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필리아의 그림자 극장 ㅣ 베틀북 그림책 13
프리드리히 헤헬만 그림, 미하엘 엔데 글, 문성원 옮김 / 베틀북 / 2001년 7월
평점 :
<모모>와 <끝 없는 이야기>로 너무나 유명한 독일의 작가인 미하엘 엔데의 작품이다. 작가의 이름값도 있었지만 청록색 바탕에 그림자극이 펼쳐지고 있는 표지 그림에서 느껴지는 신비감 때문에 더욱 읽고 싶어지는 책이다.
이야기도 너무 재밌다. 아니 재미있기보다는 다소 심오하다. 마치 철학책 같기도 하다. 삶에 대해, 그리고 늙음과 죽음에 대해 이렇게 표현할 수 있다니 감동했다.
오필리어는 작고 오래된 도시에 살고 있는 결혼을 하지 않은 할머니다. 오필리아는 딸이 연극배우가 되기를 바랐던 부모에 의해 이름도 연극에 나오는 유명한 사람을 본떠서 지어지게 되었고, 어려서부터 위대한 문인들이 지은 시어를 암송하며 자랐다. 하지만 너무나 작은 목소리 때문에 연극배우는 되지 못하고, 무대 앞에 놓인 작은 박스에 들어가 앉아서 연극배우들에게 대사를 일러주는 일을 하게 된다.
하지만 오필리아가 할머니가 되었을 때 세상은 많이 달라져 영화관과 텔레비전의 등장으로 연극을 하는 극장들이 사라지게 된다. 결국 오필리아가 일하던 극장도 문을 닫게 되고 마지막 공연이 있는 날 공연이 다 끝나고도 그 박스에서 남아있던 오필리아는 이상한 그림자를 보게 된다. 그런데 그 그림자는 주인을 잃은 그림자로서 주인을 찾고 있었다.
그 그림자를 불쌍하게 여긴 오필리아는 그 그림자를 거두게 되고, 그게 그림자들 사이에 소문이 나자 주인 없는 그림자들이 오필리아에게 몰려오게 된다. 이들은 모두 거둬서 방안에 살게 하게 한 오필리아는 할 일도 없고 해서 이들에게 연극 대사를 가르치게 된다. 하지만 이런 오필리아를 사람들은 이상하게 여기고 마침내 오필리아는 살던 집에서마저 쫒겨나게 된다.
그래서 오필리어를 이 그림자들을 큰 가방에 담아가지고 시골 바닷가로 떠난다. 그곳에서 침대보를 나뭇가지에 걸고 침대보 뒤에서 그림자들이 연극을 하게 한다. 그게 호평을 받아 오필리아는 마을 곳곳을 돌아다니며 그림자 극장을 열고 돈도 벌고 차도 사게 된다.
그런데 눈 오는 어느 날 오필리아는 주인이 없는 아주 큰 그림자를 만나게 된다. 그 그림자의 이름은 ‘죽음’이었다. 오필라는 그 그림자도 망설임이 없이 받아준다. 그것을 받아주게 되자 그녀는 또 다른 세상을 맞이하게 되었는데 그곳에는 오필리아의 빛 극장이 마련돼 있었다.
오필리아가 죽음이라는 그림자 이전에 만났던 그림자들의 이름은 ‘그림자 장난꾼’을 시작으로 ‘외로움’, ‘밤 앓이’, ‘힘없음’, ‘덧없음’ 등등이었다. 오필리아가 이런 이름의 그림자를 받아들이듯 우리 인생도 그런 것들을 받아들이며 사는 것이며 결국에는 죽음에 맞닥뜨리게 된다는 말일 게다. 죽음 이후에 빛의 극장에 입성하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인생이 무엇인가, 죽음이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게 하는 그림책으로서, 아이들에게는 아주 무거운 주제가 되겠지만, 늙고 죽는 것 또한 우리 인생의 한부분임을 당연하게 생각하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