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의 미술관 - 잠든 사유를 깨우는 한 폭의 울림
박홍순 지음 / 웨일북 / 2017년 4월
평점 :
민음사에서 기획한 체코 작가 밀란 쿤데라 전집에서는 표지에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을 담았습니다. 마그리트의 작품을 처음 만났을 때는 꽤나 당혹스러웠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벨기에의 초현실주의 화가 마그리트의 작품들은 인상과 언어, 사물 사이의 관계를 다룬 작품과 사물의 미묘한 부분을 뒤틀어 표현한 작품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합니다. 초현실주의 화가로 분류는 하지만 살바도르 달리나 호안 미로 등 같은 시기에 활동했던 초현실주의 화가들과는 다른 느낌을 준다고 합니다.
<생각의 미술관>은 박홍순 작가의 작품입니다. 박홍순 작가는 ‘글쓰기와 강연을 통해 사람들을 미술과 인문학으로 안내하는 일을 하고 있으며, 앞만 보고 전력 질주하느라 성찰의 시간을 잃어버린 사람들이 고전과 미술 등을 매개로 인문학을 벗 삼을 수 있도록 하는데 애착을 가지고 있다’라고 소개됩니다. 그의작품으로는 <생각의 미술관>을 처음 만났는데, 읽어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잠든 사유를 깨우는 한 폭의 그림’이라는 부제가 달린 것처럼 저자는 이 책을 통하여 철학적으로 생각하는 법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사실 철학은 살아가는 방도를 알려주는 깨닫게 만들어주는 학문입니다. 그런데 저자에 따르면 철학은 배워서 얻어진다기보다는 철학적으로 생각하다보면 저절로 깨닫는 바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미술작품은 아주 철학적으로 생각하는 연습을 하는데 있어 훌륭한 안내자라고 합니다. 특히 르네 마그리트의 그림들은 애초에 화가의 의도가 여기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안성맞춤이라고 했습니다.
<생각의 미술관>에서 저자는 모두 열 점의 마그리트 작품으로부터 시작하여 그림, 소설, 영화, 연극 등 다양한 작품들을 인용하여 철학적 화두를 이끌어갑니다. 목차에서 보는 것처럼 모두 열 가지 유형의 사람에 관한 철학적 사유를 펼치고 있는데, 1장 ‘변화를 생각하는 사람’에서는 <헤라클레이토스의 다리>를, 2장 ‘무지를 생각하는 사람’에서는 <금지된 재현>을, 3장 ‘기호를 생각하는 사람’에서는 <이것은 파이프가 아닙니다>를, 4장 ‘관계를 생각하는 사람’에서는 <골콘다>를, 5장 ‘모순을 생각하는 사람’에서는 <빛의 지배>를, 6장 ‘개별성을 생각하는 사람’에서는 <개인적 가치>를, 7장 ‘욕망을 생각하는 사람’에서는 <음울한 마법>을, 8장 ‘비정상을 생각하는 사람’에서는 <새를 먹는 소녀>를, 9장 ‘예술을 생각하는 사람’에서는 <붉은 모델>을, 그리고 10장 ‘세계를 생각하는 사람’에서는 <꿰뚫린 시간>을 인용하여 이야기를 풀어갑니다.
각 장은 세 꼭지의 글로 구성되었습니다. 첫 번째 꼭지는 마그리트의 그림에서 철학적 이야기 거리를 가져옵니다. 두 번째 꼭지에서는 해당 주제와 관련된 그림, 영화, 소설 등을 인용하여 이야기 거리에 의미를 더하고 세 번째 꼭지에서는 결론으로 이끌어갑니다. 한마디로 대단한 이야기꾼을 만났구나 싶었습니다.
열 점의 작품들 가운데 <골콘다>와 <꿰뚫린 시간> 등 두 작품만이 본 기억이 있고 나머지 작품들은 이 책을 통하여 처음 만나게 되었습니다. 마그리트가 남긴 작품이 얼마나 되는지 찾아볼 수 없었지만 2020년 인사동에 있는 인사 센트럴 뮤지엄에서 열린 ‘르네 마그리트 특별전’에서 회화, 사진, 다큐멘터리 등 총 160여점에 달하는 작품을 멀티미디어를 통해 입체적으로 볼 수 있었다고 합니다.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다음 대목을 인용하고 있어 남겨놓습니다. “살짝 열린 좁은 문틈으로 깊숙이 원경이 보이는 호흐의 그림에서처럼, 아주 멀리에서 다른 색조를 띠고 스며든 비단빛 같은 질감으로 소악절이 춤을 추는 목가풍 삽화 같은 모습으로, 다른 세계에 속하듯 끼어들었다. (…) 소악절에서 지성으로 내려 갈 수 없는 의미를 찾고 있었으므로, 가장 내밀한 영혼으로부터 모든 논리적인 장치를 벗겨내고 영혼을 홀로 복도로 보내 음의 모호한 여과기를 통과하게 하면서 얼마나 낮선 도취감을 느꼈던가!” 저자는 이 대목이 네덜란드 화가 피터 데 호흐의 <여인 앞에서 편지를 들고 있는 남자>와 관련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유예진이 쓴 <프루스트의 화가들>에서 나오지 않은 대목이라서 찾아보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