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 노 우 맨 (The Snowman, 1982)
어린 소년에게 잊지 못 할 꿈과 환상을 선물해 준 스노우맨.. 순수한 마음으로 동화되어 본다면 이만큼 명작으로 거론 될
만한 애니매이션도 없을 듯 하다. 요즘의 애니메이션처럼 3D가 아닌 투박한 느낌의 색연필 그림이지만 왠지 모르게 더
정겹다. 초반 주인공의 독백을 제외하면 대사 한마디 없이 인물들의 동작과 음악으로 자연스레 스토리가 전개되는데,
스노우맨의 놀라는 표정이나 익살스러운 몸짓, 하늘을 나는 장면이나 눈사람들의 파티는 여전히 기억에서 생생하다.
예전에는 TV에서 그래도 자주 했던 듯 한데 요즘은 좀 뜸한 듯..
유튜브에서 쉽게 볼 수 있으니 못 보신 분들은 감상해보시길 추천한다..^^
역시 이 영화가 성공할 수 있었던 기반은 지금도 자주 애청되는 'Walking in the Air' 때문이다. 제목만 보면 무슨 음악인지
긴가민가 할 수도 있겠지만 들어보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지 않을까. 애잔한 듯 하면서도 신비한 환상.. 친숙한 선율미가
이루어진 명작이다. 팝 가수나 팝페라 가수들도 곧잘 부르며, 피아노나 여타 악기로도 편곡되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이 불세출의 걸작을 남긴 인물은 하워드 블레이크(Howard Blake, 1938~ )란 영국의 작곡가인데 다수의 영화음악을
만들었으며 기타 클래식 장르의 작품도 상당수를 남기고 있다.
2013년 현재까지 Op. 653에 이르는 엄청난 작품들을 남겼으며 지금도 작곡은 현재 진행형이다.
내가 가지고 있는 그의 음반은 낙소스에서 나온 1종밖에 없지만 부담없이 듣기 좋은 음악들이라
애용하는 중이다. 물론 'Walking in the Air'도 포함되어 있고..^^ (현악 4중주 버전이다)
13년도 벌써 막바지다. 새해가 엊그제 같더니 무얼하며 지내온지도 모르게 시간이 벌써 이 모양이다..
연말이면 성탄절과 관련해서 들뜬 마음이 되긴 하겠지만 예전만은 못한 것 같다. 사는 것이 각박해서일까.
눈이 내리면 무작정 좋았던 기억, 눈사람 만들던 기억... 어렸을 적의 추억들을 떠올리면 희미하게 미소가 번지는 것은
과거가 그립고 그 때의 기억이 즐거웠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스노우맨을 보며 음악을 들으니 너무 감상적이 되어버렸나.. 뭐.. 가끔은 감상적이 되는 것도 나쁘지는 않은 것 같다.
Blake - Walking in the Air (from The Snowman Suite for String Quartet), Op. 615
아아아.. 이런 엄청난 박스세트가 나올 줄이야..
하르모니아 문디.. 정말 밉다.. 이런 걸 출시하다니.. 자금의 압박이 너무 크단 말이다.. 사고 싶은 것도 많고 출시될 것들을
기다리고 있는터라 돈을 아껴두고 있었는데 '한정반'이란 말 때문에 며칠을 고민하다가 결국 질러버렸다.
예약주문이고 아직 집에 도착할 날은 2주넘게 남았지만.. 조기품절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 때문에..ㅠㅠ
예전에 클래식 박스세트들은 '음반시장의 몰락'을 반증한다고 얘기했지만 소비자 입장에서야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으니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
내가 가지고 있는 것 중에 겹치는 것은 르네 야콥스 지휘의 '카이저 - 크로에수스'이다.
이것도 국내에선 품절이 몇 년 동안 풀리지가 않는터라 결국 해외로 구했는데 이렇게 포함되어 나오니 조금 씁쓸하긴
하지만(^^;;) 캉프라나 샤르팡티에, 그라운 등의 오페라들이 너무나 기대된다^^
요즘들어 바로크 음악이 왜이리 좋은지 모르겠네.. 어서 집에 도착해서 감상할 날이 왔으면 좋겠다~
안 (Thomas Augustine Arne, 1710~1778)
주로 극음악과 노래를 작곡했다. 그는 코벤트가든의 킹스트리트에 있는 가구 상인의 아들로 태어난 것으로 전해진다. 이튼에서 공부한 후 법률가가 되고 싶었던 그는 몰래 바이올린과 건반악기를 연습하여 완숙의 경지에 이르렀고 그러자 아버지도 음악가가 되려는 그를 더이상 반대하지 않았다.
후일 이탈리아 오페라 관현악단의 단장이 된 마이클 페스팅에게 몇 번 레슨받은 것을 제외하고는 독학으로 공부했는데, 그의 음악적 취향의 대부분이 형성된 곳은 오페라 극장(오페라를 보기 위해 하인 복장을 착용했음)이었다. 훗날 여배우 시버 부인으로 명성을 떨쳤던 그의 누이와 남동생에게 노래를 가르쳤으며 그들을 자신의 첫 극음악인 〈로저먼드 Rosamond〉(1733)에 출연시켰다. 조지프 애디슨이 1707년에 쓴 대본을 바탕으로 한 이 오페라는 '이탈리아 방식'으로 작곡되었으며 이 작품에 나오는 화려한 에어 〈Rise, Glory, Rise〉는 그후 40년 동안 불려졌다.
그는 곧 드루어리 레인 극장을 위해 막간음악과 부수음악을 작곡했으며 밀턴의 가면극을 존 달턴이 개작한 〈코머스 Comus〉(1738)로 영국 정상의 작곡가로서의 위치를 확고하게 다졌다.
그의 가볍고 경쾌하고 즐거운 선율 양식은 가면극 〈앨프레드 Alfred, a Masque〉(〈Rule, Britannia〉로 유명함)와 〈파리의 심판 The Judgement of Paris〉에 잘 나타나 있는데 이 두 작품은 1740년 클라이브든에 있는 웨일스 공(公)의 궁에서 공연되었다. 1740~41년 〈뜻대로 하세요 As You Like It〉·〈십이야(十二夜) Twelfth Night〉·〈베니스의 상인 The Merchant of Venice〉 등 셰익스피어의 희곡에 곡을 붙인 그의 노래들은 이러한 초기 양식의 절정을 보여주고 있다.
1744년경 드루어리 레인 극장과 복스홀 가든의 작곡가로 채용되었으며 다음 10년 동안 여러 편의 노래 모음곡집을 출판했다. 1759년 옥스퍼드에서 음악박사 학위를 받았고 2년 후 그의 오라토리오 〈유디트 Judith〉가 공연되었다. 곧이어 오페라 〈아르타크세르크세스 Artaxerxes〉(1762)를 작곡했는데 이 오페라는 19세기까지도 공연되었다. 생애의 마지막 10년 동안 스트랫퍼드 셰익스피어 기념제(1769 창설)를 위한 개릭의 송시에 곡을 붙였고 〈The Fairy Prince〉(1771), 메이슨의 〈Elfrida〉(1772), 〈커랙터쿠스 Caractacus〉(1776)를 위해 음악을 작곡했다. 그의 초기 선율 양식은 자연스럽고 우아하며 어느 정도 스코틀랜드·아일랜드·이탈리아 음악의 영향이 보였다.
마지막 몇 년 동안의 작품에는 설리번을 예견하는 오페라 부파 양식이 나타나고 있지만 그의 후기 음악은 이탈리아풍이며 장식적이다. 〈Rule, Britannia〉·〈Blow, Blow Thou Winter Wind〉·〈Where the Bee Sucks〉를 비롯한 노래의 작곡가로서 퍼셀과 마찬가지로 영국의 노래 유산에 커다란 업적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