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술책을 읽다 - 미술책 만드는 사람이 읽고 권하는 책 56
정민영 지음 / 아트북스 / 2018년 3월
평점 :
158.미술책을 읽다-정민영
모든 미술책의 목적지는 미술이 함께하는 삶이다. 나의 미술출판 행위가 그렇듯이, 미술책 리뷰도 결국 '미술이 동행하는 삶'에 대한 하나의 제안이자 미술로 삶의 경험을 바꿔주고 싶은 마음의 실천이다.(14)
<교수대 위의 까치> 독서모임을 하고 큰 실망감이 찾아들었습니다. 자신의 취향에만 집중하여 그 취향에 대해 이야기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나는 어떤 화가의 어떤 그림을 좋아해요'라고 말하는 것에 대한 염증은 저로 하여금 미술책 독서에 대한 회의를 불러일으켰습니다. 미술책을 읽어서 무엇을 할까 하는 식으로. <교수대 위의 까치> 모임이 끝난 뒤에 저는 어느새 미술책과 멀어졌습니다. 몇달간을 미술책을 멀리하고 미술에 관심 없이 지냈죠.
그런데 변화가 찾아왔습니다. 변화의 시작이 된 것은 미술책이 아닌 음악을 다룬 서경식의 <나의 서양음악 순례>라는 책이었습니다. 자신의 삶과 연관하여 자신만의 음악비평을 시도한 이 책을 읽으며, 저는 예술이 단순히 취향의 문제라거나 예술작품 그 자체를 넘어서는 그 무엇인가라는 사실을 실감했습니다. 예술작품은 단순히 한 개인의 창작물을 넘어서서, 그 예술이 탄생한 역사적,사회적 맥락 속에서 형성되어 의미를 얻고 후대에 평가를 받는다는 사실을 생생하게 느낀 것이죠. 저는 그것을 실감하며 다시 예술과 관련된 책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예술에 대한 염증이 아니라 예술에서 무언가 의미를 찾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깨달았으니까요. 당연하게도, 미술관련 책도 다시 읽기로 했습니다.
<미술책을 읽다>는 다시 미술책을 읽기로 한 저에게 일종의 입구 같은 책입니다. 미술출판 전문가로 17년을 이 업계에서 일해온 저자가 미술책 리뷰를 모아서 펴낸 이 책은 다양한 미술책들을 소개하며 독자에게 미술책의 세계로 인도합니다. 우리는 여기에서 다양한 미술책을 읽을 수 있습니다. 경제학자가 바라본 미술, 나무 전문가가 바라본 미술, 연애 전문가가 바라본 미술, 음식의 관점에서 바라본 미술 같은, 뿐만 아닙니다. 이 책은 서양화 뿐만 동양화 관련한 책들도 많이 소개하고 있습니다. 중국화, 한국 전통의 그림과 한국 근현대 미술에 이야기하는 책을 소개하며, 이 책은 동양화와 한국화의 매력과 우아함, 아름다움을 독자들에게 여지없이 전합니다. 사실 이 책을 읽으며 저는 서영미술을 다룬 책보다 한국화 관련 책을 많이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56권의 미술책 리뷰를 다 읽다보면, 미술책이 이렇게 다양하고 독특한 매력을 가지고 있구나 하는 경이감에 다다릅니다. 근데 그건 미술책이 소개하고 있는 미술 자체가 가진 힘이겠죠. 미술에 힘이 없다면 그런 책들이 나오지도 않았을 것이고, 미술책을 소개하는 <미술책을 읽다> 같은 책도 나오지 않았을테니까요. 그렇게 본다면 미술은 언제나 단순한 미술을 넘어서는 그 무엇이고, 미술책은 그 무엇이 무엇인지 파악한 저자들의 자신만의 방식으로 그 무엇을 표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 무엇이 궁금하다면, 미술책을 펴서 읽으면 될 것입니다. 글을 쓰고 있는 제가 할일도 그것이겠죠. 저는 이제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자, 이제 미술책을 읽으러 가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