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어떤 음악을 처음 들었을 때 가슴이 저릴 정도의 아름다움을 느낀 경험이 있을 것 같다.

 '하던 일을 멈추게'할 만큼...

 성결하고 아름다운, 숨이 멎을 것 같은 그런 음악...

 

 내게는 라흐마니노프의 보칼리제가 그런 음악이었다.

 

 순수한 우수가 서려있는, 서글픈 아름다움의 비애...

 어떻게 이러한 선율을 만들 수 있는지.. 예나 지금이나 들을 때마다 구슬픈 감정에 젖게 만든다.

 

 

 

 라흐마니노프는 낭만파의 마지막 작곡가로서, 그리고 피아니스트로서 명망높은 인물이지만 실상 자주 애청되는 것은

피아노 협주곡 2ㆍ3번,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교향곡 2번과 언급한 보칼리제 정도이다.

 러시아 혁명으로 인해 미국으로 망명했지만 향수병에 걸려 15년이나 작곡활동을 중단했고, 피아니스트나 지휘자로

생계를 이어갔지만 고국에 대한 그리움이 그를 창작의 기로에서 멀게했나 보다.

 

 보칼리제(Vocalise)는 보칼리즈라고도 불리며, 가사가 없이 모음으로만 이루어진 곡 연습을 위한 음악을 말한다.

 즉, 성악 연습곡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현재는 예술성이 가미된 가곡의 한 분야라고 해도 무방하다.

 라흐마니노프의 보칼리제도 본곡은 가곡이다. Op. 34의 14번째 곡인데, 작곡가 스스로도 이 작품을 매우 사랑하여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버전으로 편곡하기도 했다.

 파헬벨의 캐논만큼은 아니더라도 이 보칼리제는 다양한 편곡 작품이 존재한다.

 플루트, 오보에, 바이올린, 피아노 독주, 첼로.. 가장 대중적인 사랑을 받는 것은 첼로와 피아노 버전인데, 악기 특성상

저음을 내는 첼로의 음색이 이 곡과 매우 잘 맞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런 음악에는 음반 추천도 필요없을 것 같다. 소곡이라서 다양한 컴필레이션에 실려있을 뿐 아니라, 곡 자체가

워낙 뛰어나 누가 연주해도 아름다움이 드러나는 매운 드문 경우에 속한다.

 첼로나 바이올린에 비해 대중성은 떨어지지만 고요한 아름다움이 있는 플루트와 피아노의 버전을 올려본다.

 

 

 

Rachmaninov (1873~1943) - Vocalise, Op. 34 No. 14 (Flute & Pian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호바네스 (Alan Hovhaness, 1911~2000)

 

 

 페이퍼 제목이 너무 거창하긴 하다만.. 완전 정복까지는 아니다. 나도 정복 못 했는데 무슨..==;; 제대로 된 정복을 할려면

책을 몇 권써도 모자를 판이다. 그냥 겉핥기 정도로만 보아도 무방하겠다.

 

 호바네스란 인물이 생소한 분들을 위해 간단한 설명을 해보겠다.

 아르메니아 혈통의 미국 작곡가로서(아르메니아인 2세) 다양한 명상적이며 미니멀리즘적인 음악에 아르메니아 계열의

리듬이나 인도 리듬, 동양적 색채를 가미한 작품들을 주로 발표하였다. 생전에는 시대에 뒤떨어진다느니, 통속적이라는

둥의 비판이 있었지만 요즘들어서는 다양한 녹음이 출시되고 있고, 그만큼 활발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언급하고자 할 교향곡들을 현대 인물로서는 67곡이나 남긴 다작의 작곡가로도 유명하다.

 '현대 작곡가'로서는 3번째로 많은 교향곡을 남긴 인물이다.

 

 1위 : 세게르스탐 (Leif Segerstam, b. 1944~ ) - 현재까지 270곡 (내 이 양반 사고칠 줄 알았다.. 결국 가장 많은

        교향곡을 쓴 작곡가로 기네스북 등재됐다.. 생전에 300곡 이상 남길 것 같다는 게 내 생각)

 2위 : 테일러 (Rowan Taylor, 1916~2005) - 265곡 (몇 개월 전까지 1위였는데 결국 밀렸다;;)

 3위 : 호바네스 (Alan Hovhaness, 1911~2000) - 67곡

 4위 : 포르델 (Erik Fordell, 1917~1981) - 44곡

 

 5위부터는 브라이언(32곡)을 제외하면 다 20몇 곡, 10몇 곡을 남긴 작곡가들이다. 물론 이들이 남긴 수가 적은 것이

 아니다. 온전히 '작품의 질'로 따지는 것이 옳다.

 

 

 허나 2위와 3위의 격차가 이렇게 커서야... 여하튼 호바네스의 작품량도 상상을 초월하니 쉽게 깨질 기록은 절대 아니다.

 개인적인 감상으로 세게르스탐의 교향곡들이 양간 밍밍한 것에 반해서(;;), 호바네스의 작품들은 차분하고 명상적인 면이

있다. 사실, 다분히 매너리즘의 경향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거의 비슷비슷하다는 뜻), 힐링 음악적인 스펙트럼도 있어

근래들어 각광받는 것이 아닐까 싶다.

 그럼 교향곡의 목록을 살펴보자.

 

 범례!

 

 굵은 글씨 : 녹음이 이루어진 곡 (세계 최초 레코딩)

 굵은 글씨 : 2번 이상 녹음이 이루어진 곡 (다른 지휘자와 악단에 의해)

 얇은 글씨 : 아직 녹음이 안 된 곡 (앨범 출시가 안 된 것들)

 굵은 글씨 : 미리내의 개인적인 추천 곡(;;)

 

 Op : Op는 Opus(오푸스)의 준말인데, 작품번호를 나타냄. 다 아시리라 생각함~

 [  ] : 작품의 부제(副題). 작품에 표제(이름)가 붙었다고 보면 됨. 호바네스 것은 산(山)의 이름이 붙은 것이 많음.

 (  ) : 작곡 연도. 'rev'는 개정판 연도. 연도가 없는 것은 작곡시기 불명확.

 

 

- 호바네스의 교향곡 목록 -

 

Op. 17, No. 2 : Symphony No. 1 ["Exile Symphony"] (1937; rev. 1972)
Op. 132 : Symphony No. 2 ["Mysterious Mountain"] (1955)
Op. 148 : Symphony No. 3  (1956)
Op. 165 : Symphony No. 4  (1959)
Op. 170 : Symphony No. 5 ["Short Symphony"] (1953, rev. 1963)
Op. 173 : Symphony No. 6 ["Celestial Gate"] (1959; rev. 1960)
Op. 178 : Symphony No. 7 ["Nanga Parvat (1959)
Op. 179 : Symphony No. 8 ["Arjuna" (originally titled "Ardos")] (1947)
Op. 180 : Symphony No. 9 ["Saint Vartan"]
Op. 184 : Symphony No. 10 ["Vahaken"] (1959; rev. 1965)
Op. 186 : Symphony No. 11 ["All Men Are Brothers"] (1960, rev. 1969)
Op. 188 : Symphony No. 12 ["Choral"] (1960)
Op. 190 : Symphony No. 13 (1953; revision of 1945 Martha Graham "Ardent Song")
Op. 194 : Symphony No. 14 ["Ararat"] (1960)
Op. 199 : Symphony No. 15 ["Silver Pilgrimage"] (1962)
Op. 202 : Symphony No. 16 ["Kayakeum"] (1962)
Op. 203 : Symphony No. 17 ["Symphony for Metal Orchestra"] (1963)
Op. 204a : Symphony No. 18 ["Circe"] (1963) (a slight reworking of Op. 204)
Op. 217 : Symphony No. 19 ["Vishnu"] (1966)
Op. 223 : Symphony No. 20 ["Three Journeys to a Holy Mountain"] (1968)
Op. 234 : Symphony No. 21 ["Symphony Etchmiadzin"] (1968; uses music from unpublished 1946 opera

Etchmiadzin, Op. 62)
Op. 236 : Symphony No. 22 ["City of Light"] (1970)
Op. 249 : Symphony No. 23 ["Ani"] (1972)
Op. 273 : Symphony No. 24 ["Majnun Symphony"] (1973)
Op. 275 : Symphony No. 25 ["Odysseus Symphony"] (1973)
Op. 280 : Symphony No. 26 ["Consolation (1975)
Op. 285 : Symphony No. 27 (1976)
Op. 286 : Symphony No. 28 (1976)
Op. 289 : Symphony No. 29 (1976)
Op. 293 : Symphony No. 30 (1952/76)
Op. 294 : Symphony No. 31 (1976–77)
Op. 296 : Symphony No. 32 ["The Broken Wings"] (1977)
Op. 307 : Symphony No. 33 ["Francis Bacon"] (1977)
Op. 310 : Symphony No. 34 (1977)
Op. 311 : Symphony No. 35 ["Ah-ak"] (1978)
Op. 312 : Symphony No. 36 (1978)
Op. 313 : Symphony No. 37 (1978)
Op. 314 : Symphony No. 38 (1978)
Op. 321 : Symphony No. 39 (1978)
Op. 324 : Symphony No. 40 (1979)
Op. 330 : Symphony No. 41 (1979)
Op. 332 : Symphony No. 42 (1979)
Op. 334 : Symphony No. 43 (1979)
Op. 339 : Symphony No. 44 (1980)
Op. 342 : Symphony No. 45 (1954)
Op. 347 : Symphony No. 46 ["To the Green Mountains"] (1980; 1980-81)
Op. 348 : Symphony No. 47 ["Walla Walla, Land of Many Waters"] (1980)
Op. 355 : Symphony No. 48 ["Vision of Andromeda"] (1981)
Op. 356 : Symphony No. 49 ["Christmas Symphony"] 1981)
Op. 360 : Symphony No. 50 ["Mount St. Helens"] (1982)
Op. 364 : Symphony No. 51 (1982)
Op. 372 : Symphony No. 52 ["Journey to Vega"] (1983)
Op. 377 : Symphony No. 53 ["Star Dawn"] (1983)
Op. 378 : Symphony No. 54 (1983)
Op. 379 : Symphony No. 55 (1983)
Op. 380 : Symphony No. 56 (1983)
Op. 381 : Symphony No. 57 ["Cold Mountain"] (1983)
Op. 389 : Symphony No. 58 ["Symphony Sacra"] (1985)
Op. 395 : Symphony No. 59 ["Bellevue"] (1985)
Op. 396 : Symphony No. 60 ["To the Appalachian Mountains"] (1985)
Op. 397 : Symphony No. 61 (1986)
Op. 402 : Symphony No. 62 ["Oh Let Man Not Forget These Words Divine"] (1987-88)
Op. 411 : Symphony No. 63 ["Loon Lake"] (1988)
Op. 422 : Symphony No. 64 ["Agiochook"] (undated)
Op. 427 : Symphony No. 65 ["Artsakh"] (1991)
Op. 428 : Symphony No. 66 ["Hymn to Glacier Peak"] (1992)

Op. 429 : Symphony No. 67 ["Hymn to the Mountains"] (1992)

 

 


 ..........

 호바네스는 교향곡에 광적인 집착을 보였던 것이 틀림없다!(...)

 그렇지 않고서야 어찌 이렇게 많은 작품을 양산할 수 있단 말인가!!(포스팅의 힘듦을 작곡가에게 풀고 있다...--)

 

 음.. 여하튼 그의 음반들은 텔락, 크리스탈 레코드나 낙소스 등에서 주로 출시되고 있다.

 가장 많은 녹음이 이루어진 작품은 1번과 2번이며, '신비의 산'이라는 부제가 붙은 2번이 자주 애청된다.

 그리고 목록으로 보듯이 아직도 녹음이 이루어지지 않은 교향곡들도 수두룩하다. 왠지 다 비슷한 느낌일거라는 생각도

들지만, 아직 들어보질 못 했으니 그에 대한 총화적 평가는 아직 조금 이르지 않을까 싶다.

 내 개인적인 추천곡들의 음반들을 한번 꼽아보도록 하겠다. 나도 모든 녹음을 다 들어본 것은 아니어서 이것이 '결정반'이

라고 하기는 뭐한 감이 있지만 그의 음악들이 궁금한 분들을 위한 추천~

 

 

 

 

 

 

 

 

 

 

 

 

 위에 3개 상품은 알라딘에서 구할 수 있는데, 밑에 2개는 구할 수가 없다. KBS 교향악단이 연주한 코흐 레이블의 음반은

그렇다쳐도, 22번이 들어있는 낙소스 음반을 난 대체 어디서 구한거지? --;

 

 2번은 텔락에서 나온 제라드 슈워츠 지휘의 연주이다. 방대한 레퍼토리를 가진 지휘자답게 호바네스의 작품에서도

관록을 발휘하며, 제목만큼이나 몽환적인 느낌의 이 작품을 투명한 관현악 연주로 담아 내었다.

 

 낙소스는 22번 음반을 제외하면 60/63번은 모두 최초 녹음이다. 22번은 버밍엄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위촉으로 작곡된

작품으로, '수 많은 빛이 있는 상상의 도시'를 그리며 작곡했다고 한다. 시에틀 심포니와 작곡가 자신의 지휘로 수록되

어 있다. 자신의 작품을 연주한다해서 '최상의 해석'이 나오는 경우는 드물지만, 그런 선입견을 불식시킬 수 있는 장엄한

연주가 일품이다. 3, 4악장은 필청!

 60번이 포함된 음반은 커플링된 '키리미안 하이릭'과 '기타 협주곡'도 들을만한 요소로 자리한다.

 클라리넷의 낭랑한 독주와 격해지는 분위기 속에 마지막 악장에서 응축한 아드레날린을 방출하는(?) 멋진 연주다.

 역시 슈워츠의 지휘다.

 잔잔한 아름다움이 있는 63번인 '룬 호수'는 스튜어트 로버트슨의 지휘로 수록되어 있다. 1988년에 완성한 말년의 걸작

으로, 어린 시절의 향수를 그리고 있다. 다양한 관악기의 활약이 두드러지는 교향곡으로, 그저 놀라운 음악이라는 말

밖에는..

 

 39번은 기타를 위한 교향곡(Symphony for Guitar & Orchestra)인데, 이런 작품 자체도 희귀하거니와 기타의 선율이

매우 아름답다. 요르다니아(Vakhtang Jordania)와 KBS 교향악단(^^), 마이클 롱의 기타가 협연하고 있다.

 음반을 구하기가 어려워져 아쉬울 따름이다(해외에선 팔고 있다).

 

 

 

Symphony No. 63, Op. 411 'Loon Lake'

 

 

 

 

Symphony No. 39, Op. 321

 

 

 

 다양한 명상적인 교향곡을 남긴 호바네스. 쇼스타코비치에 버금가는 인생철학이나 격렬함을 담아낸 작품들은 없으나

20C의 다원화된 작곡법에서 그는 분명 뚜렷한 개성을 드러내고 있다. 새로운 녹음이 연마다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향곡만

해도 아직 많은 탐구가 이루어져야 할 부분인데.. 내 생전에 그의 교향곡들을 다 들을수나 있을지 모르겠다.

 

 제목만 정복이고 내용은 반의 반의 반도 안 되는 듯(...)

 초라한 글이지만 그의 교향곡들에 관심을 가지는 분들이 생긴다면 더할나위 없이 기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척이나 기대하게 만든 영화다. 나온지는 좀 됐지만 있는 줄도 모르고 있었는데, 그냥 검색해보다가 알았다.

 비발디가 주인공인 영화가 나오다니!! 감동의 도가니였다. 주연도 파리넬리의 '스테파노 디오니시'가 맡았길래

그야말로 기대만빵!!

 

 허나 역시 뭐든지 기대를 가지면 실망도 큰 법이라 했던가.

 그야말로 아무것도 느낄 수 없었다. ==; 원래 클래식 관련 영화가 좀 지루한 점도 있긴 하다만 이건 그야말로 잠이 올

지경이었다. 전체적인 내용도 모호하고, 임팩트있는 장면이란 없으며, 인물들 간의 갈등도 미미한, 시쳇말로 최악이다.

 이걸보고 비발디의 삶을 이해할 수 있다면 그게 더 이상할 것 같다.

 

 초반부터 시작하여 가끔가다 흘러나오는 비발디의 음악들이 그나마 유흥거리다.

 눈을 감고 음악만 들어도 무방할 정도라니.. 이런...

 

 작곡가의 삶을 다룬 영화 중 본 것은 '아마데우스', '쇼팽의 연인', '카핑 베토벤', '샤넬과 스트라빈스키'정도인데,

쇼팽의 연인도 지루했지만 영화 '비발디'만큼은 아니었다.

 

 고증도 철저히 하고 시대 영화니만큼 많은 공을 들였을터인데.. 너무나 안타깝다.

 앞으로 '비발디'란 이름의 다른 영화가 나와주길 바란다면 너무 썰렁한 결론일까?

 초장의 음악이나 감상해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로드리고 : 두 대의 기타를 위한 마드리갈 협주곡 외(SACD)
Pentatone / 2005년 4월
평점 :
품절


줄리아니와 로드리고의 생소한 조합이지만 멋들어지게 풀어내는 능력! 음질도 좋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비발디 : 바순 협주곡 3집 - RV.485, 502, 474, 480, 494 & 475 비발디 바순 협주곡집 (Naive) 3
비발디 (Antonio Vivaldi) 작곡, 아졸리니 (Sergio Azzolini) 연 / NAIVE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아졸리니 연주 정말 좋습니다.. 비발디 바순 협주곡의 한 획을 그은 명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