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도 행복하기 위해 그림을 본다 - 마음을 정리하는 미술치료 솔루션
김소울 지음 / 흐름출판 / 2022년 1월
평점 :
나는 어제도 미술관에 다녀왔다. “내가 왜 그림을 보러 다닐까?” 생각해 보니 새로운 것에 대한 탐구욕 충족을 위해서다. 나는 미술관에 다녀와서 작가 이름과 작품 설명 등을 찾아본다.
그 작가가 사용한 기법 등 내가 생각지도 못한 부분에 대한 설명을 통해 나의 일상과는 다른 세상을 느끼는 것이 행복하다.
내가 그림에서 받는 감상과 달리, 이 책에서는 그림을 위로의 도구로 사용한다. 저자 김소울은 이름처럼 이 책을 통해 영혼을 정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그림 이야기를 들려준다.저자는 자신의 우울과 섭식 장애의 치료를 계기로 미국 플로리아주립대학에서 미술치료를 공부했고, 현재는 ‘플로리다 마음연구소’라는 미술 치료 상담소를 운영하고 있다.
그동안 나는 노래를 통해 불행한 감정들을 위로받았는데, 이 책에서 소개한 그림들을 보니 그림은 시각적인 자극을 바로 주기 때문에 훨씬 더 오랫동안 내 감정을 들여다보게 하고 섬세한 위로를 해주는 것 같다.
이 책은 행복, 우울, 관계, 자존감, 트라우마, 스트레스, 방어기제, 균형, 무의식, 위로 등 주제를 정해 저자가 상담했던 내담자의 사례와 그때 사용했던 그림 이야기를 통해 불행한 감정들을 해소하는 방법에 대해 들려준다. 그 덕분에 나의 일상이나 감정도 살펴보게 되었고 그림 속에 숨은 화가들의 인생 얘기를 통해 타인의 감정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각자도생이나 혼밥, 혼술, 1인 가구 등 요즘 유행하는 용어만 봐도 지금은 타인의 위로를 받기가 참 힘들어진, 그래서 너무나 슬픈 시대가 됐다. 이런 상황에서 자기 스스로를 다독일 방법이 필요한데, 그림 감상이 그 한 예가 될 것이고, 이 책이 그렇게 이용하는 데 도움을 준다.
나는 장 레옹 제롬의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이아>, 에드바르트 뭉크의 <별이 빛나는 밤>을 통해 위로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