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시대에는 어떤 관청이 있었을까? - 나랏일 돌보던 곳, 관청 이야기, 박영규 선생님의 우리역사 깊이 읽기 ㅣ 박영규 선생님의 우리 역사 넓게 보기 1
박영규 지음, 구연산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8년 2월
평점 :
사극을 볼 때마다, 그리고 역사책을 볼 때마다 조선시대의 관청이나 그곳에 속한 사람들의 직위나 직함이 나올 때면, 그 곳이 무엇을 하는 곳인지, 그 사람이 어떤 신분의 사람인지 아주 궁금했었다. 그런데 그런 궁금증을 단번에 해결할 수 있는 책이 나왔다. 바로 이 책이다.
요즘은 어른이나 아이나 할 것 없이 역사에 대한 관심이 지대해져서 다양한 역사책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삼국, 고려, 조선 등 시대별 흐름을 보여주는 역사서는 물론이고 왕조실록을 비롯해 그것이나 기타 자료들을 바탕으로 쓰여진 주제별 역사서들이 아주 많이 나오고 있다. 그리고 어린이를 위한 역사서들도 다양해져 전쟁사, 문물교류사, 궁궐 안내서 등 많은 책들이 나오고 있는데 이제는 조선 왕조를 지탱해온 중심 기관인 관청에 관한 책도 나와서 무척 기쁘다.
이 책은 조선의 관청을 중앙관청과 지방관청으로 나눠서 소개하면서 조선시대의 관청의 구조 및 각 기관들의 명칭, 활동내용, 주요 직급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놓았다. 뿐만 아니라 내용 중에 ‘역사 깊이 읽기’라는 코너를 마련하고 본문 내용과 연계해서 알아두면 좋을 재밌는 역사 얘기들도 다수 수록하고 있다. 이를테면 ‘궁녀는 어떤 사람일까요?’, ‘다른 나라에도 환관이 있었을까요?’, ‘과거에 함께 합격한 사람, 동년’ 등 다른 책에서는 쉽사리 볼 수 없으면서도 평소에 궁금했던 것을 풀어주는 내용들이나 생전 처음 듣는 얘기들도 많아서 아주 유용하면서 재밌게 읽을 수 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조선시대의 관청 구분 방법, 조선의 도읍지, 한성과 궁궐, 궐내각사의 종류와 위치, 내명부와 외명부, 왕을 보좌하는 관청인 내시부, 내수사, 승정원, 조선 최고의 관청인 의정부와 6조, 언론 삼사인 사간원과 사헌부, 홍문관, 학문기관인 예문관, 집현전과 경연과 서연, 성균관, 세자궁의 관청인 세자시강원과 세자익위사. 그밖의 주요 관청과 소규모 중앙관청, 그리고 지방관청의 체계 및 관아, 병조의 지방관직에 대해 자세히 알려준다.
이렇게 조선시대의 관청의 구성과 역할에 대해 상세히 알려줌으로써 500년간 명맥을 유지해온 조선이 어떻게 다스려지고 유지되었는가를 알 수 있다. 조선시대의 관청은 조성 왕조의 중심기관인 만큼 이 책을 통해 왕실의 생활과 양반들의 생활도 엿볼 수 있어서 무척 흥미로웠다.
이제 사극을 봐도, 역사책을 봐도 더 잘 이해가 될 것 같다. 사극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속한 관청을 보고 그들이 하는 업무도 짐작해 볼 수 있고 그들의 직위명을 보고 그들의 신분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업무를 현재의 부처와 비교 설명해 놓아서 더 쉽게 이해가 된다. 아주 재밌고도 유용한 책이었고 두고두고 참고할 수 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