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놀랍고 신비한 문자이야기 ㅣ 어린이지식박물관 1
캐럴 도너휴 지음, 윤희순 옮김 / 박물관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역사를 배우면서 선사시대 사람들은 문자가 없이 도대체 어떻게 생활을 했으며, 그 이후에는 어떻게 해서 문자가 생겨나서 역사를 기록할 수 있었는지 무척 궁금했었다. 물론 처음 인류가 등장해서 말을 하게 된 것 자체도 몹시 궁금하기도 하지만 말이다.
이 책은 이런 문자에 대한 궁금증들을 완벽하게 해소시켜 준다. 어떤 문자들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발전되었는가를 자세히 알려준다. 설형문자, 상형문자, 알파벳, 중국의 한자, 우리나라의 한글에 이르기까지 많은 문자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놓았다. 책 뒤편에는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문자들을 보여주며 지도에다 각 문자의 유래 지역을 표시해 놓았다.
특히 많은 이들이 궁금해 하는 옛 문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놓았다. 옛 문자하면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쐐기문자와 이집트 문명의 상형문자가 가장 많이 거론되는데, 그 중 설형문자를 말하는 쐐기 문자가 정확히 무엇인지 몰랐었다.
쐐기문자는 기원전 3000년경에 수메르 사람들이 발명한 문자로서 진흙판 위에 갈대를 꺽어 만든 첨필(끝이 뾰족한 필기구)로 수평과 수직의 쐐기 모양을 만들어서 기록한 문자라고 한다. 그리고 이집트 문자야 말로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듯이 각 사물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그림 문자다. 이 이집트 상형문자 해독에는 로제타석을 통해 프랑스의 장 프랑소아 상폴리옹이 지대한 공헌을 했으며, 설형문자의 해독에는 이란의 비시툰 마을 근처 절벽에서 발견된 비문을 해독한 영국의 헨리 로린슨 경의 공헌이 컸다고 한다.
이밖에도 이 책에는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알파벳, 중국의 한자, 우리나라의 한글이 어떻게 해서 생겨났는지 자세히 설명해 놓았으며, 전에는 일일이 베껴 쓰던 문자를 어떻게 해서 활자화시킬 수 있었는지도 설명해 놓았다.
그리고 과거에 문자 교육이 어떻게 이뤄졌는지도 자세히 설명해 놓았는데, 특히 이 부분은 우리가 타임머신을 타고 당시로 가서 직접 문자 교육을 체험하고 있듯이 묘사해 놓아서 아이들이 훨씬 재밌게 읽을 수 있다.
이 책을 위해 대영박물관의 고대 유물 담당 큐레이터들의 도움이 컸다고 한다. 고대 사람들이 진흙판이나 파피루스, 양피지 같은 데에 기록해 놓은 것이 없었다면 우리는 그 시대에 관해 전혀 알 수가 없었을 것이다. 그리고 문자가 없었다면 현재와 같은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하지도 못했을 것이다.
이 책은 이런 문자의 고마움을 알게 해주며, 기록하는 생활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알게 해준다. 문자의 발달을 보면서 역시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는 것을 다시금 깨달았다. 아울러 우리 한글의 우수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무튼 세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든 문자에 대해 많은 공부를 할 수 있는 좋은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