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만약 집을 짓는다면 - 후암동 골목 그 집 이야기
권희라.김종대 지음 / 리더스북 / 2016년 4월
평점 :
품절
아파트에 사는 것만 생각하고 있다가 이제는 더 이상 아파트에 사는 것만이 해답이 아니란 생각이 많이 들었다. 윗집의 배려 없는 층간 소음에
시달리고 답답한 주거 공간이라 느끼기 시작하면서 하루 빨리 집을 지어 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참아가는 공간이 아닌
정말 힐링과 행복이 공존하는 공간으로서의 집을 갈망하던 찰나에 이 책을 발견하면서 좀 더 구체적으로 그림을 그려보게 되었다.
결혼을 하고 실내건축 디자이너인 아내가 디자인한 다가구 주택에서 신혼을 보냈다는 저자의 이야기를 듣고 있으니 여러가지 궁금한 생각들이
머리를 스쳤다. 내가 보기엔 디자이너가 디자인한 집이라하니 오죽 감각있고 잘 지어놓고 살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이들 부부가 신도시의 주택
환경이 싫어 이곳을 떠날 결심을 하는 걸 보고 처음엔 의아했다. 예쁘게 디자인된 집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그곳에서 사는 사람들과의 추억과 그
사람들의 삶이 고스란히 녹아들 수 있는 저자가 말하는 '삶을 담은 집'이라는 사실이 더 중요하다는 걸 공감하며 깨달았다.
책 속에는 저자가 왜 집을 지으려고 했는지 그 이유와 함께 아이들을 위한 추억을 심어주기 위해 그리고 부모님과 함께 살기 위해 집을 짓는
과정이 잘 그려져 있다. 집을 짓고 싶지만 막연하기만 했던 나에게 어떤 것부터 알고 있어야하고 어떤 것부터 시도해야하는지를 알려주고 있다.
막연하기만하고 모르는 것 투성이었던 나에게 저자의 경험담을 통해 땅 계약부터 시공사 선정하는 것, 골조 공사, 인테리어 공사, 배관 공사, 단열
공사, 외부마감 공사를 비롯한 그 외의 공사까지 고려할 것들이 얼마나 많은지 그리고 어떻게 해야하는지 노하우를 들을 수 있어서 실제로 집을 짓는
것에 대한 두려움도 조금은 없어졌고 집짓기에 한걸음 더 다가간 것 같은 수확을 얻을 수 있었다.
요즘 보니 협소 주택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방송에도 자주 등장하는 주제이던데 무조건 큰 집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그 안을 어떤 것들로
채우는지가 더 중요하므로 내실있게 정말 살고 싶은 집을 짓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3대가 함께 사는 멋진 집을 짓는데 성공한 저자의 이야기는
나에게도 당장 실천에 옮길 용기를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