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 우리 역사 속 신문물 엿보기 ㅣ CQ 놀이북
김온유 지음, 임덕란 그림 / 엠앤키즈(M&Kids)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전에 한 박물관에서 유리 거울이 달린 경대를 보면서 도대체 유리 거울이 언제부터 사용됐는지 궁금해 했던 적이 있다. 분명 옛날에 청동거울을 사용했다고 들었는데...이 책 거울 편을 보면 ‘경장’이라는 제조기술자를 따로 두고 거울을 본격적으로 생산하던 조선시대부터 거울 제조 기술이 발달했단다. 하지만 지금과 같은 유리 거울이 사용된 것은 1883년경 인천헤 판유리 공장이 건립되면서 유리가 대량으로 생산되자 얼굴을 비추는 면경이 널리 보급되면서부터 란다.
흥미로운 이야기가 가득한데, 그 중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별명인 아천성이었던 마술사 김광산과 성종이 몹시도 좋아했던 불꽃놀이에 관한 이야기다.
전에 고춧가루를 사용한 빨간 김치가 광해군 이후에 만들어졌다고 담배도 임진왜란 이후에 일본을 통해 들어왔다는 것을 알고 놀란 적이 있다. 김치하면 당연히 한국이고, 그런만큼 빨간 김치가 예전부터 전해려 내려왔는 줄 알았는데, 예전 김치는 소금에 절인 하얀 김치였고 김치에 고춧가루를 사용하게 시작한 것은 임진왜란 이후였단다. 또, 옛이야기를 할 때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이라고 시작하기에 당연히 아주 먼 옛날부터 담배가 있었다고 생각했었는데, 이것 역시도 임진왜란 이후에 전래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으레 예전부터 있으리라 생각했던 것 중 조선 후기나 개항기에 전래된 것들이 제법 있다. 이 책은 바로 외국에서 우리나라에 전래된 문물에 대한 이야기다.
안경, 담배, 거울, 전차, 전깃불, 전화, 커피, 사진기, 불꽃놀이, 감자, 자행거, 야구, 마술사, 양초가 그것이다. 대부분의 것들이 개항기 때 들어온 것들이다. 이 중 불꽃놀이는 고려 때 최문선이 화약을 발명한 이래 궁궐에서 외국 사신을 접대하거나 명절에 행해진 놀이란다. 양초 이전에도 삼국시대부터 자초, 홍대초가 있었는데, 현대와 같은 파라핀 초는 19세기 중반에 석유 정제 산업 이후에 등장하게 되었단다. 양초가 무엇인지 몰랐던 사람들이 양초를 어떻게 생각했는지를 방정환 선생님의 <양초귀신>이라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통해 들려준다.
또 마술사에 대한 이야기도 아주 흥미로웠다. 서울에서 마술은 당시에 황금관이라 불렸던 국도극장에서 주로 행해졌다고 한다. <서울잡학사전>이라는 책에는 당시에 김연수라는 마술사도 있다고 적혀 있다고 한다. 자전거를 1895년 서재필 박사가 미국에서 들여왔고 당시에는 자행거라는 불렸다가 자전거로 명칭이 바뀌었다는 흥미로운 이야기도 있다.
당시에 서양문물 모두가 환영을 받지는 못했음을 사진과 전차, 전기불 편에서 알 수 있다. 그리고 전화 덕분에 백범 김구 선생님이 목숨을 구했다는 흥미진진한 에피소드 이야기도 들을 수 있다,
지금은 우리에게 너무 익숙해진 것이고, 이제는 시대에 뒤떨어져 사용하지 않는 것도 있지만, 그것들이 어떤 시기에 우리 곁에 다가와서 익숙해졌는지를 알 수 있는 흥미로운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