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두 사람이 서로를 품에 안았을 때 빙카의 내면에서 또다시 그들의 관계가 순탄하지 않으리라는 무언의 경고가 울려 퍼졌다. 매번 그랬듯 그녀는 이번에도 미래 따위는 상관없었다. 어차피 그녀에게 사랑은 전부이거나 아무것도 아니었으니까.

오직 이 순간만이 중요했다.

독을 품은 밤의 매혹.(18)

대체로 사람들이 변호사를 필요로 할 때가 바로 그들이 진실을 말하기 시작할 때이다.(63)

너도 이제 독해져라. 인생은 전쟁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해. 넌 책을 많이 읽었으니까 로제 마르탱 뒤 가르가 '실존은 그 자체가 전투이다. 산다는 건 결국 지속적인 승리의 축적이다.'라고 한 글을 읽어봤을 거야.(185)

문명이란 불타는 혼돈 위를 살짝 덮고 있는 얇은 막에 불과해. 산다는 건 어차피 누구에게나 전쟁이라는 것을 잊지 마.(292)

나는 볼펜으로 메모를 작성하기 시작했다. 그러고 보면 나는 평생 쓰는 일만 하는 셈이다. 벽을 세우면서 동이세 문을 연다는 뜻이다. 모든 걸 무차별적으로 쓸어버리는 잔인한 현실을 막아주는 벽, 현실과 평행선을 그으며 달리는 세계로의 도주를 가능하게 해주는 문, 있는 그대로가 아니라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바라는 현실.

내 전략이 1백 퍼센트 성공한다고 장담할 수는 없지만 가끔은 몇 시간 동안만이라도 허구가 현실보다 힘이 세지는 경우도 있으니까. 아마 그 부분이 예술가와 소설가들의 특권이 아닌가 한다. 이따금씩 실재와 맞서는 전투에서 이길 수 있으니까.(395)

나는 언제나 오직 펜에 의지해 어둠을 가로질러 왔다.(3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몸도 마음도 무기력하다.

몸안에 수분이 스며든 것처럼 나른하고 무언가 의욕이 안 생긴다.

그냥...

삶의 의욕을 잃은 것 같다고 해야하나.

무언가 집중하던 것에서 막상 빠져나오니 공허감이 큰 것 같다.

다음번 집중할 것을 찾아야 할 것 같다.

그전까지는 아마 이런 상태가 지속될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민자들
W. G. 제발트 지음, 이재영 옮김 / 창비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민자들-W.G.제발트

'기억이란 때로 일종의 어리석음처럼 느꺼진다. 기억은 머리를 무겁고 어지럽게 한다. 시간의 고랑을 따라가며 과거를 뒤돌아보는 것이 아니라, 끝 간 데 없이 하늘로 치솟은 탑 위에서 까마득한 아래쪽을 내려다보는 것 같은 기분이 들기 때문이다.'(183)

제발트의 소설 <이민자들>은, 제발트의 소설이 언제나 그렇듯, 사실과 가상의 경계를 넘나듭니다. 사실이 아닌 가상의 이야기를 함에도, 분명히 허구의 이야기를 함에도 불구하고, 그의 소설은 자신이 '사실이다'라고 버젓이 주장합니다. 다양한 사실에 기반하고, 진짜 사실인 듯한 '사진'을 내세우면서. 따라서 책을 읽는 독자는 이 소설이 허구의 이야기라는 것을 알고 있지만, 책을 읽을 때에는 그 이야기가 사실인 것처럼 읽어 나갈 수밖에 없습니다. 독자들은 책을 다 읽고 나서야 이 책의 이야기가 사실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하지만 이미 사실인듯한 허구, 사실과 가상의 경계를 헤메다 책밖의 현실로 나온 독자들에게, 이 허구의 이야기는 우리가 알고 있는 기존의 사실보다 더 깊숙하게 몸안에 현실의 모습들을 새겨지게 만듭니다. 사실 같은 허구의 이야기로 독자의 몸안에 깊은 현실성을 새겨넣은 힘. 저는 이것이 제발트 소설의 매력이자 마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민자들>도 제발트 소설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줍니다.이 책은 제목 그대로, '이민자들'의 이야기를 합니다. 고향이라는 뿌리에서 벗어나 낯선 땅에 정착하여 살아가는 이민자들의 서글프고 가슴 먹먹하며 고뇌가 어린 삶을, 제발트는 철저하게 사실에 기반한듯한 형식과 감정을 거의 드러내지 않는 어조로 그리고 있습니다. 제발트에 의해 그들의 삶은 단순히 '이민자들'이라는 네 글자로 표현된 보통명사적인 삶이 아니라, 생생히 살아 있는, 보통명사와 일반화로 규정된 삶이 아니라 하나의 독자적이고 개체성을 지닌 고유명사적인 삶이 됩니다. 다른이들과 같은 삶이 아니라 오롯이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는 삶. 그 독자적이고 고유한 삶의 형상들을 읽어갈수록 독자인 우리는 그들의 삶에 공감하거나 동조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이민자들'에 등장한 독자적인 이민자들의 삶은 우리의 독서 체험을 통해서 다시 우리의 몸으로 들어오면서 보통명사화 됩니다. 각 개인의 삶에서 우리 모두를 포괄하는 우리 모두의 이야기가 되는 것이죠. 고유명사화된 삶이 다시 보통명사화된 삶이 되는 과정으로서의 독서. 하지만 이 때의 과정은 앞의 과정과는 다릅니다. 책을 읽는 독자인 우리가 그들의 삶을 생생히 체험했기 때문입니다. 이제 우리는 압니다. 그들이 하나의 인간으로서 자신만의 삶을 살아왔다는 사실을. 그리고 우리는 압니다. 그들이 우리와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제발트 소설이 일깨워주는 삶의 진실 앞에서 저는 그래서 제발트 소설을 읽을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게 제발트 소설의 힘이겠죠. 여기서 저는 더 파고들어가 봅니다. 제발트 소설의 힘이라는 게, 어쩌면 강력한 윤리성을 내포하고 있는 게 아닐까? 입으로만 옳고 그르니를 떠드는 형식적인 윤리가 아니라, 철저하게 한 개인의 삶의 형상을 보여주는 체험을 통해, 개인의 삶에 공감하면서 형성되는 '그 무엇'이 진짜 강력한 윤리가 아닐까? 단순히 한 문장이 아니라 한 개인의 삶을 철저하게 공감하게 만드는 '공감의 윤리'야말로 진정 강력한 윤리가 아닐까? 저는 그게 소설이 할 수 있는, 문학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윤리라고 생각합니다. 아마도 제발트의 소설은 소설과 문학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윤리에 가닿아 있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겠죠. 우리가 제발트 소설을 읽으며 느끼는 감정과 생각은 그 최대한의 윤리에 가닿으면서 생겨나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의 파동이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이민자들>을 읽다가 이 정도까지 생각이 나네요. 나중에 혹시 제발트 소설을 다시 읽을 기회가 있다면 더 파고들어가서 생각을 보충하여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은 여기서 마무리 짓도록 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69.헤겔-프레데릭 바이저

170.주역(상)-정병석(역주)(을유문화사)

171.백년전쟁-데즈먼드 수어드

172.논어-김원중(글항아리)

173.맹자,사람의 길(하)-김용옥

174.법이론-칸트

175.손자병법-손자(휴머니스트)

176.맹자와 영혜왕-남회근

177.주역(하)-정병석(역주)(을유문화사)

178.헤겔 정신현상학 입문-하세가와 히로시

179.장자평전-왕꾸어똥

180.도덕형이상학-칸트

181.우주적인 로봇적인-이유미

182.추리소설 읽는 법-양자오

183.소설이 국경을 건너는 이유-정영목

184.소설을 쓰고 싶다면-제임스 설터

185.정치의 무늬-고종석

186.자신을 행성이라 생각한 여자-반다나 싱

187.역사와 책임-한홍구

188.우리가 추방된 세계-김창규

189.살인의 문2-히가시노 게이고

190.살인자에게 정의는 없다-조지 펠레카노스

191.지옥에서 온 심판자-조지 펠레카노스

192.환상의 여인-윌리엄 아이리시

193.홈랜드-코리 닥터로우

194.마법사의 제자들-이노우에 유메히토

195.다시 찾은 브라이즈헤드-에벌린 워

196.하드리아누스 황제의 회상록1-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

197.알레프-보르헤스(2)

198.식스웨이크-무르 래퍼티

199.레이먼드 챈들러-레이먼드 챈들러

200.한 번 태어나는 사람들-이신주

201.텅빈 거품-김동식 외

202.검은 개-이언 매큐언

203.마력의 태동-히가시노 게이고

204.작가 형사 부스지마-나카야마 시치리

205.유령작가-로버트 해리스

206.허먼 멜빌-허먼 멜빌

207.블랙 달리아1-제임스 옐로이

208.불략 달리아2-제임스 옐로이

209.금빛눈의 고양이-미야베 미유키

210.의지와 운명1-카를로스 푸엔테스

211.의지와 운명2-카를로스 푸엔테스

212.별의 계승자4-제임스 P. 호건

213.별의 계승자5-제임스 P. 호건

214.올클리어1-코니 월리스

215.무덤으로 향하다-로렌스 블록

216.철학편지-볼테르

217.악몽과 몽상1-스티븐 킹

218.악몽과 몽상2-스티븐 킹

219.위험하지 않은 몰락-강상중,우치다 타츠루

220.슬픈 열대를 읽다-양자오

221.문명은 지금의 자본주의를 견뎌낼 수 있을까-놈 촘스키

222.한자와 나오키2-이케이도 준

223.헬로 아메리카-J.G.밸러드

224.끝없는 세상1-켄 폴릿

225.끝없는 세상2-켄 폴릿

226.끝없는 세상3-켄 폴릿

227.시즈카 할머니에게 맡겨줘-나카야마 시치리

228.이 세상의 왕국-알레호 카르펜티에르

229.어둠속의 항해-진 리스

230.하드리아누스 황제의 회상록2-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

231.경이로운 도시1-에두아르도 멘도사

232.경이로운 도시2-에두아르도 멘도사

233.사일런트 코너-딘 쿤츠

234.목양면 방화 사건의 진실-이기호

235.고온1-더글라스 케네디

236.고온2-더글라스 케네디

237.별의 계승자3-제임스 P. 호건

238.야간비행-생텍쥐페리

239.죽음1-베르나르 베르베르

240.죽음2-베르나르 베르베르

241.부끄러움 아니 에르노

242.감정의 혼란-슈테판 츠바이크

243.다시 한 번 태어나다-아사이 료

244.내가 죽인 사람, 나를 죽인 사람-히가시야마 아키라

245.자물쇠 잠긴 남자(하)-아리스가와 아리스

246.조용한 무더위-와카타케 나나미

247.지중해 기행-니코스 카잔차키스

248.모레아 기행-니코스 카잔차키스

249.스페인 기행-니코스 카잔차키스

250.폴리스-요 네스뵈

251.오르부아르-피에르 르메트르

252.다섯 번째 계절-N.K. 제미신

253.명예의 조각들-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

254.페테르부르크의 대가-존 쿳시

255.독일의 종교와 철학의 역사에 대하여-하인리히 하이네

256.한자와 나오키1-이케이도 준

257.우리가 추락한 이유-데니스 루헤인

258.지극히 사적인 초능력-장강명

259.나 제왕의 생애-쑤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뜬금없지만, 자유로운 글쓰기의 세번째 주제는 '차이코프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이다.

드라마ost에서 시작해서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를 거쳐서 클래식 음악의 세계로 나아가는 나의 행보가 예상이 안되고 뜬금없긴 하지만, 어쩌겠는가. 나의 사유가 이렇게 마음대로 흘러다니는 것을. 나는 그저 나의 사유의 흐름에 따라 글을 쓸뿐이다.

먼저 내가 밝힐 것은 내가 이 음악을 아주 좋아한다는 점이다.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의 도입부에서 이어지는 몇 분의 연주는 내가 이 음악을 사랑할 수밖에 없게 만든다. 그런데 오랜기간 나는 이 음악의 이름을 알지 못했다. 이름을 알지 못했지만 좋아하는 음악, '빰빠빠빰'으로 시작해서 나의 감정을 뒤흔드는 정체불명의 음악. 나에게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은 오랜기간 정체를 알 수 없는, 이름을 알 수 없는 수수께끼의 음악이었다.

어린 시절 결혼식에 갔다 들은 음악, 학교에서 쉬는 시간에 잠시 스피커로 흘러 나온 음악, tv에서 광고에서 영화에서 잠깐 들은 음악. 순간순간의 매혹이 모여서 나에게 이 음악은 좋아하는 음악이 되었다. 하지만 나는 이 음악의 정체를 궁금해하지 않았다. 그냥 '듣고 좋다'는 생각을 할뿐이었다.

몇 년 전. 나는 우연히 이 음악이 흘러나오는 것을 들었다. 순간 나는 이 음악의 정체가 궁금해졌다. 궁금해지면 이 음악의 정체를 밝히는 수밖에. 인터넷이라는 문영의 이기를 이용해 나는 검색의 나래를 펼쳤다. 검색끝에, 나는 몇 십 년 만에 처음으로 이 음악의 이름이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미지의 음악에서 아는 음악으로의 전회. 몇 십 년 만에 진행된 이 변화는 나를 이 음악을 전과는 다른 시각으로 보게 됐다. 검색을 통해 다양한 연주와 변주로 듣는 음악으로.

유투브로 차이코프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을 검색해본다. 영상에 전설의 명지휘자 카라얀이 지휘하고 베를린 필이 연주를 하고, 러시아 출신의 천재 피아니스트 예브게니 키신이 피아노 연주를 하는 영상을 본다. 가만히 서 있어도 엄청난 카리스마가 흘러나오는 카라얀의 지휘에, 노련한 베를린 필의 연주자들이 최선의 연주를 하고, 젊은 키신이 카라얀이 눈치를 보면서 열심히 연주하는 영상을 보고 있으니 웃음이 나온다. 확실히 아는 음악의 세계는 모르는 음악의 세계와는 다르다. 카라얀과 키신이 나오는 영상이 그 차이를 증명한다. 모르는 음악이 줄 수 없는 쾌감을 아는 음악이 줄 수 있다는 것을 알리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019-09-17 23: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9-21 00:3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