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시 아  5 인 조 의  피 아 노  음 악

 

 

 

 국민악파를 얘기 할 때는 빼놓을 수 없는 러시아 5인조이지만 그들의 피아노 음악을 거론할 것이 뭐가 있을까?

 발라키레프의 '이슬라메이(Islamey)'와 무소르그스키의 '전람회의 그림(Pictures at an Exhibition)' 외에는 이렇다 할 만

한 게 없을 것이다. 그나마도 '전람회의 그림'은 관현악 편곡이 더 자주 연주되는 형편이다.

 (림스키 코르사코프 - '왕벌의 비행'은 라흐마니노프에 의해 편곡된 버전만이 유명하다)

 250년이 넘어가는 피아노 독주곡 역사에서 이들의 거적은 미미하다. 허나 '명작'에는 못 미칠지언정 '수작'이라고 할만한

것들은 상당수 있으며, 꼭 국민악적인 기질을 보여주는 작품들이 아니더라도 그 가치는 충분하다.

 이들 중 가장 많은 피아노 작품을 남긴 인물은 세자르 큐이이며, 그가 가장 존경했던 인물인 쇼팽의 영향을 받아서인지

러시아적인 우수보다는 낭만적인 시정이 짙게 베어있다. 마찬가지로 쇼팽 흉내를 내던(?) 발라키레프도 왈츠나 마주르카,

녹턴 등의 곡들을 다수 작곡했다. 보로딘은 남긴 작품이 얼마 되지 않지만(피아노 음악을 다 합쳐도 CD한 장에 담을 수

있다) 그만의 기질은 어디가질 않는다. 피아노 음악에도 자신만의 성향을 유감없이 발휘하여 실내악에 버금가는 걸작들이

존재한다. 림스키 코르사코프와 무소르그스키도 남긴 작품은 많지 않지만 친숙한 선율미가 느껴지는 작품들은 자주

연주되지 않는 것이 애석할 정도이다.

 피아노 연주에도 일가견이 있었는데, 발라키레프는 젊은 시절 피아니스트로 활동할만큼 연주실력이 정평이 나 있었다고

한다. 큐이와 무소르그스키가 그에게 많은 조언과 가르침을 받았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들의 피아노 음악들이 빛을 못 보는 이유는 그들을 감싸고 있는 '국민악파', '러시아적 기질'이란 테두리 때문에 상대적

으로 덜 알려진 이런 음악들이 외면당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굳이 앵콜 곡으로 '왕벌의 비행'만을 칠 것이 아니다. 리사이틀, 연주회에서 피아니스트의 정식 프로그램으로 이들의

곡들이 올려질 가치는 충분하며, 새로운 음악의 세계로 흠뻑 빠지게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항상 연주회에 올라오는 모차르트, 베토벤, 쇼팽, 리스트, 프로코피예프의 '새로운 해석'이 아닌, '새로운 음악'이 듣고

싶을 때가 있다. 그 단적인 예로 러시아 5인조를 거론했을 뿐, 뛰어난 음악은 무수하다.

 이들의 피아노 음악들을 연주회에서도 자주 볼 수 있기를 바라며...

 

 

 

Cui - 25 Preludes, Op. 64 : No. 8 in C sharp minor - Allegro

 

 

 

Balakirev - Mazurka No. 2 in C sharp minor

 

 

 

 Borodin - Petite Suite, No. 2 Intermezzo : Tempo di menuet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막달레나 로라 롬바르디니 시르멘 (Maddalena Laura Lombardini Sirmen, 1745~1818)

 

(원래 성은 롬바르디니인데, 결혼 후 남편의 성인 시르멘을 붙였다)

 

 

 클래식을 들으면서 새로이 알게 되는 작곡가들과 곡을 접하면서 많은 기쁨을 느끼는 편인데(누구나 그럴 것 같다),

이렇게 여성 작곡가라는 드문 케이스(그것도 고전시대!)에 음반도 출시되어 있다면 더할 나위가 없다.

 더구나 대표작이 바이올린 협주곡들이라니!

 현대를 제외하면 여성 작곡가 중에 바이올린 협주곡을 남긴 인물은 '가뭄에 콩 나듯'이 아니라 '사막에 콩 나듯'한 실정이라

관심을 안 가질래야 안 가질 수가...

  낙소스 뮤직라이브러리에서 6곡의 협주곡들과 현악 4중주들을 감상해 본 결과(낙소스, 남산도서관 고마워요...), 형식적으로

그리 새로울 것은 없지만 자신이 뛰어난 바이올리니스트였기 때문인지 기교가 빼어나며 느린 악장들의 짙은 서정미도 눈여겨

봄직하다. 타르티니(Giuseppe Tartini, 1692~1770)에게 사사하였다고 하니, 어느정도 고개가 끄덕여지기도 하는 부분이다.

 

 그래도 천편일률적인 레퍼토리만 출시하던 클래식 업계에서 불과 몇 년 동안 많은 변화가 있는 것 같아 기분이 좋다.

 이런 여성 작곡가의 곡을 비롯해 다양한 음악들이 새로 녹음되고 있으니 말이다. 반대로 말하면 이미 포화상태가 되어

버려서 블루오션으로 눈을 돌린다는 뜻도 되겠지만..

 

 뛰어난 작곡가를 알게 되어서 기쁘며, 앞으로도 많은 음반들이 출시되기를 기대해 본다! ^^

 

 

 

 Violin Concerto No. 4 in C major, Op. 3, No. 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사라 커닝햄 : 비올라 다 감바 독주집 (2CD)
여러 아티스트 (Various Artists) 작곡, 커닝햄 (Sarah Cunningha / Virgin Classics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화려한 멋은 없어요. 허나 고졸하게 울려퍼지는 비올라 다 감바의 소리가 너무 좋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샤르벤카 : 실내악 작품 전집
Hyperion / 2003년 6월
평점 :
절판


샤르벤카 실내악의 필구 레퍼토리.. 곡, 음질, 연주 모두 좋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입] 토마세크 : 피아노 협주곡집
토마세크 (Vaclav Jan Tomasek) 작곡, 블라디미르 바렉 (Vladimir V / Supraphon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고전과 낭만의 경계에 서 있는 멋진 작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