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시장의 포식자들
장지웅 지음 / 여의도책방 / 2021년 10월
평점 :
절판
과장하면 내 주위에 주식 투자를 하지 않는 사람은 거의 없는 것 같다. 나도 아주 오래 전에 주식 투자를 조금 했었는데 제대로 관리를 하지 않았더니 감자되고 관리대상종목이 되어 저절로 없어져 버렸다. 이런 안 좋은 기억 때문에 주식 투자에 대해서는 아예 관심을 끊었는데, 주위 사람들이 주식이나 가상화폐에 투자하는 것을 보니 그동안 내가 너무 바보같이 재테크에 무심했나 싶어서 이 책을 보게 되었다. 가진 것도 없고 노후 대비도 안 했는데 그동안 너무 태평이었던 것 같아 이제라도 공부를 해 볼까 해서말이다.
작년이나 올해 초에는 주식 시장이 좋아 개미 투자자들도 돈을 벌었다지만, “돈이 돈을 번다”고 정작 큰 수익은 엄청난 자본가들이 다 가져갔다. 그래서 이 책 <금융시장의 포식자들>을 통해 그들이 어떻게 해서 큰 부를 이뤘는지가 궁금했다.
이 책의 저자 장지웅은 15년간 기업의 인수합병을 주도하고 실무를 거친 전문가일 뿐 아니라 주식 교육 채널 대표강사인 만큼 주식 투자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런데 이 책의 내용은 내가 기대했던 것은 아니었으나 주식 투자 초보자가 가장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자세인 것 같았다. 바로 기업을 바라보는 시각을 금융시장의 포식자처럼 가지라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이 책은 금융시장의 포식자로 대기업, 기관, 글로법 기업과 이웃나라 일본과 중국을 지적했다. 이 중 대기업, 기관이나 글로벌 기업은 당연히 짐작할 수 있었지만, 왜 일본과 중국이 포함됐는지를 몰랐는데, 이 책 310쪽에 나온다. 알라바바의 마윈 이야기를 하면서. 텔레비전 대출 광고에 많이 나오는 신용 대출 업체들 중에 일본 기업이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고 이들이 우리나라에까지 진출하게 된 배경 이야기도 들었다.
어쨌든 금융시장의 포식자들은 개인이든 기관이든, 돈이 있는 자들이다. 이 책 296쪽에 “있는 자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그들의 프레임으로 세상을 바라봐야 한다. 정부가 유동성을 공급하고 돈을 풀어도 정부가 시장에 쏟아부은 돈을 갖다 쓰려면 신용이 필요하다. 오늘내일하며 만 원 한 장이 아쉬운 서민들은 정부의 돈을 융통할 신용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시장에 돈이 풀릴 때 자본가들은 값싼 이자로 돈을 흡수해서 더 큰 부를 창출한다.”라는 말이 나온다. 이 말에서처럼 저자는 포식자의 눈으로 금융시장을 바라보라고 조언한다. 그러면서 그들이 어떻게 부를 거머쥐었는지, 그리고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지를 들려준다.
도통 기업 뉴스에 관심이 없었던 내게 분식회계니 인수합병 같은 이야기는 어려웠지만 한편으론 생소했기에 흥미롭게 볼 수 있는 부분도 많았다. 어쨌든 요약하면, 저자는 기업 리더의 행방을 주시하며, 경영자가 오너인지, 전문경영인인지에 따른 장단점을 생각해 보고, 기업 문화가 새로운 사업에 수용적이고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한지 등을 살펴보라고 당부한다. 이밖에도 중국과 일본의 기업 환경 및 금융 구조도 설명해 준다.
이런 내용들이 내게는 어렵고도 새로웠지만, 앞으로는 기업 뉴스를 어떻게 봐야 하는지를 생각해 보게 만들었다. 하여 작은 투자 전략이 아니라 기업의 변화를 큰틀로 볼 수 있는 시각이 필요한 사람들은 한 번쯤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