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어나서 처음으로 '동성애'를 전면에 내세운 소설을 읽게 됐다.

(의도적으로 이 책을 선택한 건 아니고, 선택하고 보니 '동성애' 주제의 책이었다.)

생각보다 읽을만 했다. 단문 위주의 짧은 호흡으로 이어지는 소설이라,

읽기가 편했고, 순간순간 드러나는 문학적인 표현들은 책의 문학성과 품격을 더해주고 있었다.

모르는 영역에 대한 이질감만 아니라면 충분히 좋은 소설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모든 건 읽고나서야 파악될 수 있는 법. 결국은 '읽기'밖에 내가 할 일은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상)권을 읽는 것만으로는 스타브로긴이 어떤 인물인지 파악할 수 없었다. 마치 인물의 윤곽선만 바라본 느낌이랄까. (중),(하)권을 읽는 것으로 스타브로긴이라는 인물의 정체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을까. 의구심을 가지게 됐지만, (상)권의 느낌만으로도 스타브로긴이라는 인물은 내게 소름을 돋게 했다. 또하나 인상적이었던 건, 인물들의 장광설. 도스토예프스키의 소설에는 인물들의 장광설이 많은데, <악령>은 그 중에서 단연 돋보인다. 광적인 느낌의 인물들이 펼쳐내는 (상)권의 장광설, 요설만으로도 이미 나를 압도하는 상황. 압도는 나로 하여금 도스토예프스키가 왜 철학자로 불리는지 이해하게 만들었다. 어쨌든 그 모든 험난한 고비를 넘어서 나는 <악령>을 다 읽을 수 있을까. 일단 읽었으니 해보는 수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을 읽는 내내 스타브로긴이라는 인물의 형상을 더듬는 느낌이다.

그는 어떤 인물일까? 그라는 인물의 정체는 무엇일까?

<악령>을 다 읽는다면 그 정체를 알까?

무수한 물음표 속에서 소설을 계속 읽어나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한 문장, 한 문장 쉽게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꿀꺽 꿀꺽 바로 삼켜버리는 문장이 아니라, 두고 두고 곱씹으면서 삼켜야 하는 문장들이 가득하다. 힘겹게 호흡을 가다듬고 읽어나가다 보니 어느새 마지막에 도달해 있었다. 고독과 사색과 고민의 결정체로서의 문학이 쉬울리는 없지만, 쉽게 쉽게 읽어나갈 수 없다보니 피로감은 상당하다. 하지만, 일본 전후 문학의 정수 같은, 일본 전후 문학의 사상이 집중된 느낌의 문학을 읽었다는 사실은 내개 상당한 만족감을 준다. 단지 아쉬운 건, 이런 고민의 결과로서 있었던 '일본의 전후 민주주의'가 지금에 이르러서는 형해화되었다는 현실이다. 현실의 불만족이 과거 사상의 결정체의 가치를 훼손했다고 할까. 일본의 전후 민주주의를 대표하는 작가 오에 겐자부로는 작금의 일본의 현실에 어떤 생각을 가질까. <만엔 원년의 풋볼>을 다 읽고 책을 덮은 뒤에 떠올린 이 질문이 내 머릿속에 떠오르는 건 피할 수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장르 문학을 읽고 나서 전후 일본의 실존적 고민을 가득 담은 <만엔 원년의 풋볼>을 읽으려니,

어딘가 힘들다.

문학적 고민과 사색의 결과로서 탄생한 문장으로 가득한 오에 겐자부로의 소설이,

결코 쉽게 읽기를 허락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도 읽기로 했으니, 읽지 않을 수 없는 법. 어떻게든 계속 읽어 나갈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