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매튜 라이
번역: 이경아, 이문희
페이지: 960 (부록 포함)
출판사: 마로니에북스
초판 인쇄: 2008. 9. 20.
정가: 43,000 원

이 책, 편하지 않다. 제목부터 편하지 않다. 책을 대하기가 편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무시할 수도 없다.

제목은,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클래식 1001.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클래식, 1001, 제목을 구성하는 요소 어느 하나 부담스럽지 않는 것이 없다.

책 제목을 보면서 영화 `버킷리스트, 죽기 전에 꼭 하고 싶은 것들`을 떠올렸다. 잭 니콜슨과 모건 프리먼이 출연했고, 6개월 시한부 선고를 받고나서 버킷리스트를 만들고 실행에 옮기는 두 남자의 로망을 그린 영화였다. 재미와 감동을 느꼈던 영화라고 기억한다. 그러나 영화의 버킷리스트에 클래식은 없었던 것 같다.

저마다 일생의 남은 시간을 후회 없이 살기를 바란다. 그래서 버킷리스트를 작성하고 우선순위를 매기면서 의미를 확인하기도 하지 않는가. 감상자들한테도 이런 류의 리스트가 있을 것이라고 본다. 제 각각 기준이나 의미가 다른 리스트라고 하더라도 나름 있지 않을까 싶다. 물론 나한테도 그런 리스트가 있다. 그러한 감상자의 버킷리스트를 이 책이 대신해줄 수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 감상자마다 취향이 다른데 저자나 출판사가 그것을 대신해주는 것은 아무래도 어려울 것이다.

˝죽기 전에 꼭 해야˝ 하는 것이라면, 놓쳐서는 아쉬울 만큼 중요하다는 의미는 눈치를 챌 수 있겠으나 그와 맞먹는 절실함이나 당위성이 느껴지지 않는다. 원서 편집자도 서문에서 언급했다시피 글리에르 교향곡 제 3 번이나 플로렌트 슈미트 작품 `살로메` 등이 매우 인상적이라고 하였지만 쉽게 인정되지 않는다. 이처럼 공감하기 어려운 내용이 상당히 있는 것 같고, 그래서 편하지 않다.

제목에 있는 숫자 1001,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아라비안 나이트(천일야화)가 연상되기도 한다. 1001, 크기를 가늠해 보면, 의외로 큰 수다. 1001 개를 모두 듣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을 예측해보자. 하루에 하나씩 꼬박 듣는다해도 2년 9개월이 걸리고, 일 주일에 하나씩 듣는다면 19 년 이상 걸린다. 나중에 언급하겠지만, 음반 하나에 여러 장이 있는 경우에 더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될 것이다. 바흐 칸타타는 200 곡이 넘는데도 음반 하나로 간주했다. 이 칸타타 곡들을 모두 들으려면 하루 아니라 일 주일도 모자랄 것이다.

결정적으로, 책 제목이 잘못됐다. 원서 제목은 이렇다. 1001 Classical Recording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 여기서 중요한 단어 `Recoding`이 번역된 제목에서 빠졌다. 이로 인한 문제점으로, 원서는 제목에서부터 음반에 관한 책임을 명백히 알 수 있지만, 번역서는 클래식 음악 해설서로 착각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 책은 명음반 가이드이지 클래식 음악 해설서는 아니다. 두 가지 사이에 걸친 어정쩡한 책이라는 느낌을 없애기 어렵다.

원서에 사용된 `Classical Recording`이 핵심인데 번역서에서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는 것도 문제지만, 이를 소홀히 해서는 아니 된다. 클래식 레코딩은 고유한 전문지식이 필요한 또다른 분야이고, 명음반을 선정하는 기준은 명곡의 기준과 다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클래식 레코딩 분야는 직접 체험하지 않고는 알기 힘든 영역이기도 해서 클래식 음악 즉 작품 뿐만 아니라 연주자, 연주 시기, 장소, 녹음 레퍼런스, 음반 레이블, 프로덕션 등에 대해 폭넓은 지식이 요구된다.

게다가, 클래식, 그 자체로 한 부담 한다. 한편으로는, 부담감을 극복하고 싶은 독자 입장에서 클래식 음악에 관심이 커지면서 클래식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이런 종류의 책을 찾게된다고 생각하게 되는데 이 책이 그런 기대에 크게 부응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을 귀띔하고 싶다.

이런 첫인상을 애써 외면하면서 책을 펼치면 서문에 이어서, 작품별 색인이 가나다라 순으로 앞에 나오고, 사전식으로 구성된 페이지를 마주하게 된다. 명음반에 수록된 작품의 연대 순으로 페이지가 배치되어 있지만, 색인 말고 목차가 없어서 전체를 일람할 수 없다.

이 책은, 눈여겨 보면, 저자 서문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2007 년 기준으로 선정한 1001 개 명음반을 소개하고, 해당 음반에 수록된 작품 해설과 함께 연주, 음반 정보를 두서너 단락에 채워 서술한다. 모든 음반에 대해 획일적인 분량으로 내용이 채워진 것이 좀 아쉽다. 그러나 소개된 음반의 사진이 실렸고, 유명 연주자의 사진과 그림이 듬성듬성 게재되어 있어서 보는 재미는 있다. 부록에 용어사전(4쪽 분량), 작곡가별 색인(abc 순), 사진 출처를 제공한다.

클래식 음악을 듣다 보면 음악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받고자 주변 자료를 찾다가 관련된 지식을 알게될 뿐만 아니라 상식도 늘게 된다. 그 중 하나가 백조의 노래이다.

슈베르트 연가곡집 `백조의 노래` 덕분에 알게된 것으로, 백조는 죽기 직전에 한 번 아름다운 노래를 부른다고 한다. (슈베르트가 남긴 연가곡집 중에서, `백조의 노래`가 마지막 작품이다. 슈베르트가 다른 아름다운 곡도 많이 작곡했지만, `백조의 노래` 속의 가곡이 더욱 아름다운 곡으로 느껴지기도 하고, 백조의 노래를, 슈베르트 생애 마지막이기도 하면서 3 대 연가곡집에서 마지막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수식어처럼 챙기게 된다.)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클래식 1001 은, 좋은 측면으로, 감상자가 여생을 바쳐 부를 수 있는 백조의 노래가 될 듯 싶지만, 책 구성과 내용은 그러한 백조의 노래를 어렵게 만들지 않나 싶다.


댓글(9)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madhi(眞我) 2016-01-29 00:2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거서님이 한번 만들어봐요. 이렇게 많은 곡은 아니더라도 오거서님이 손에 꼽는 목록이 궁금합니다. 아주 나중이라도 좋으니 기다릴게요 ㅋ

오거서 2016-01-29 11:08   좋아요 2 | URL
천성이 게으르다보니 그런 엄청난 일을 할 엄두를 내지 못해요. 페이퍼 내용을 정리하는 조차 힘들어 매번 관둘 생각도 하는 걸요.
다른 한편으로, 잘난 척 하면 안되겠다 싶어요. 방대한 분량의 내용을 정리한 작가와 편집자들이 엄청난 고생을 감내했을 텐데 그 노고에 감사하지만, 좋게 평가하지 못해서 차라리 말하지 않는 게 낫지 않았을까, 적잖이 후회스럽기도 하네요.

samadhi(眞我) 2016-01-29 00:50   좋아요 2 | URL
자유롭게 붓가는대로 쓰는 글, 수필인걸요. 저는 오거서님의 간단명료한 소개글이 무척 좋아요. 저 말고도 팬이야! 분들 많을 걸요.

오거서 2016-01-29 07:23   좋아요 2 | URL
그렇게 말씀해주시니 감사합니다.
개인적인 의견과 느낌을 최대한 배제하고 사실 위주로 작품을 소개하려고 애쓰고 있어요. 그래야 치우지지 않는 감상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samadhi(眞我) 2016-01-29 00:58   좋아요 1 | URL
그래도 가끔은 오거서님이 특별히 좋아하고 아끼는 클래식 이야기도 듣고 싶어요. 주관만 듬뿍 담은(?) 곡들에 대한 얘기도 들려주세요.

오거서 2016-01-29 07:24   좋아요 0 | URL
제 능력이 된다면 그런 기회를 만들어보도록 하지요. 하지만 글재주가 형편없다보니 실망할 것이 뻔하니 저를 너무 믿지는 마세요 ^^;

samadhi(眞我) 2016-01-29 01:07   좋아요 1 | URL
제 욕심으로 부담을 드렸네요. 제가 선수(?)들의 기호를 궁금해하는 버릇이 있어서요. 뭐가 그렇게 관심이 많은지. 괘념치 않으셔도 됩니다.

samadhi(眞我) 2016-01-29 01:08   좋아요 2 | URL
그 사람만의 특별한 무언가는 뭔가 사연이 있을거라는 생각을 하고 있어서요. 그런 것들이 더 재밌고 와닿더라구요.

2016-01-29 07: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기타 협주곡


2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수입] Rodrigo - Concierto De Aranjuez, Etc / Julian Bream- BMG Classic Library
Joaquin Rodrigo 작곡, 줄리안 브림 (Julian Bream) 연주, The / 소니뮤직(SonyMusic) / 2004년 7월
14,500원 → 12,300원(15%할인) / 마일리지 130원(1% 적립)
2016년 01월 28일에 저장
품절
[수입] 로드리고 : 아랑훼즈 협주곡
로드리고 (Joaquin Rodrigo) 작곡, 존 엘리엇 가디너 (John Eliot G / RCA / 2011년 3월
9,900원 → 8,300원(16%할인) / 마일리지 90원(1% 적립)
2016년 01월 28일에 저장
품절


2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드리고 아랑훼즈 협주곡
(Concierto De Aranjuez)

• 작품 구성

1. Allegro Con Spirito
2. Adagio
3. Allegro Gentile

• 연주자

기타, 줄리앙 브림 (Julian Bream)
지휘, 존 엘리엇 가디너 (John Eliot Gardiner)
협연, 유럽 실내 관현악단 (The Chamber Orchestra Of Europe)

https://www.youtube.com/watch?v=gSfhszOI1Ec

연주시간: 약 21 분.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꼼쥐 2016-01-28 17:1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추억이 돋는 음악입니다. 마치 시계를 거꾸로 돌려 놓은 듯한 느낌입니다.

오거서 2016-01-29 01:17   좋아요 0 | URL
로드리고는 맹인이라고 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훌륭한 작품을 많이 남겼어요. 굴곡진 삶의 페이소스가 느껴지는 곡이기도 하지요.

서니데이 2016-01-28 18: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거서님 , 좋은 저녁시간 되세요.^^

오거서 2016-01-29 01:10   좋아요 1 | URL
오늘 저녁은 타이밍을 놓쳤어요. 제 댓글에 좋아요 해주시는 걸로 봐서 아직 안 주무시는 것 같은데 편안한 밤을 보내시라 인사를 남깁니다.

컨디션 2016-01-28 21:1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유튭 따로 안들어가고 오거서님 서재에서 바로 플레이가 가능한 지금, 서재창을 하나 더 만들었어요. 기타선율 배경으로 깔고 이웃님들 서재 마실 다니려구요. 어떤 상황인지 이해가 되시죠? ^^

오거서 2016-01-28 21:22   좋아요 1 | URL
기타 선율이 배경음악으로 그만이죠. 서재 창을 따로 열었겠군요. 좋은 아이디어에요 ^^

알츠 2016-01-29 00:3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토요명화 테마로 알게 된 곡이었죠 ^^;
기타 협주곡이라니 지금 생각해도 대단한 작품입니다
저는 젊은 아티스트인 밀로쉬의 연주를 즐겨 듣습니다

오거서 2016-01-29 01:13   좋아요 1 | URL
아랑훼즈 협주곡의 명연주가 많지요. 신인 연주자는 잘 몰라서… 밀로쉬 기억해둬야겠어요. 감사합니다. ^^

알츠 2016-01-29 02:10   좋아요 1 | URL
로드리고가 아내와 함께 산책을 즐겨 했던 아랑훼즈 궁전에 부부의 무덤이 마련됐다고 들었을 때는 이 작품이 새롭게 들리더군요.
아랑훼즈 궁전은 로드리고에게 여러 의미로 각별한 장소가 아닐까 싶습니다.

2016-01-29 01: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1-29 01:4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1-29 01:44   URL
비밀 댓글입니다.
 

Ghiribizzi, MS. 43

1. No. 1 in A Major: Allegretto
2. No. 2 in C Major: Andantino
3. No. 3 in C Major: Waltz
4. No. 4 in A Major: Allegretto
5. No. 5 in D Major: Moderato
6. No. 6 in G Major: Andantino
7. No. 7 in E Major: Waltz
8. No. 8 in C Major: Andante
9. No. 9 in C Major: Andantino
10. No. 10 in C Major
11. No. 11 in A Major: Allegretto
12. No. 12 in C Major: Andante
13. No. 13 in C Major: Allegro
14. No. 14 in C Major: Allegro assai
15. No. 15 in G Major: Allegro
16. No. 16 in G Major: Larghetto (after In cor piu non mi sento from La Molinara by Paisiello)
17. No. 17 in D Major: Andantino (after Le streghe from Il noce di Benevento by Sussmayr)
18. No. 18 in D Minor: Andantino
19. No. 19 in G Major: Corrente
20. No. 20 in C Major: Andante (after La ci darem la mano from Don Giovanni by Mozart)

21. No. 21 in A Major: Allegretto
22. No. 22 in A Major: Larghetto
23. No. 23 in A Major
24. No. 24 in A Major: Andante
25. No. 25 in C Major: Andante
26. No. 26 in D Major: Arietta
27. No. 27 in D Major: Andantino
28. No. 28 in D Major: Waltz
29. No. 29 in D Major: March
30. No. 30 in D Major: Allegretto
31. No. 31 in A Major: Minuetto: Andante
32. No. 32 in A Major: Allegretto
33. No. 33 in A Major: Allegretto
34. No. 34 in A Major: Waltz
35. No. 35 in D Major: Waltz
36. No. 36 in C Major
37. No. 37 in A Major: Adagietto con espressione (after Rossini)
38. No. 38 in A Major: Vivace
39. No. 39 in D Major: Allegretto
40. No. 40 in A Major: Andante
41. No. 41 in C Major: Allegro
42. No. 42 in A Major: Waltz
43. No. 43 in A Minor: Andantin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제 5 번 A 장조, K.219 `터키풍`
Violin Concerto No. 5 in A major, K. 219 `Turkish`

모차르트는 바이올린 협주곡을 5 곡 남겼다. 모차르트는 잘츠부르크에서 1775 년 4 월부터 12 월까지 8 개월 동안 바이올린 협주곡 5 곡을 집중적으로 작곡하였다고 알려져있고, `잘츠부르크` 협주곡이라고도 한다.

바이올린 협주곡 제 5 번 A장조는 1775 년 12 월에 완성하였다.

세 번째 악장의 중반의 터키풍 선율이 특징이다.

• 작품 구성

I. Allegro aperto
II. Adagio
III. Rondeau - Tempo di Menuetto - Allegro 

• 연주자

바이올린, 안네-소피 무터 (Anne-Sophie Mutter)
협연, 카메라타 잘츠부르크 (Camerata Salzburg)

https://www.youtube.com/watch?v=ETXPKHPPov8

연주시간: 약 29 분.

(첨부한 음원과 연결된 음반의 독주자는 동일하지만, 협연 오케스트라는 다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