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리의 아파트
기욤 뮈소 지음, 양영란 옮김 / 밝은세상 / 2017년 11월
평점 :
기욤 뮈소의 명성은 대단하나, 그의 작품을 제대로 읽어 본 것은 <센트럴 파크>에 이어 이 책 <파리의 아파트>가 두 번째다. 몇 년 전에 <센트럴 파크>도 재미있게 읽었는데, 그다지 기억에 나지 않는다. 그런데 이 책은 정말 흥미롭게 읽었다.
책 뒤 설명에도 나와 있듯이, 전직 강력계 여형사였던 매들린과 은둔형 극작가인 가스파르가 임대회사의 실수로 파리의 한 아파트에 머물게 된다. 그 아파트는 천재화가 숀 로렌츠가 살았던 집으로, 그는 1년 전에 심장마비로 사망한다. 그런데 그 집의 법정상속인으로서 화랑을 운영하고 있는 베르나르는 이들에게 로렌츠에게는 납치돼서 살해된 줄리안이라는 어린 아들이 있었으며, 로렌츠가 사망 직전에 그린 그림 세 점이 사라진 사실을 이야기한다.
매들린과 가스파르는 의기투합해 그 사리진 그림 세 점을 찾는데, 그 과정에서 로렌츠가 죽기 전에 줄리안이 살아있다고 확신하고 조사를 하고 있었음을 알게 된다. 이후 이들은 작가의 본성과 형사로서의 기질을 발휘해 줄리안의 납치 사건을 재조사하고, 끝내는 상상하지도 못할, 납치 사건의 진범을 찾아낸다.
이처럼 이 책의 이야기는 흥미진진하고 박진감 있다. 그동안 ‘히가시노 게이고’라는 일본 작가의 추리소설에서 빠져서 살았는데, 기욤 뮈소라는 서양의 추리물 작가를 새로 알게 돼 즐겁다. 또한, 화가를 주인공으로 한 만큼 다양한 화가에 대한 이야기가 양념으로 등장하며 특히 천연염료에 대한 이야기는 그림에도 호기심이 많은 내게 무척 흥미로웠다.
그리고 역자도 이야기했지만 부성애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숀 로렌츠의 아버지와 범인의 아버지는 상당히 대조적인 사람이다. 요즘처럼 핵가족 사회에서는 자녀 양육에서 부모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한데, 그런 점을 두드러져 보이게 하는 것이 이 작품이라 하겠다. 특히 아버지의 역할을. 한동안 할아버지의 경제력, 엄마의 경제력, 아빠의 무관심이 자녀 성공의 3요소라는 말이 돌기도 했지만, 주위에서 자녀가 잘 된 경우를 보면 아빠가 자녀 교육에 관심을 많이 기울인 경우가 오히려 더 많은 것 같다. 요즘에 책 읽어주는 아빠, 육아에 동참하는 아빠, 요리하는 아빠 등 가정에서의 아빠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 또한 이런 이유에서일 것이다. 그리고 아빠 역시도 가족과 함께해야 인생 내내 행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