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궁녀 - 궁궐의 꽃
신명호 지음 / 시공사 / 200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의 제목에 나온 대로 우리는 보통 궁녀를 궁궐의 꽃으로 본다. 이 책에서 궁녀를 궁궐의 꽃으로 지칭한 의미는, 왕실의 복장과 음식, 육아 등을 담당하면서 왕실 문화를 꽃피우고 오늘날까지 면면이 이어져 내려오게 한 공헌한 자로서다. 하지만 우리는 보통 궁녀를 화려한 옷차림에 임금의 사랑을 찾는 꽃으로서만 생각해 왔었다.
이 책은 이렇게 텔레비전 사극이나 일반적인 통념을 통해 우리가 궁녀에 대해 가지고 있는 선입견을 여러 역사적인 자료를 통해 바꿀 수 있게 해준다. 물론 이 책에는 임금의 총애를 받아 그야말로 신데렐라로 격상한 궁녀의 얘기도 들어 있다. 하지만 이 책은 왕의 여자로서의 궁녀가 아니라 궁궐의 살림과 운영을 책임지는 직업인으로서의 궁녀를 소개하고 있다.
궁녀는 왕의 사적인 공간인 궁궐에서 일하는 여성들이기 때문에, 그리고 왕의 사생활을 궁금해 하는 것은 역모의 뜻을 가졌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누구도 궁녀에 대해 관심을 갖지 않았고 그래서 역사적인 기록들이 거의 없다고 한다. 기껏해야 궁녀가 역모나 각종 사건에 연루되었을 때 기록된 조사 내용이 전부라고 한다. 그래서 <계축일기>, <인형왕후전>, <한중록> 등 궁중 문학 작품과 <추안급국안>이라는 법정 기록을 통해 궁녀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을 뿐이라고 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궁녀의 조직은 체계적이었던 것 같다. 경국대전에서 조직을 명시해 놓을 정도로 체계가 있었으며 직무에 따라 분화가 잘 된 조직이었다. 그리고 남존여비가 심했던 조선 시대에 여성으로서 존중받을 수 있던 전문 여성 직업인이었던 셈이다. 그리고 궁녀의 임무 수행을 돕기 위해 무수리, 방자 같은 하인들을 궁녀에게 배속시켜 준 것을 볼 때도 궁녀에 대한 대우가 상당히 좋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궁녀 하면 떠오르는 성과 사랑에 대해서도 적어놓았다. 그리고 장녹수와 김개시 등 궁녀로서 세상을 떠들썩하게 한 궁녀 열전도 수록해 놓았다. 아마 우리가 궁녀 얘기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고 생각되는 부분이 이 이야기들일 것이다.
하지만 이런 흥미 위주의 이야깃거리의 주인공으로서의 궁녀가 아니라, 조선 시대 최고의 음식 문화, 육아 문화, 교육 문화, 복식 문화를 이끈 숨은 공로자로서 궁녀를 재조명해 봄으로써, 보다 조선 시대를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같다. 나도 처음에서 흥미를 위해서 이 책을 읽었으나 읽고 나니 역사적 바탕이 넓어진 듯한 느낌이 된다. 폭넓고 깊이 있는 역사 알기를 위해서도 이렇게 왕 중심의 역사 얘기 벗어난 다양한 역사책이 등장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