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로나 디바이드 시대가 온다 - 팬데믹 이후, 한국사회의 지역·디지털·기업을 양극단으로 가르는 K자형 곡선의 경고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지음 / 월요일의꿈 / 2022년 4월
평점 :
코로나로 인하여 우리 사회의 모습이 많이 달라진 것을 새삼 느낍니다. 왜냐하면 저부터도 근무 환경의 변화라든지 업무 등의 변화를 몸소 체험했으니까요. 코로나로 인해 많은 자영업자들이 힘들어하고 장사를 그만 둔 가게들도 많이 볼 수 있었습니다. 물론 이 시기를 이용해서 오히려 위기를 극복하고 더 잘 된 경우도 있지만 양극화의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님은 분명합니다.
이 책에서는 코로나가 가져온 우리 사회의 양극화 문제에 주목하면서 과거에 비해 양극화가 더 심해졌으며 이러한 문제를 그냥 둘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는지에 대해 물음을 던지고 고민하게 만들어줍니다.
코로나로 인해 달라진 점 중 디지털 격차로 양분된 우리 사회의 모습이 아무래도 현실에서 많이 느끼고 있어서 그런지 와닿았던 것 같습니다. 다른 나라에 비하면 디지털 보급율은 높은 편이지만 활용도 면에서는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죠. 학교에서도 보면 정보화 기기를 지원해주는 경우가 많고 일인당 한대씩 지원을 해줄 정도면 보급률은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를 활용하는데 있어서는 물론이고 연령에 따라서는 격차가 벌어질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책에도 나와 있지만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키오스크인 것 같습니다. 어른들에게는 굉장히 낯설 수 있지만 누구 하나 도와줄 사람도 없는 무인으로 운영되는 가게의 경우는 더욱 더 상황이 심각하지 않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이 책이 신선했던 것은 우리 사회의 양극화 문제를 잘 짚어주면서도 문제만 제기하고 끝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내다보고 이를 아주 잘 정리해주고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정리가 잘 되어 있어서 책을 보면서 이해가 잘 되더라고요.
그리고 또 한 가지는 디지털 양극화와 지역 양극화, 기업 양극화 등의 문제를 다루면서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로 양극화 시나리오를 제공하고 있는 점이 색달랐습니다. 이 부분이 좀 더 여러가지 방면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 같으면서도 드라마 소재를 접하듯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아무튼 이제 더 이상 우리 사회의 양극화 문제는 코로나로 인하여 더 심각해졌고 이를 간과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