절되면 값이 오르는구나. 

チンチンでんしゃのはしるまち―わくわくにんげん (かがくのとも傑作集) 

 

 

 

 

 

 

 

 

 


 

 

 

 

 

 

애아빠 회사에서 복지로 일년에 한 180만원 돈 나오는데, 쓴 내역서 보면 알라딘 아니면 예스다. 그뿐만 아니라 월급에서도 책 구입비가 만만치 않는데, 왜 사도 사도 책은 더 사고 싶은 걸까. 진짜 이해할 수 없는 현상이다. 이제 산 책들 읽기만 하면 되겠지 싶으면 쏟아져 나오는 신간들. 이번 한달도 그만 사야지 했는데 위의 책들이 눈에 아른거린다. 미치것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로야, 힘내 아이세움 그림책 저학년 33
후쿠다 이와오 지음, 김난주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후쿠다 이와오는 뛰어난 테크닉을 구사하는 그림책 작가는 아니지만, 그가 아이들의 일상을 따스하게 또는 심술궂게 담아내는 편안한 그림을 보고 있노라면 빙그레 웃음이 절로 나온다. 아이들보다 더 후쿠다 이와오의 열혈 팬인 나는 아이들과 함께 그의 책을 읽어줄 때는 어떻게하면 그의 작품을 아이들에게 더 재밌게 전달할까 고민 아닌 고민을 하게 된다. (차라리 그 시간에 김치 담그는 방법을 고민하면 좋을텐데...하는 생각이!)  

작가가 그림책의 그림을 그릴 때는 아이들에게 자신의 최대 역량을 보여 주려고 노력을 한다. 그림책 장면마다 존재하는 사물이나 인물은 그냥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작가 나름대로 있어야 할 위치와 존재 이유를 무수히 많은 스케치를 통해 구성하고 확정한 후에 내 놓는 것이라고 믿는다. 그래서 어떤 작가는 이야기의 핵심이 되는 인물들만 남겨 놓은 채 세밀한 배경을 확 뺄 수도 있고 어떤 작가는 화면에 애정을 갖고 세밀한 배경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후자의 경우, 나름 자신이 바라보고 생각한 또 하나의 배경 이야기를 독자인 우리가 무시하기 보다는 아이들하고 그림책을 더 재밌게 바라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후쿠다 이와오의 <고로야,힘내>는 아이들의 정말이지 평범한 일상이 그대로 담겨져 있다. 이 평범한 일상의 이야기중에 발생한 작은 사건의 발단은 다쿠야란 소년이 기르던 늙은 개 고로가 나이가 들어 산책을 가다 쓰러지면서 소년의 친구들이 고로를 소년의 집으로 옮겨가는 과정을 그린 이야기 그림책인데, 이 책 중에서 롱 숏으로 뺀 이런 장면이 있다. 



이 장면은 다쿠야가 늙는 개 고로를 강변에 있는 공터에 막 도착한 장면인데, 이때 늙은 개 고로가 쓰러지기 일보 직전의 배경 모습이다. 이 장면을 처음 봤을 때, 왜 롱숏으로 뺐을까하고 궁금했었다. 고로를 산책시키기 싫어 투덜 댄 다쿠야와 늙은 개 고로의 지친 모습을 클로즈업 시키면 뒷장면에서 쓰러지는 고로와 연결되어 더 낫지 않았을까하고 생각했던 장면인데, 작가의 생각에는 고로를 다쿠야의 집까지 옮겨주는 다쿠야의 친구들을 먼저 보여주기 위한 의도가 더 컸던 것 같다. 작가의 의도가 다쿠야의 친구들을 보여주고 공터의 활기차고 생생한 장면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보니, 생각지 않게 이 장면에서 이야기거리가 많았다.  이왕 작가의 의도가 뭐든 간에 아이들하고 공터에서 벌어지는 여러 장면들을 가지고 그 곳에서 무슨 이야기가 오가고 무슨 일이 생겼는지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야, 공 놓치면 어떻해!  내가 잡을께! 또는 아싸, 우리가 한점 땄다!  


이 아줌마들도 엄마처럼 뚱뚱하다. 푸하하핫 이 아줌마가 제일 많이 살 쪘다. 엄마도 이 아줌마들처럼 운동 좀 해서 살 빼.



내가 상대해주지, 나는 천하무적맨이다.  내 칼은 돌도 깰 수 있어! 너를 없애는 것은 아무것도 아냐! (이런 말들이 오가지 않았을까하고 아이들하고 상상의 나래를 펴는 것도 재미있다. 아이들이라서 저기 저 연인들의 모습에 관심이 없더군요. ) 

작가가 제공하는 예기치 않은 이야기의 여백속으로 빠져 들어, 아이들하고 이 한 장면 가지고도 이런저런 상상의 나래를 펼치며, 즐거운 한 때를 보내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어떤 때는 객관적으로 비춰볼 때, 좀 유치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과연 이렇게 하는 것이 아이들의 독서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하는 회의가 들기도 하고. 3학년을 마치고 학교에서 나눠 준 아들애의 성적표에는 독서력 미흡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나온 결과를 봐서는 지금까지 아이들에게 읽어주는 행위가 그렇게 아들의 독서력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하지만 내가 궂이 이렇게 하는 이유는 아이가 좀 더 좋은 작품을 만났을 때, 작가가 보여주는 모든 것을 볼 수 있도록 아이가 볼 수 있었으면, 그리고 그리고 그 작가의 의도하지 않았던 틈새까지도 아이가 발견ㅐ 자신만의 해석력을 가질 수 있는 아이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선정한 OOO을 위한 추천도서!

저는 일러스트에 관심이 많아서 그림책에서 한 장면이라도 맘에 들면 내용 불문하고 구입하는 편이거든요. 어디에선가 보니, 그림책은 작은 미술관이라는 책도 있던데, 저는 그 작가에 말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순수 미술가만 예술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책 작가들도 나름 자신의 스타일을 만들어가고 자신만의 독특한 예술관을 그림책에 담아내고 있거든요. 같은 이야기라도 작가들마다  이미지를 잡아내는 해석이 다 틀립니다. 그림책은 아이들이 보는 것이라는 인식에서 조그만 벗어날 수 있다면, 더 넓은 그림책의 세계를 접할 수 있고 그림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수만 가지나 널려 있는데 말이예요. 이건 저만의 그림책을 바라보는 방법입니다.                                

배현주는 그림의 라인이 참 이쁜 작가이다라는 생각을 하곤 해요. 처음 이 작품 나왔을 때, 멋모르고 주문했다가 받자마자 대박을 터트렸다는 느낌이 확 든, 어쩜 라인이 이쁘고 곱던지....이쁘고 곱다고 해서 그림이 화려하거나 장식적이진 않아요. 오히려 이 작품은 장식적이었다면 소녀의 표정이나 감정은 장식에 묻혀버렸을 거예요. 정성스레 한땀 한땀의 수를 놓은 것 같은, 한 장면 한 장면의 일러스트는 소녀의 새해 설빔의 설레임을 라인만으로 충분히 정갈하게 표현하고 있다고 봐요. 



 

장면을 찍을 때 좋아하는 이미지가 두 장면이 있어 고민을 좀 한 작품인데... 아랫 장면으로 선택했어요. 다른 한 장면은 고양이 친구가 빗소리에 잠에서 깨 앉아 있는 모습이예요. 지금은 아파트 살아서 밖에 비가 오는지도 안 오는지도 잘 모르고 사는데, 80년대만해도 거의 단독주택 살던 시대라 밖에 추적추적 비가 오면 빗소리에 잠이 깨던, 아침이 밤처럼 어둑어둑해서 묘한 기분을 경험한 세대여서 그런지 그 장면이 좋더라구요. 밑이 장면은 구름빵을 먹고 둥실둥실 떠 오르는 장면인데, 저랑 아이들이랑 이 장면보면 다들 아, 나도 구름빵 먹고 싶다라는 말들이 절로 나오더라구요. 유머스럽진 않지만 아주아주 유쾌한 감정을 유발하는 장면이예요. 
 

 

 

순이가 영이를 잃어버리고 영이를 찾아 돌아다니는 모습인데, 이 책의 판형이 길어서 저 장면보다 담벼락이 더 길게 표현되어 있어요.영이를 찾아 돌아다니는 순이의 발그레하게 상기된 얼굴에 나타난 당혹감과 두려움이 너무나 잘 포착되어 있어요. 이런 장면을 볼 때마다,순이의 감정이 독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독자의 감정을 끌어들이는 것 같은 그림책 작가들의 이미지에 대한 예리한 포착 감각이 굉장하다는 생각이 들곤 해요.

 

저는 이 작품뿐만 아니라 다른 작품에서도 이 작가가 표현해내는 거대한 적막감을 참 좋아하거든요.  배고픈 여우가 먹잇감인 토끼를 쫒아가다가 겨울의 황량한  언덕위에서 또 다른 세계를 접하는(여우의 환상이라고 해야하나요!) 장면인데, 찰흙같이 어둡고 적막한 숲에서 달빛을 받아 나무가 만들어내는 이미지가 웅장하게 펼쳐지는, 그 상상력이 너무나 멋진 장면이예요. 판화를 이용해서 어떤 장면은 라인이 너무 거칠고 투박한 장면들도 있어요. 좀 더 섬세한 라인으로 잡았으면 하는 장면들도 있고요. 하지만 그러한 단점을 상쇄할 정도로 이 작품은 작가의 상상력이 너무 웅장하고 멋진 작품이라고 생각이 들어요.

  

  

 
쥐들이 너구리의 양식을 훔쳐, 너구리 가족들이 쥐들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쳐주고 집까지 지어주는, 한 7살까지 먹힐 수 있는 아기자기하고 귀여운 일러스트의 그림책입니다. 아마도 이 책의 백미는 너구리가 도둑쥐에게 지어진 집이 아닐까해요. 너구리와 도둑쥐들이 설계도를 손에 쥐고 열심히 열심히 만든 집인데,  이 집 장면은 아이들에게 읽어주면서 많은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이야기가 한 보따리 가득 담긴 장면이예요.  

 


울 아이들에게 이 책 읽어줄 때는 한영애의 <조율>을 세팅하고 읽어주는 책입니다. 음향효과를 위해서...가 아니고  사실은 아이들이 이 책 자기네들은 너무나 별로라고 해서(그림도 싫다. 할아버지가 술 취해서 싫다 등등의 이유로), 그런 수고까지 곁들여야지 아이들을 붙잡고 읽어줄 수가 있거든요. 이 책은 전적으로 제가 좋아하는 그림책입니다. 다시마 세이조가 생각보다 매체의 표현력이 굉장한 작가거든요. 이 작가의 작품중에서 제목은 모르지만 열매씨로 분노를 표현한 그림책이 있어요. 열매씨로 표현하고 작품의 전체적인 배경이 시뻘개서 실험적이다보니, 첫 눈에 호감은 가지 않아요. 하지만 찬찬히 내용을 뜯어보면 분노의 느낌이 어떻게 와해되어 다시 처음의 본 모습으로 돌아오는지, 그 표현 표현 하나가 뭉클하게 와 닿는 그 무엇이 있더라구요. 그 작품을 계기로 다시마 세이조의 작품을 찾아 보게 되었는데, 이 장면은 제가 젓가락 두들기며 동참하고 싶을 정도로 흥이 나는 작품입니다. 아이들이 이해하기에는 약간 무리가 있지만..... 다시마 세이조는 순수 미술를 그렸더라도 멋진 작품이 나왔을 거예요. 



제가 언제나 겨울에는 제일 먼저 꺼내 아이들에게 읽어주고, 마음 속에 담아두는 장면입니다. 이 장면보고 있으면 속 상했던 모든 것들이 이렇게 눈 속에 다 묻혔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어요.

 

 

  

 



글은 상당히 짧은데, 문장문장 하나에 생각거리는 많이 담겨져 있는 그림책입니다. 저의 아이들도 이 책 참 좋아하고 혼자서 곧잘 읽곤 하는 책인데, 이 책의 일러스트 중에서 엄마가 이불 속에서 눈물을 뚝뚝 흘리는 장면이 있어요. 그 때 뭐랄까, 순간적으로 감정이 멈칫했어요. 저도 그런, 엄마가 아빠때문에 속이 많이 상해서 저희들 몰래 울었던 시절이 있었고 다시 그 때를 떠오르면서 다 지나간 일인데도 감정의 무거움이 환기되었거든요. 초 신타의 그림 표현대로 바로 그 때의 저의 마음이었어요. 장황한 글이 아닌 단 한점의 그림으로 마음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 정말 멋지지 않나요?

 


잠꾸러기 수잔 시리즈는 우리 아이들이 너무 좋아해 한림 출판사에서 나온 달맞이때부터 모아 온 그림책인데, 사실 내용은 뭐 그렇게 볼 거 없는데, 옛 유럽식 정취가 푸근하게 와 닿는 그림책이예요. 특히나 저는 장면, 작가가 서점 가판대에 은근 슬쩍 끼워넣은 잠꾸러기 수잔 시리즈 그림책이 담겨져 있는 저 장면을 좋아해요. 서점 뿐만 아니라 책이 있는 이미지라면 사족을 못 씁니다.

 

 

  

이왕 책 이미지를 좋아한다고 했으니깐,  고양이가 책을 흐트려놓는 이런 장면이 들어 있어도 구입 마다 하지 않습니다.

 

 

 

 

 

일본 작가들 먼저 추천하는 바람에 다른 외국의 작가들을 하나도 소개를 못 했네요. 생각보다 페이퍼가 시간을 많이 잡아 먹어요. 이제 애들 올 시간이라 청소하고 점심 차려야 하는데..... 다음엔 다른 외국 작가들 소개하렵니다. 그리고 다시마 세이조의 열매씨를 이용한 그림책은 바로 이거예요. 

ガオ(こどものとも絵本) (こどものとも傑作集)

마지막으로 태백에 비가 시원스럽게 내리길 바라며....요츠바랑으로 끝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