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 레스터 시티의 하이라이트 영상을 보고 갑자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이야기를 글로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한번도 축구와 관련해서, 그것도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관련해서 글을 써 본 적이 없어서 어떻게 써야할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쩔 수 없이, 내 마음대로 쓰기로 했다. 내 마음대로 시작해서 내 마음대로 결론 내리는 식으로. 어차피 전문가가 아닌, 아마추어는 이런 글쓰기에서 용감할 수밖에 없으니까.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레스터 시티와 붙은 하이라이트 영상을 우연히 봤다. 보고나서 나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진짜 이기기만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일대영으로 이겨서 다행인 게임. 스쿠아상으로만 이긴 게임. 지거나 비겨도 아무 문제가 없는 게임. 겨우겨우 이기고, 이겨서 다행이지만, 이렇게 이겨서 미래에 어떻게 될 것인가 회의가 드는 게임. 앞으로의 험난한 미래를 내다보게 만드는 게임.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다가 하나의 질문이 떠올랐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어쩌다 이렇게 된 것일가?

확실한 게 있다. 지금 내 눈앞에서 축구를 하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는 내가 아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아니다. 박지성이 활약하던 맨유가 아니고, 퍼거슨의 맨유도 아니다. 긱스와 베컴이 측면을 뛰어다니던 맨유가 아니고, 반니스텔루이와 호나우도가 웨인 루니가 골을 넣던 맨유도 아니다. 스콜스가 중앙에서 패스를 찔러 넣던 맨유가 아니고, 로비킨이 터프하게 중원을 누비던 맨유가 아니다. 퍼디난드와 마티치가 죽어라고 헤딩 경합을 하던 맨유가 아니고, 에브라가 날카롭게 오버래핑을 하던 맨유가 아니다. 슈마이켈과 반 데 사르와 마르테즈가 골문을 지키던 맨유가 아니다.

내 눈 앞의 맨유는, 필드골을 넣기기 쉽지 않은, 공격에서 창의력을 찾아보기 힘든, 날카로움도 갖추지 못한, 너무 무디고 무뎌서 상대방의 수비를 뚫기가 쉽지 않은, 공격력의 무게감이 떨어지는, 허약하고 무기력한 공격을 하는 팀이다. 수비의 무게감은 어떤가. 지금의 맨유 수비진의 힘은 상당히 떨어져 있다. 그나마 올해 영입한 완비사카와 맥과이어가 수비에서 잘 버텨주는 게 다행이랄까. 언제 은퇴할지 모를 윙백 애슐리 영에게 무언가를 기대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센터백 란델뢰프는 번번히 상대방을 놓쳐 위기를 초래하기에 버텨주면 다행이다. 백업 수비진의 무게감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고. 이런 수비진에게 프리미어리그 최상위권의 수비력을 기대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어쨌든 내가 아는 맨유가 아니라도, 이 팀이 맨유라는 이름을 가지고 올시즌을 나가야 하는 것이 당면한 현실이다. 그렇다면 이 팀이 계속 게임을 한다는 말인데... 내가 맨유팬이 아니라서 다행이라는 말밖에 안 나온다. 그말밖에 내가 할말이 없다. 이것이 내가 맨체스터와 레스터 시티의 하이라이트 영상을 보고 마지막에 든 생각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cyrus 2019-09-16 11: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거슨 시절의 맨유가 넘사벽급 수준을 보여줬어요. 지금의 맨유 팬들은 격세지감을 느끼면서 속이 타들어 갈 것입니다.. ^^;;

짜라투스트라 2019-09-16 16:56   좋아요 0 | URL
그렇겠죠 ㅋㅋㅋ
 

169.헤겔-프레데릭 바이저

170.주역(상)-정병석(역주)(을유문화사)

171.백년전쟁-데즈먼드 수어드

172.논어-김원중(글항아리)

173.맹자,사람의 길(하)-김용옥

174.법이론-칸트

175.손자병법-손자(휴머니스트)

176.맹자와 영혜왕-남회근

177.주역(하)-정병석(역주)(을유문화사)

178.헤겔 정신현상학 입문-하세가와 히로시

179.장자평전-왕꾸어똥

180.도덕형이상학-칸트

181.우주적인 로봇적인-이유미

182.추리소설 읽는 법-양자오

183.소설이 국경을 건너는 이유-정영목

184.소설을 쓰고 싶다면-제임스 설터

185.정치의 무늬-고종석

186.자신을 행성이라 생각한 여자-반다나 싱

187.역사와 책임-한홍구

188.우리가 추방된 세계-김창규

189.살인의 문2-히가시노 게이고

190.살인자에게 정의는 없다-조지 펠레카노스

191.지옥에서 온 심판자-조지 펠레카노스

192.환상의 여인-윌리엄 아이리시

193.홈랜드-코리 닥터로우

194.마법사의 제자들-이노우에 유메히토

195.다시 찾은 브라이즈헤드-에벌린 워

196.하드리아누스 황제의 회상록1-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

197.알레프-보르헤스(2)

198.식스웨이크-무르 래퍼티

199.레이먼드 챈들러-레이먼드 챈들러

200.한 번 태어나는 사람들-이신주

201.텅빈 거품-김동식 외

202.검은 개-이언 매큐언

203.마력의 태동-히가시노 게이고

204.작가 형사 부스지마-나카야마 시치리

205.유령작가-로버트 해리스

206.허먼 멜빌-허먼 멜빌

207.블랙 달리아1-제임스 옐로이

208.불략 달리아2-제임스 옐로이

209.금빛눈의 고양이-미야베 미유키

210.의지와 운명1-카를로스 푸엔테스

211.의지와 운명2-카를로스 푸엔테스

212.별의 계승자4-제임스 P. 호건

213.별의 계승자5-제임스 P. 호건

214.올클리어1-코니 월리스

215.무덤으로 향하다-로렌스 블록

216.철학편지-볼테르

217.악몽과 몽상1-스티븐 킹

218.악몽과 몽상2-스티븐 킹

219.위험하지 않은 몰락-강상중,우치다 타츠루

220.슬픈 열대를 읽다-양자오

221.문명은 지금의 자본주의를 견뎌낼 수 있을까-놈 촘스키

222.한자와 나오키2-이케이도 준

223.헬로 아메리카-J.G.밸러드

224.끝없는 세상1-켄 폴릿

225.끝없는 세상2-켄 폴릿

226.끝없는 세상3-켄 폴릿

227.시즈카 할머니에게 맡겨줘-나카야마 시치리

228.이 세상의 왕국-알레호 카르펜티에르

229.어둠속의 항해-진 리스

230.하드리아누스 황제의 회상록2-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

231.경이로운 도시1-에두아르도 멘도사

232.경이로운 도시2-에두아르도 멘도사

233.사일런트 코너-딘 쿤츠

234.목양면 방화 사건의 진실-이기호

235.고온1-더글라스 케네디

236.고온2-더글라스 케네디

237.별의 계승자3-제임스 P. 호건

238.야간비행-생텍쥐페리

239.죽음1-베르나르 베르베르

240.죽음2-베르나르 베르베르

241.부끄러움 아니 에르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그대라는 시/ 태연/ 호텔 델루나 OST

 

*이 글은 철저하게 아마추어적인 시각으로 쓰인 글이다.

작곡가나 연주자,엔지니어,음악비평가가 아니기에

전문적인 지식과는 상관없이

나는 오직 내 생각만을 쓸 뿐이다.

 

언제부터인지 그대를 보면

운명이라고 느꼈던 걸까

밤하늘의 별이 빛난 것처럼

오랫동안 내 곁에 있어요, hmm

 

노래가 시작되면 서정적인 피아노 연주가 흘러나온다.

서정적인 피아노 연주가 빚어내는 낭만적이고 애달픈 분위기 속에서,

그 분위기에 딱 들어맞는 태연의 서정적인 목소리가

시적인 노래 가사를 읊어대며 '그대라는 시'가 시작된다.

 

그대라는 시가 난 떠오를 때마다

외워두고 싶어 그댈 기억할 수 있게

슬픈 밤이 오면 내가 그대를 지켜줄게

내 마음 들려오나요

잊지 말아요

 

수없이 무수한 악기들의 연주와 합주, 다양한 편곡의 엄청난 물결이

빚어낸 현대의 노래들은

그 색다름과 다양함으로 노래를 듣는

이들을 유혹하며 자신의 음악을 그들의 머리속에 새겨넣는다.

그러나 그 다양함과 색다름, 개성의 물결에 휩쓸려

노래를 듣다보면 어느순간 혼란에 휩싸여 휴식을 취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그럴 때 '그대라는 시' 같은

피아노 연주 하나와 가수의 목소리만으로 승부를 보는

단순한 노래들을 접하면

가장 중요한 음악의 본질을 새삼 깨닫게 된다.

가수의 목소리가 음악의 가장 중요한 악기 중 하나라는 사실을.

 

지나가는 계절 속에 내 마음은

변하지 않는단 걸 아나요

그저 바라보는 눈빛 그 하나로

세상을 다 가진 것 같은데, hmm

 

시적인 가사, 서정적인 연주, 태연의 서정적인 목소리가

빚어내는 이 노래의 하모니는

노래를 듣는 이들로 하여금

노래의 서정성에 심취하게 만든다.

사랑의 황홀감과 낭만을 떠올리게 하는 그 서정성에 빠져들어

노래를 듣다보면 어느새 음악은 마지막으로 향하고 있다.

 

그대라는 시가 난 떠오를 때마다

외워두고 싶어 그댈 기억할 수 있게

슬픈 밤이 오면 내가 그대를 지켜줄게

내 마음 들려오나요

잊지 말아요

 

이 노래는 드라마 '호텔 델루나'를 빼고 말할 수 없다.

드라마 속 등장인물들인 구찬성과 장만월의 애달픈 사랑의 영상들과

이 노래의 서정성이 합쳐질 때에야

눈과 귀가 모두 만족되는 '그대라는 시'의 조화가 완성된다.

그리고 그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태연의 목소리도

단순히 가수의 목소리를 넘어서,

'하나의 시'가 된다.

 

이것이 내가 이 노래를 들으며 느끼고 생각한 것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 깨달은 것인데,

내가 글을 쓰지 못했던 것은 무엇보다 글에 대한 부담감 때문이었다.

하지만 내 나름의 작은 공간에서 지속적으로 글을 쓰다보니 깨닫게 됐다.

글이라는 건 그냥 쓰면 된다는 사실을.

누구한테도 얽매이지 않고 편안하게 내 방식대로 글을 쓰면 된다는 것을.

이제부터라도 나는 내 마음대로 편안하게 글을 써보겠다.

부담가지지 말고.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2019-09-12 05: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9-12 11:4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붕붕툐툐 2019-09-12 2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파이팅!!

짜라투스트라 2019-09-12 21:40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사람들은 진실을 원하지 않아요. 확신을 원할 뿐이죠.

p.47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cyrus 2019-08-20 07: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특정 이념이나 학문에 몰두하면 자기 확신에 빠져서 진실을 외면합니다. 저도 조심해야겠습니다. ^^

짜라투스트라 2019-09-04 11:53   좋아요 0 | URL
우리 모두 조심해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