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은 힌두교 국가다. 힌두교에서는 사람의 죽음을 애도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모든 것은 윤회하며, 죽음은 끝이 아니다. 그렇기에 힌두교를 믿는 사람은 오히려 웃는 얼굴로 죽은 사람을 떠나보낸다는 것이다.(160)


진실만큼 어이없이 왜곡되는 것도 없지. 그보다 다면적인 것은 없어.(223)


자기가 처할 일 없는 참극은 더없이 자극적인 오락이야. 예상을 뛰어넘는 일이라면 더할 나위 없지. 끔찍한 영상을 보거나 기사를 읽은 사람들은 말하겠지.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고, 그런 오락인 거야. 그걸 알고 있었는데도 나는 이미 실수를 저질렀다. 되풀이할 생각은 없어.

(228~229)


다치아라이. 당신은 서커스의 단장이야. 당신은 쓰는 글은 서커스의 쇼야. 우리 왕의 죽음은 최고의 메인이벤트겠지.(229)


당신 마음이 문제가 아니야. 비극은 오락이라는 숙명에 대해 이야기하는 거다. 사람들은 어째서 줄타기를 보며 즐거워할까? 언젠가 연기자가 떨어지지 않을까 기대하기 대문이라고 생각한 적은 없나? 네팔은 불안한 국가다. 그리고 어제 연기자가 떨어졌어. 흥미로운 일이지. 이게 다른 나라에서 일어난 일이라면 나도 즐겼을지 몰라. ... 하지만 나는 이 나라를 서커스로 만들 생각은 없다, 다시는.(230~231)


사진은, 최초 보도는 그것 자체로 해석된다. 지금 내가 돌아가서 현장을 찍으면 그 사진은 내 의지에서 벗어나 잔혹함을 감상하는 도구로 전락한다.(238~239)


내가, 알고 싶다. 알아야만 한다. 그래서 나는 이곳에 있다. 눈앞의 죽음을 두려워하며, 위험을 가늠해가며 머물려 하고 있다. 어째서 알고자 하는지 내게 묻는다면, 대답은 에고이즘으로 수렴한다. 알고 싶다는 충동이 나를 떠밀로, 내 입에서 질문을 끌어낸다. 그것이 구경꾼의 비열한 근성이라고 한다면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다. 누가 뭐라 지탄하더라도 역시 알고 싶다. 아니, 알아야만 한다.

나는 앎은 고귀하다고 생각했다. 한마디 더 덧붙여야겠다. 나는, 내게 있어서, 앎은 고귀하다고 생각한다. 남도 그렇게 생각하기를 기대해서는 안 되었다.(258~259)


방금 전 우리는 완성을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시대의 변화나 기술의 진보에 부합하여 끊임없이 변형되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이미 완성이라는 형태라고 할 수는 없을까요?(276)


부디 명심하십시오. 고귀한 가치는 연약하고, 지옥은 가깝습니다.(49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퀸 수사국 엘러리 퀸 컬렉션 Ellery Queen Collection
엘러리 퀸 지음, 배지은 옮김 / 검은숲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볍고 경쾌하며 위트있는 추리소설 단편모음집. 장편소설의 묵직한 맛은 없지만, 단편 특유의 경쾌한 맛으로 즐겁게 읽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퀸 수사국 이곳저곳에 비치된 종결 사건 기록들 가운데에는 '특수'라는 이름으로 분류된 파일들이 있다. 이런 파일에는 이를테면 단서가 특이하다거나, 범인이 인상적이거나, 상황 자체가 놀랍거나 하는 식으로 특별히 흥미를 끄는 사건들이 담겨 있다.(5)


협박은 자신만의 기이한 언어를 갖고 있지만, 다른 언어에 비해 확실히 유리한 측면이 있다. 협박은 만국 공통의 언어이며, 누구나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11)


철길이 그를 놀리듯 윙크를 보냈다. ... 철길은 조금도 흐트러지지 않은 완벽한 모습으로, 섬뜩하리만치 평평한 계곡을 따라 쭉 뻗어 있었다.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은닉과 속임수들을 고민해봐도, 백지 위에 자로 그린 평행선처럼 아무런 점접 없이 뻗어나갈 뿐이었다.(205)


이 남자는 백만장자다. 수천 명이 넘는 바보들의 영혼과 건강과 미래를 파괴하여 막대한 재산을 얻은 백만장자. 그 바보들 중 대부분은 어린아이와 청소년이다.(261~262)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거서 2016-11-12 10: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엘러리 퀸 소설을 찾아 읽던 기억을 되살려 주어 참 반가운 글입니다.

짜라투스트라 2016-11-12 11:08   좋아요 1 | URL
네, 저도 엘러리 퀸 소설을 좋아합니다^^
 
다마세누 몬테이루의 잃어버린 머리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34
안토니오 타부키 지음, 이현경 옮김 / 문학동네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권.력. 이 세 단어에 스며들어 있는 무서움을 실감하게 만드는 소설. 합법적인 폭력을 행사할 수 았는 공권력이 불법적인 폭력을 행사할 때의 문제와 그것을 숨기려고 벌이는 적나라한 행태를 문학적인 방법으로 파헤친 책. 안토니오 타부키 답다고 해야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모든 것이, 당신에게는 달리 보일 수도 있는데, 거미줄, 그러니까 은밀하게 연결되고 비현실적으로 결합되고 이해할 수 없는 우연의 일치들로 이루어진 체계를 만들어내는 거요. 당신이 문학을 공부하고 싶다면 적어도 이 우연의 일치를 공부하는 법을 배워야겠지요.(129~130)


"...왠지 모르지만, 고문한 사람의 이름을 기억하는 것이 의미가 있으리라는 인상을 받아요. 왠지 알겠소? 고문은 개인의 책임이오. 상관의 명령에 복종했을 뿐이라고들 하지만 용납할 수는 없소.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상관의 명령이라는 초라한 변명 뒤에 몸을 숨기고 합법적으로 발뺌하며 자신을 지키지요. 이해하겠소? 근본규범 뒤에 숨는 거요."

...

"...완벽한 해부학 지식을 가지고 있었고 모든 일을 근본규범의 이름으로 행한 거요. 일반적인 근본규범보다 더 큰 근본규범, 완벽한 규범의 이름으로 말이오. 내 말 이해하겠소?

"무슨 뜻입니까?" 피르미누가 물었다.

"하느님이오." 변호사가 대답했다. "부지런하고 너무나 치밀했던 그 고문기술자들은 하느님을 대신해서 일한 거요. 하느님으로부터 명령을 받았다는 거지요. 개념은 사실 똑같소. 나는 책임이 없다. 나는 보잘것없는 하사관일 뿐이다. 난 대위에거서 명령을 받았다. 난 장군 혹은 국가에게 명령을 받았다. 아니면 하느님에게. 하느님은 제일 거역할 수 없는 대상이죠."

...

"... 우리는 환상을 갖지 말아야 한다. 인간이 파괴 충동을 누를 수 없기 때문에 고문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174~176)


-경위님에게 애국심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좀더 정확히 정의해 주실 수 있습니까?

-우리 문화를 전복시키는 위험한 자들과 싸우고 있다는 점을 자각했다는 의미입니다.

-문화란 무엇을 가리킵니까?

-우리 문화가 포르투갈 문화니, 포르투갈 문화를 가리키지요.

-그럼 전복시키는 자란 말은?

-아밀카르 카브랄 같은 자들의 명령에 따라 우리에게 총을 쏘는 흑인을 말합니다. 태곳적, 앙골라에 문화도 기독교도 없던 시절부터 우리 소유였던 땅을 지키고 있다는 사실을 나는 자각했습니다. 바로 우리가 그것들을 전해주었지요.(187)


한 개인은 다른 모든 사람들에게 절대 없어서는 안 될 존재입니다. 그리고 다른 모든 사람들 역시 개인에게 절대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지요. ... 인간적인 견지에서 모든 것은 그에게로 이어지고, 각 개인은 인류의 뿌리를 이룹니다.(2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