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종
미셸 우엘벡 지음, 장소미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헉... 독서 모임 때문에 샀는데... 완전 내 스타일 아니다... 이럴 수가... 으윽.... 내 돈을 돌려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다정한 편견
손홍규 지음 / 교유서가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정한 편견>을 읽다가 저랑 저자가 비슷한 부분이 있어서 다행이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편견을 무조건 잘못됐다고 보는 것이 아니라

다정하고 올바른 편견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고 얘기한 부분.

저도 공감하고 그것을 위해 노력중이어서 참 반가웠습니다.

저도 저 나름의 다정하고 올바른 편견을 위해 노력중입니다.

물론 그게 항상 옳은 것도 아니고, 때에 따라 나쁠수도 있다는 걸 알지만,

그 편견을 끊임없이 사유하고 경계하면 괜찮다고 여기며 저는 저만의 길을 가보렵니다.^^

 

리얼리스트를 가능하는 하는 것과 불가능한 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없다. 불가능한 꿈은 리얼리스트의 손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며 리얼리스트는 불가능한 꿈을 꾸지 않고서는 존재할 수 없다. 당위를 강조하는 것이야말로 손쉬운 일이다. 가능한 세계를 모른 체하지 않기. 가능한 세계 위에 또다른 가능한 세계를 포개기.(163)

 편견이 필요한 시절이다. 아름답고 올바른 편견이 절실한 시절이다. 해서 나는 편견을 사랑한다.(28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음, <소리 없는 질서>를 읽다가 다시 한번 실감했다.

노르웨이와 핀란드의 교육환경이 너무 좋다는 것을...

나도 저기서 태어나서 교육받았으면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우울증에 가까운 성향이나 강박적인 자학을 없었을 수도 있었을 텐데...

ㅎㅎㅎㅎ 그래도 살아가고 있으니 살아갈 수밖에 없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소리 없는 질서 - 노르웨이·핀란드 교육에서 배우다
안애경 지음 / 마음산책 / 2015년 2월
평점 :
품절


스스로 갖는 물음표 뒤엔 분명 소통하는 골목길로 접어드는 행복을 만나게 될 것으로 믿는다.(5)

 

 

사람은 혼자 살 수 없다는 법칙을 깨달은 사람들에게서 대물림은 자연뿐이란 생각의 의미를 들여다보게 된다. 조상이 물려준 자연을 그대로 대물림하면서 그 안에서 극복할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터득해 나가는 것. 지금까지 북유럽 사람들이 사회복지를 이룬 근간이다.(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파일럿 피시 - 제23회 요시카와 에이지 문학신인상 수상작
오사키 요시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예문사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일럿 피시-오사키 요시오


우리는 과거를 잊는다고 말하지만, 그건 옳은 말이 아니다. 과거의 기억은 잊어지는 것이 아니라, 잊어지는 것처럼 내면속에 숨어서 조용히 움츠리고 있을 뿐이다. 움츠리고 있다 자신이 나올 순간이 되면 나와서 자신의 존재감을 과시한다. 그때서야 우리는 깨닫게 된다. 결코 그것이 잊어버리거나 사라질 수 없다는 사실을. 따라서 나는 나의 과거를 운명이라고 받아들인다. 어찌할 수 없는, 바꿀 수 없는, 내 삶에 새겨진 지워지지 않는 흔적으로서의 운명. <파일럿 피시>는 그 기억을 건드린다. 잊을 수 없는 기억을 건드린 사건 때문에, 다시 과거를 되살리고, 되살린 과거를 바탕으로 현재를 돌아보고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는 우리의 주인공 야마자키. 주인공의 이름에 나의 이름을 집어넣어도 별 문제없으리라. 그만큼 보편성을 가지고 있기에. 이 주인공과 똑같은 삶을 경험한 의미로서의 보편성이 아니라 누구나 과거의 기억에 완벽하게 벗어날 수 없는 의미에서의 보편성. 쓸쓸하고도 아름다운 문체와 문장이 빚어내는 문학의 힘에 의해 보편성을 맛보며 나는 '잊을 수 없는 기억'의 힘을 상기시킨 이 소설을 나의 내면의 '문학의 전당'에 소중히 집어넣는다. 언젠가 오사키 요시오의 작품을 다시 만나는 날을 기다리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