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신분석 치료세계를 아십니까? - 몸과 마음이 아픈 이들에게!
윤정 지음 / 북보자기 / 2023년 1월
평점 :
라캉의 이름을 참으로 오랜만에 들어보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책은 그냥 라캉의 정신분석 책이 아니라 제목 위에 쓰여져 있는 라캉 VS 윤정이라는 글귀가 눈에 띄는 책이었습니다. 라캉은 들어봤는데 윤정은 누구지 했는데 이 책의 저자가 바로 윤정이었네요.
책을 읽기 전부터 두 사람이 이야기하는 정신분석이 뭔가 다른 구조를 띄는 점이 있나보다 싶어서 저도 모르게 차이를 찾으려 하면서 책을 펼쳤던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정신이 들어가는 말이나 상담이라고 하면 다소 거부감을 보이는 사람들도 많았던 것 같은데 이제는 그래도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을 많이 접해서 그런지 전혀 낯설지 않고 누구나 도움이 필요하면 받을 수 있다는 생각이 과거에 비해서 조금이나마 더 생겨나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많은 사람들이 여러가지 문제에 늘 직면한 채로 살아가고 있고 마음의 여유 또한 과거에 비해 많이 없기에 우리는 늘상 어두운 면도 가진 채로 사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것들을 정신분석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는 책이었던 것 같네요.
다소 책에 나오는 용어들이 쉽지는 않습니다. 워낙 생소한 단어들도 많고 명료하게 다가오지 않는 단어들도 많아서 말이죠. 다행히 책에는 중요한 단어들을 흑백 형광펜으로 줄을 친 것처럼 표시해주고 있어서 눈에는 잘 들어오더라고요.
정신분석치료에서 말이 얼마나 중요한 키워드인지 다시 알게 되었습니다. 책의 1장에서 라캉의 정신분석현장의 내면 풍경과 2장의 윤정의 정신분석 현장의 내면풍경을 보면서 조금이나마 두 사람이 이야기하는 정신분석이 어떤 것이고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삶은 모든 언어의 문제’라는 글귀가 계속 기억에 남고 무의식에 대한 내용도 더 잘 이해하게 되었답니다. 그리고 다소 이 책이 어렵다 싶으신 분들도 책 곳곳에 쓰여져 있는 ‘거울 보기’라는 부분들을 읽어보면 그냥 이 부분을 읽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편안해지기도 하고 위로가 되는 부분들도 있고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