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벌
기시 유스케 지음, 이선희 옮김 / 창해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덮인 산장이라는 클로즈드 서클에서 살인 사건을 해결하는 대신 한 남자가 홀로 말벌과 서바이벌 게임을 펼치는 소설. 마지막의 반전까지 기시 유스케답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쉬운 건 예전에 기시 유스케가 내게 줬던 놀라움을 느끼지 못했다는 점. 내가 기시 유스케에게 너무 익숙해진건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금까지 걸어온 구불구불한 길은 어둠 속으로 완전히 가라앉았다.

나는 지금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 것일까?

견디기 힘든 적막감과 의지할 곳 없는 외로움이 심장을 움켜쥐었다.(7)


이미 어느 누구도 아니게 된 나를, 음침한 어둠이 천천히 집어삼키려 하고 있다.(10)


삶과 죽음을 가르는 것은 첫째 속재(세속의 일에 능통한 재주가 있는 사람), 지금의 경우는 세상 물정을 잘 알고 있느냐가 아니라 실천할 수 있는 지식이 있느냐, 벌의 습성이나 산장 안의 이용 가능한 도구에 대해 얼마나 정확히 알고 있느냐다.

...

마음을 편하게 가져라. 몸의 힘을 빼라. 벌이 나타나면 멈추어서 생각하지 말고 직감에 따라 행동하라.(66)


당황하지 마라. 상대를 자극하지 않고 신속히 이 자리를 떠나면 된다. 벌집 옆이 아니면 함부로 공격하지 않을 것이다.(71)


인생이란 싸움의 연속이다. 싸움을 포기한 자는 그저 죽음을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102~103)


하나의 진형을 짜서 적에게 돌격하는 일벌들은 똑같은 유전자를 가진 복제품이 아니지만, 일심동체이자 분신 같은 존재이다.(123)


남을 떨어뜨리기 위해 깎아지른 절벽으로 유인하는 자는 자기 자신 역시 떨어질 운명에 가까이 다가가는 것이다.(1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름답고 쓸모없기를 문학동네 시인선 84
김민정 지음 / 문학동네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름답고 쓸모없기를-김민정


시는 내가 못 쓸 때 시 같았다.

시는 내가 안 쓸 때 비로소 시 같았다.(5)


나는 시를 버렸다. 거의 6개월여동안. 그런데 다시 시집을 펼쳐읽으니 시가 내게로 왔다. 하나의 의미가 되어, 하나의 꽃이 되어, 하나의 몸짓이 되어. 내 의식에 도달하지 못하는 어렵고 난해한 시가 아니라, 내 의식에 밀려들어와서 자신이 생생히 살아 움직이고 있음을 주장하는 사람과 삶의 언어로서의 시로. '아름답지만 쓸모없는 의미'로서의 시로. 


비 오는 날 뜨거운 장판에 배 지질 때나 하는 생각


하자, 가 아니라

하면 할게, 라는 사람이

무조건 착할 것이라는 착각으로

우리는 오늘에 이르렀다(78)


김민정 시인의 시는 거침없이 내달린다. 외설과 예술, 경쾌함과 우울함, 비루함과 비루하지 않음, 현실과 가상, 시의 화자와 독자, '나'와 '너'의 경계를. 경쾌하고 거침없이 내딛는 시인의 시와 함께 걷다보니 어느순간 해방감과 더불어 웃음이 찾아오더라. 삶이 이렇게 가볍기도 하는 것이구나. 인간 존재가 무겁지만은 않구나라는 생각이 빚어내는 웃음. 웃음이 끝나고 나니 다시 시에 생각하게 된다. 과연 시란 무엇인가.


밤에 뜨는 여인들

...

4

여기

그녀가

있다

영정사진 속

아무도 아닌

동시에 어떤 것도

되려 한 적 없는

그 무엇으로

여기

그녀가

있다(47)

시를 6개월만에 읽다보니, 거침없이 내달리며 삶을 쏟아내는 김민정의 시를 읽으며 웃음을 터뜨리다 보니 어쩔 수 없이 시란 무엇인가가 생각난다. 시란 무엇인가. 물론 시를 완벽하게 정의할 수는 없겠지만 내 나름대로 시를 정의해보는 것은 어떨까. 그런데 막상 정의해보려 하니 시가 무엇인지 알 수 없다는 생각밖에 안 든다. 어쩌면 시는 알 수 없는 것, 정의할 수 없는 것 아닐까. 시를 시로서 정의하는 것은 오직 각각의 시밖에 없는 것 아닐까. 세상의 모든 시들이 자기 자신으로서 '시'를 정의하는 것 아닐까. 천개의 정의, 천개의 개념들. 무엇으로 개념화할 수록 그 개념화의 범주를 벗어나는 것으로서의 시. 이렇게 비겁한(^^;;) '시'에 대한 정의를 내리며 김민정의 시집을 덮었다. 현실로서의 시, 세속에 파묻힌 시, 난해하고 어려운 예술작품으로서의 시가 아닌 삶의 표현양상으로서의 시집의 매력을 되새기면서. 


근데 그녀는 했다


양망이라 쓰고 망양으로 읽기까지


메마르고 매도될 수밖에 없는 그것


사랑이라


오월의 바람이 있어 사랑은


사랑은 멀리 있어 슬픈 그것(p.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탐정, 범죄, 미스터리의 간략한 역사 박람강기 프로젝트 7
엘러리 퀸 지음, 박진세 옮김 / 북스피어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인:살인의 탄생-포:추리소설의 탄생-엘러리 퀸:미스터리 소설 자체와 미스터리 단편집의 역사를 서술한 책의 탄생... 책을 읽으며 이 세 탄생 사이를 추리소설 매니아로서 걸어다녔다.^^ 안타까운 점은 밑의 분의 말대로 번역된 책이 별로 없다는 점... 그림의 떡이라는 말은 이 상황에 딱 맞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11-03 12: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윌러드 헌팅턴 라이트의 《위대한 탐정소설》을 권해드립니다. 이 책의 저자가 추리소설가 반 다인입니다. ^^

짜라투스트라 2016-11-03 12:36   좋아요 0 | URL
아, 감사합니다^^
 

 

우리는 '카인이 자신의 동생 아벨을 살해했다'라는 이야기를 알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미스터리가 없는 살인이었고, 미스터리가 없으니 탐정도 필요치 않았다. 그러나, 살인이 발생하면 탐정 또한 멀지 않으리. 그렇다- 정의 또한 발명의 어머니다.(15)


도덕적이거나 부도덕한 살인 따위는 없다. 살인은 잘 끝나거나 나쁘게 끝난다. 그게 다일 뿐이다-오스카 와일드(58)


포가 탐정소설이 생겨라 했더니 그렇게 되었다. 그리고 포가 자신의 심상으로 탐정소설을 창조하고 자신이 창조한 모든 것을 바라보았을 때, 포가 보기에 좋았다. 그리고 그는 애초에 단편 형식에 탐정을 보냈고, 그리고 그 형식은 영원히 진정한 형식으로 남을 것이다. 아멘.(1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