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음의 에티켓 - 나 자신과 사랑하는 이의 죽음에 대한 모든 것
롤란트 슐츠 지음, 노선정 옮김 / 스노우폭스북스 / 2019년 9월
평점 :
‘나 자신과 사랑하는 이의 죽음에 대한 모든 것’이라는 부제가 달린 <죽음의 에티켓>은 독일의 언론인 롤란드 슐츠가 썼습니다. 그는 이 책에서 모든 사람들이 겪게 될 생의 마지막 여행에 대한 설명을 담았습니다. 우리가 애써 외면하려고 하는 죽음의 본질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죽음을 앞두고 준비해야 할 것들, 그리고 죽음을 맞는 순간 어떤 일들이 벌어지는 지,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이 죽었을 때 살아남은 사람들이 겪어야 하는 심리적 충격, 그리고 장례식과 애도 그리고 애도 이후의 삶에 이르기까지 죽음에 관한 모든 것을 이야기합니다.
병리학을 전공한 저는 죽은 사람을 부검하는 일을 조금 해보았습니다. 그러다보니 한 인간이 죽음을 맞았을 때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에 대하여 어느 정도는 알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만, 제가 모르는 일이 너무 많은 것을 알고 깜짝 놀랐습니다. 예를 들면, 인간의 역사는 8,000세대 정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하는데, 인간이 출현한 뒤로 지구상에서 죽어간 인간들의 수가 2천억 명 정도 된다고 합니다. 여기에는 호모 사피엔스라고 하는 현생인류만을 포함한 것으로 짐작합니다.
죽음에 임박한 사람들이 흔히 듣는다는 말도 처음 읽는 것입니다, 첫째는 과소평가라는데, 당면한 건강상의 문제를 지나치게 심각하게 생각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일종의 교훈 주기인데, 모든 일에는 깊은 뜻이 있는 것이니 이제는 그렇다는 점을 깨달으라고 훈육조로 이야기한다는 것입니다. 셋째는 해법제시인데, 이렇게 하면 당신의 병을 고칠 수 있다는 비법을 전수해준다는 것입니다. 중병으로 마음이 약해진 상태에서는 이런 조언들에 휩쓸려 이성을 잃을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하겠습니다.
흔히 영화를 보면 죽음을 맞는 순간에 고개를 떨어트리는 것으로 묘사를 합니다만, 감지할 수 있는 변화가 없이 죽음을 맞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지켜보던 이들도 감정이 고조되면서 울음을 터트리게 되는데, 슬픔을 내보이는 방식에도 차이나 변화가 있는 것 같습니다. 과거에는 곡비(哭婢)라고 해서 통곡을 하는 사람을 사기도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최근에 불교계에서는 지나치게 슬픔을 표하는 것을 말리는 경향입니다. 가족 친지들이 쏟아내는 울음소리를 듣게 된 망자 역시 이별의 슬픔을 이기지 못하여 쉬게 이승을 떠나지 못하고 머뭇거리게 된다는 것입니다.
부모님 장례식도 치러보았지만, 장례 절차에는 많이 간여하지 않아서 그 절차가 얼마나 복잡한지는 몰랐습니다. 물론 독일과 한국은 제도 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은 합니다만, 정말 많은 절차를 결정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그래서인지 저자는 ‘장례식은 죽은 자를 중심으로 진행되지만 모든 건 살아 있는 사람들의 일이야.(163-164쪽)’라고 이야기하면서 독일에서의 장례 절차를 소상하게 설명합니다. 정말 생각지도 못한 일을 결정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다행한 일은 아버님 장례를 치룬 뒤에 어머님께서 주도하셔서 가족 납골당을 만들었기 때문에 장지를 결정하는 문제에서만큼은 자유로울 수가 있습니다.
한 사람이 죽은 뒤에 남아있는 사람들이 겪어야 할 일도 빠트리지 않습니다. 한 사람의 죽음은 당사자는 물론 그를 둘러싼 사람들에게도 상실이라고 표현했습니다. 학자들은 이 상실을 “인생의 역사가 책 한 권이라면 어느 한 페이지에서, 갑자기 어느 한 줄에서 모든 미래를 위한 장들은 찢겨 나가 중단되는 것”이라고 표현한답니다.
죽은 사람은 이미 삶을 정리했으니 더 이상 할 일이 없을 터이나, 남아 있는 사람들은 겪어야 할 일들이 있기 마련입니다. 가장 중요한 일은 상실의 충격을 어떻게 이겨내는가 하는 것이겠지요. 흔히 살아있는 사람들은 살아갈 방도를 찾아야 한다고 이야기합니다만, 그 방도를 쉬이 찾지 못하는 사람도 적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래도 슬픔을 삭이면서 살아갈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