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지막 대결 우리말 왕중왕 ㅣ 속담왕 시리즈 3
김하늬 지음, 주미 그림 / 뜨인돌어린이 / 2009년 1월
평점 :
이 책은 <속담왕 태백이의 산골 유학기>와 <속담왕 대 사저성어의 달인>에 이어 발간된 태백 대 홍익의 대결 3편격으로 수순한 우리말을 다루고 있다. 서울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산골 마을에 사는 속담왕 김태백, 사자성어의 달인 조홍익, 놀라운 슬기주머니 차은지가 우리말 대결을 통해 우리가 모르고 있던 아름다운 우리말들을 알려준다.
짬짜미, 똘기, 발맘발맘, 도린곁, 언죽번죽 등 처음 듣는 순우리말들이 아주 많이 나온다. 이런 말들이 정보성 글로써 따로 정리돼 있는 게 아니라 동화 속에 녹아 있어서 그 말들이 어떤 때 사용되는지를 자연스레 익힐 수 있게 해준다. 이 책에서 사용된 순우리말이라 함은 우리말 중에서 고유어를 지칭한다고 한다. 우리가 쓰는 말 중에서 외국에서 들어온 말인데 국어처럼 쓰이는 단어인 외래, 다른 나라의 말인 외국어, 한자에 기초하여 만들어진 한자어를 제외한 순수한 우리말을 뜻한다.
이 책은 산골 마을에서 벌어지는 여러 가지 재밌는 사건들을 들려주면서 태백이와 홍익이의 우리말 대결 3차전을 통해 더 많은 순우리말을 재밌게 알려준다. 1차전에서는 잠을 일컫는 순우리말들을, 2차전에서는 비를 지칭하는 순우리말들을, 마지막으로 3차전에서는 바람을 나타내는 순우리말들로 대결을 벌인다. 대결을 벌일 정도로 잠과 비, 바람을 지칭하는 우리말들이 많다는 얘기다. 깜짝 놀랄 정도로 많다. 하지만 3차전까지 대결한 결과는 은지가 순우리말 여왕이 된다. 이렇게 동화 내용도 재밌다.
그리고 정보 페이지에서는 수를 일컫는 옛말, 성격이나 특징에 따라 사람을 표현한 말, 사람이나 사물의 소리나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 북한말, 웃음을 표현하는 말, 동물의 새끼를 일컫는 말, 잠과 비 그리고 바람을 지칭하는 말, 나이와 날짜를 세는 순우리말 등이 잘 정리돼 있다. 그리고 매 단원마다 여러 가지 속담도 함께 알려준다.
세계가 지구촌으로 불린지는 이미 오래되었고 세게 여러나라간의 빈번한 왕래로 문화 융합도 늘어나고 있으며 다문화 가정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을 감안할 때, 앞으로 그 나라만의 독특한 문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말과 문자뿐일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만의 독특함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순수한 우리말들을 오늘에라도 되살려서 잘 활용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