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책] 뇌질환 당장 치료하라
나상혁 지음 / 두침출판사 / 2023년 1월
평점 :
판매중지


뇌질환이라는 말만 들어도 무섭다는 생각이 앞설 정도로 반드시 잘 치료해야 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걱정이 앞서지만 뇌가 아프면 뇌를 치료하라는 책의 글귀처럼 잘 치료하면 괜찮겠지라는 생각도 들면서 그렇다면 어떻게 뇌를 치료하지라는 의문도 함께 따라오더라고요.  

 

책은 마치 전문 서적을 읽는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그림이 상세히 그리고 생생하게 그려져 있었습니다. 의사들이나 과학 관련 일을 하는 사람들이 보는 전공 서적 같은 느낌으로 앞부분을 살펴보았습니다. 책의 앞부분은 다소 어려운 용어들과 생소한 단어들로 인해 눈에 쏙 안 들어올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지만 이러한 것들이 우리 뇌와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저는 책을 읽으면서 우리의 뇌와 관련된 질환들이 이렇게나 많고 이런 질환들이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는 문제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특히나 두통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은 너무 많이 봐왔고 이에 못지 않게 어지럼증이나 이명으로 인해 힘들어 하는 사람들을 자주 볼 수 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으로 이러한 질환들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컸습니다. 

 

아무래도 책을 읽으면서 가장 관심이 많이 가는 것 중의 하나는 임상 사례들이 나와 있는 부분이었습니다. 실제로 어떤 문제가 있었고 또 이를 어떻게 치료했길래 호전되었는지가 가장 궁금한 부분 중 하나였거든요. 호전되었다는 사례들을 보면서 뇌질환도 잘 치료하면 좋아진다는 것을 다시금 느끼게 된 부분도 있었고요.

 

뇌 자극술처럼 전기를 통해 치료하는 방법은 저도 해본 적이 있는데 이런 치료법의 장단점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살펴보면서 어떤 치료법을 사용하는지도 중요하다는 생각도 많이 했답니다. 특히 이명은 주변에서도 자주 볼 수 있는 질환이여서 이 부분은 더욱 더 관심을 갖고 살펴보았답니다. 뇌와 관련된 질환들을 살펴보고 어떻게 치료하면 좋을이 알아볼 수 있는 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란이 소란하지 않은 계절 현대시학 시인선 107
이경선 지음 / 현대시학사 / 2022년 11월
평점 :
품절


오랜만에 시집을 읽는 것 같습니다. 특히 그동안 가을이 시를 읽기에 가장 적합한 계절이라고 생각했는데 계절과 크게 상관없이 좋은 시들은 마음에 와닿는 것 같네요. 이 책은 제목에도 계절이 들어가는데 소란이 소란하지 않다고 하니 그 의미를 알듯 말듯 하면서 제목에 먼저 시선이 꽂히네요. 

 

소란이 소란하지 않은 계절이 과연 있기는 한 건지, 그리고 있다면 어떤 계절인지 문득 궁금해지더라고요. 책을 읽다보면 소란이 소란하지 않은 계절이 나와 있기는 하지만요. 아무튼 책에 나오는 여러 계절에 대해 하나씩 생각해 볼 수 있었습니다. 보통 계절별로 나누어 놓은 시들을 읽다보면 큰 목차가 봄, 여름, 가을, 겨울 순서로 이어지는 것을 대부분 많이 봐왔습니다. 이 책은 계절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더라고요. 

 

봄을 이야기하는 듯한 제목의 꽃과 가을, 겨울을 거쳐 봄을 건너 띈 여름으로 이어지는 것 같은 제목을 띄고 있답니다. 저는 요즘 날씨가 너무 너무 추워서 그런지 따뜻한 이야기가 그리웠나 봅니다. 봄과 여름에 대한 이야기가 좋더라고요. 특히 그 중에서도 꽃에 대한 이야기는 생각만해도 너무 좋습니다. 

 

언제부터인지는 몰라도 겨울이 오면 곧 봄이 왔으면 하는 바람과 함께 봄이 곧 올 것이고 그러면 아름다운 꽃들을 볼 수 있겠지란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아파트를 벗어나서 정원이 있는 집에 살다보니 더욱 더 그런 생각을 많이 하게 된 것 같습니다. 책 속에 꽃과 함께 나와 있는 다양한 이야기들을 접하면서 상상을 해보기도 하고, 특히 ‘마음의 정원’이라는 부분들을 읽으면서 예쁜 꽃들을 더 떠올려보기도 했습니다. 


각자 저마다의 사정이 있다고 이야기하는데 그 말에 정말 공감합니다. 아무튼 동짓날을 떠올리면 무조건 팥죽을 먹어야 할 것만 같은데 사실은 팥죽이 중요한 것이 아니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시집 안에 ‘동짓날’이라는 제목의 시를 읽으면서 말이죠. 팥죽을 핑계로 어쩌면 가족과 함께 모이고 행복한 추억을 갖기를 바라는 것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아무튼 포근한 이야기, 쓸쓸한 이야기 등 다양한 이야기들을 시를 통해 만나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의 하루가 따숩길 바라 - 마음에 약 발라주는 '힐링곰 꽁달이'의 폭신한 위로
고은지 지음 / 북라이프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받자마자 표지 그림이 너무 귀엽기도 하고 제목도 따수워서 눈에 쏙 들어왔답니다. 하지만 자세히 보니 귀엽기만 한 느낌의 곰돌이들의 눈 한쪽에서 눈물이 주르륵 흘러 내리고 있네요. 하지만 책 제목처럼 누군가가 나의 하루의 따스함을 빌어준다면 흐르던 눈물을 닦아주는 것 같은 느낌이 들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웹툰으로 되어 있어서 쉽고 편안하게 읽을 수 있고 책장이 술술 넘어갑니다. 하나 하나 주옥같은 말들로 누군가의 삶을 위로해주는 것 같아서 읽으면서 저 역시도 위로 받는 느낌도 들고 알게 모르게 힐링이 되는 것 같기도 했습니다.

 

들려주는 말들 중에 마음에 드는 말들이 너무 많지만 그 중에서도 진짜 긍정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들이 좋았습니다. 사실 책의 첫 마디 글을 보면서 흠짓 놀랐습니다. 왜냐하면 저 역시도 많이 하는 말 중의 하나가 부정적인 사람들을 멀리하라는 말이었거든요. 부정적인 사람들 옆에 있으면 나의 긍정적인 기운이 날라가는 것처럼 힘이 빠지더라고요. 그래서 그런 말을 저도 자주 하는 편인데 책에서는 갑자기 그 사람이 나야라고 말을 하니까 제가 움찔할 수밖에요. 하지만 책에서는 진짜 긍정은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마주하고 인정하는 것이라고 이야기해줍니다. 부정적인 사람을 멀리해라보다 그 사람이 진짜 긍정의 의미를 알고 조금이나마 변화할 수 있었으면 하는 마음이 드네요. 

 

누군가의 상처 입은 이유를 그 사람의 예민과 불안으로 돌리지 않아야 한다는 글도 가슴에 깊이 와닿았습니다. 어찌보면 저 역시도 타인의 상처를 그 사람의 성격 탓으로 돌리진 않았는지 생각해보게 되었고, 우리 사회 역시도 이런 일이 비일비재하게 일어나는 것 같아서 안타까운 생각이 들었습니다. 

 

힐링곰의 특별한 고민 상담 덕분에 다양한 생각을 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특히 나 자신이 갖고 있는 생각 중 부족한 부분들은 없었는지 많이 생각해볼 수 있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광전구 : 빛을 만들다 - 60년 된 전구 회사는 어떻게 리브랜딩에 성공했나 curated by bkjn
bkjn 편집부 지음 / 스리체어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우리집만 보더라도 백열 전구가 하나도 없습니다. 다른 집들은 쓰겠지라고 별 생각이 없었는데 어느 순간 led등으로 하나둘씩 바꾸면서 지금은 많이 없어졌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었네요.  

 

뭔가 오랫동안 해오던 자신들만의 고유한 것들을 바꾼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 같습니다. 60년이나 된 전구 회사는 시대적 흐름으로 인해 어쩔 수 없는 변화를 맞이하게 됩니다. 이럴 때 만약 나였다면 이제 지금까지 해오던 것들은 더 이상 안 되겠다라고 사업을 서서히 접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지 않고서는 변화에서 살아남기 힘들다고 판단을 내리고 말이죠.

 

하지만 이 일광전구라는 회사는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자신들의 것을 그만두거나 아니면 기존의 것을 버리고 새로움을 쫓는 경우를 많이 보는데 이 회사는 백열 전구의 직접 생산만 중단합니다. 백열 전구 사업이 기울고 어려워질 것 같은 상황에서 위기를 기회로 바꾼 셈이 되었네요.

 

브랜드 전반을 리디자인해서 새롭게 태어나는 회사를 꿈꾼 덕분에 리브랜딩에 성공한 회사가 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사실 책의 전반적인 내용은 조명과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들이 본다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은 내용입니다. 실제로 일광 전구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이어져 왔는지 그 역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들이 겪게 된 시대적인 흐름으로 인한 위기와 이 위기를 어떻게 해결하고자 했는지를 살펴볼 수 있죠.

 

전구 회사에서 조명 기구 회사로 탈바꿈하는 과정을 책을 통해 만나볼 수 있는데 이렇게 리브랜딩에 성공하고 계속해서 나아갈 수 있는 힘의 원천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책을 다 읽고 나서 괜시리 우리집에 있는 조명들을 한참 동안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백열 전구를 이사하면서 모두 바꿨다는 사실과 지금의 led전구가 시간이 더 지난 후에는 어떤 조명으로 또 다시 탈바꿈하게 될지 궁금해지기도 하네요. 아무튼 일광 전구라는 한 회사의 변화 과정을 잘 살펴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퇴사가 간절한 날에 읽는 철학 이야기
사토 마사루 지음, 최현주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퇴사가 간절한 날에는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생각하게 만드는 책입니다. 그럴 땐 당장 회사를 때려치우고 싶을텐데 철학이라뇨. 코로나로 인해 정말 많은 것들이 변했다고 저 역시도 많이 느끼며 생활하고 있는데 책의 앞부분에서 밝힌 네 가지 격차는 저도 무척이나 공감이 많이 되더라고요. 저자가 일본인인데도 우리 사회는 물론 다른 나라의 모습도 마찬가지란 생각이 드네요. 

 

이 책을 읽으면서 든 생각은 퇴사하고 싶어도 이 책으로 마음을 다잡고 다시 다녀야 할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사실 직장 생활을 하면서 가장 힘든 것은 일적인 부분도 있겠지만 인간관계로 인한 것이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면에서 일을 어떻게 바라보느냐 하는 것과 우리가 일을 하는 목적을 어디에 두느냐는 생각해 볼만한 것 같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돈까지 벌 수 있으면 하고 바라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책에서 이야기하듯 풍요로움을 느끼기 어려운 현실인 것이죠. 그래서 그런지 책의 첫번째 장에서는 돈에 대한 이야기들을 계속 하고 있습니다. 나에게도 돈이 어떤 의미인지를 생각해보게 하는 것이죠.

 

애덤 스미스나 마르크스와 같은 우리에게 쟐 알려진 철학자 이외에도 일본의 사상가들이나 소설가 등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대. 다소 생소한 일본 사상가들의 이야기도 많지만 전달하는 내용들은 비교적 단순합니다.

 

철학 사상가들의 이야기를 책 속에 많이 풀어놓아 어려울 것이라 생각했지만 생각보다 철학자들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언급되는 편은 아니여서 그냥 가볍게 우리의 일이나 인간관계, 풍요에 대한 생각들을 책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 아울러 부정적인 감정을 어떻게 다스리느냐 등 나의 삶의 자세를 생각해볼 수 있었고요. 

 

퇴사가 간절한 순간들은 직장인들에게 종종 아니 어쩌면 더 자주 쉽게 찾아올 수 있겠지만 그럴 때마다 나의 마음을 다잡고 멘탈을 강하게 하면서 스스로를 컨트롤 할 수 있어야겠다는 생각이 많이 드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