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 동물원
켄 리우 지음, 장성주 옮김 / 황금가지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노트 7640.종이 동물원-켄 리우

'(미국에서) 유색 인종 작가의 글은 오로지 자전적 고백일 때에만 가치 있는 것으로 대접받습니다. 저는 그런 분위기를 거스르고 싶어서, 처음에는 제가 물려받은 중국 문화와 관련된 것은 무조건 피하려고 했습니다. 전혀 중국적이지 않은 서양적 글쓰기를 지향했던 겁니다. 그 결과는 끔찍이도 답답했습니다. 그건 입의 절반이 테이프로 막힌 채 말하는 것, 몸의 절반이 마비된 채 춤추려 하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p.561)

나는 내 감정을 뒤흔들고 휩쓸면서 나를 흥분시키고 내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만드는 이야기에 끌린다. 아니, 끌린다는 말은 내 감정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한다. '홀려있다'는 말이 더 정확할 것이다. 나는 재미있는 이야기에 홀려있다. 나는 언제라도 홀린채로 이야기 속에 빠져들에 이야기의 바다에서 헤맬 준비가 되어있다.

'우리는 남에게 자기 이야기를 들려주려 애쓰며 평생을 보낸다. 그것은 기억의 본질이다. 그렇게 우리는 이 무감하고 우연적인 우주를 견디며 살아간다. 그러한 습관에 '이야기 짓기의 오류'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해서 그것이 진실의 일면에 닿지 않는 것은 아니다. 어떤 이야기 속에 있는 은유를 좀 더 선명하게 구현할 뿐이다.'(p.7~8)

이야기에 홀려 있는 인간인 내가 켄 리우의 <종이 동물원>을 놓칠리가 있겠는가? 사실 이 책을 선택한 건 내가 아니다. 이 책이 나를 선택했고, 나는 책의 선택에 따라 책을 읽었을 뿐이다. 책의 선택에 따라 책을 읽을 수밖에 없게 된 독자인 나는, 켄 리우가 펼쳐놓은 이야기의 흐름에 빨려 들어가서 헤맬 수밖에 없었다. 흥분과 즐거움과 슬픔과 안타까움과 놀라움이라는 감정을 지닌채로.

'오랫동안 잊으려고 애썼던 언어나 개네 돌아왔고, 그 말들이 내 안에 스며드는 느낌이 들었다. 내 살갗을 뚫고, 내 뼈를 뚫고, 결국에는 내 심장을 꽉 움켜쥘 때까지.''(29~30)

SF적이고 판타지적인 상상력을 토대로, 미국에서 살아가는 중국계 미국인이라는 정체성과 그에 따라 파생되는 정치적이고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맥락을 부어넣고, 작거 자신이 삶에서 길어올린 것들과 생각한 것들, 표현하고 싶은 것들을 섞어서 이야기를 만들면 <종이 동물원>이 된다. 물론 말이 쉬울 뿐이다. 저것들을 다 섞어서 재미있는 이야기를 만드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니까. 하지만 켄 리우는 해냈다. 자신만의 방식으로.

'당신과 나, 우리는 서로 다르고, 우리가 지닌 의식의 특질도 우주 양 끝의 두 별만큼이나 서로 다르다.

그럼에도, 내 사유가 문명의 미로를 지나 당신의 정신에 닿는 기나긴 여정에서 번역을 거치며 아무리 많은 것을 잃어버린다 해도, 나는 당신이 나를 진정으로 이해하리라 믿고, 당신은 당신이 나를 진정으로 이해한다고 믿는다. 우리 정신은 어떻게든 서로에게 닿는다. 비록 짧고 불완전할지라도.

사유는 우주를 조금 더 친절하게, 좀 더 밝게, 좀 더 따뜻하고 인간적이게 하는 것이 아닐까?

우리는 그런 기적을 바라며 산다.'(p.9)

<종이 동물원>을 읽는 동안 행복했다. 이야기에 홀려 있는 인간의 쾌락을 그대로 느낄 수 있었기에. 재미의 끝에서 글 한 편을 끄적이는 게 그나마 내가 느낀 행복에 보답하는 길이라는 생각이 든다. 무엇이라고 중얼중얼 늘어놓을 수 있겠지만, 그런 건 내가 경험한 행복에 비하면 옳은 일이 아닐 것이다. 그저 나는 내가 느낀 행복에 따라 작은 감정의 편린들을 기록할 뿐이다. 분석이나 비평과는 거기를 두고. 난 그렇게 '감상문'으로 다시 행복하게 회귀한다. 빠져나올 수 없는 이야기이 미로 속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월달에는 선정했던 '이 달의 책'을 2,3,4월달에 하지 않아서 오늘 한 번 정해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2월의 책

오기,전국시대 신화가 된 군신 이야기-임건순

<손자병법>의 그늘에 가려진 천재 전략가이자, <손자병법>에 비해서 덜 알려졌지만,

중국 제가백가 중 하나인 병가의 책 중에서 빼놓을 수 없는 책인 <오자병법>의 주인공인

오기의 삶,철학,병법을 생생하고 감동적으로 만날 수 있는

젊은 동양철학자 임건순의 책.

3월의 책

비탄의 문-미야베 미유키

현대 일본 사회의 어두운 면과 모순점들을 미야베 미유키의 판타지적인 상상력으로

엮어낸 소설. 즐겁고, 슬프고, 감동적이고, 환상적이다.

4월의 책

메리 수를 죽이고-오쓰 이치

내가 사랑하는 오쓰 이치의 밝고,어둡고,환상적인 상상력 가득한 이야기들이

담겨 있는 단편집. 뒤편의 소름끼치는 어두운 단편들과 앞부분의 밝지만 슬픈면이 있는

이야기들의 독특한 조화 속에서 '역시 오쓰 이치다!'라는 말을 내뱉을 수밖에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총40권

80.이중톈 중국사4:청춘지-이중톈

81.이중톈 중국사5:춘추에서 전국까지-이중톈

82.이중톈 중국사6:백가쟁명-이중톈

83.신이 된 시장-하비 콕스

85.종교의 자연사-데이비드 흄

86.동물들의 침묵-존 그레이

87.칸트 이성철학 9서 5제-백종현

88.울트라 소셜-장대익

89.철학의 위안-보에티우스

90.중세의 재발견-박승찬

91.무너지기 쉬운 절대성-슬라보예 지젝

92.대학.중용-이세동

93.신의 죽음 그리고 문화-테리 이글턴

94.세계와 역사의 몽타주,벤야민의 아케이드 프로젝트-권용선

95.로버트 라이시의 자본주의를 구하라-로버트 라이시(읽는 중)

96.진중권의 서양미술사:모더니즘과 포트스모더니즘편-진중권

97.다시,책은 도끼다-박웅현

98.종교의 미래-하비 콕스

99.일본의 역사관을 비판한다-미야지마 히로시

100.삼귀-미야베 미유키

101.추억의 야상곡-나카야마 시치리

102.중종의 시대-계승범

103.우리가 아는 선비는 없다-계승범

104.평행과 역설-에드워드 사이드,다니엘 바렌보임

105.후 항설백물어(하)-교코쿠 나쓰히코

106.메리수를 죽이고-오쓰 이치

107.청일전쟁, 국민의 탄생-오타니 다다시

108.중용-동양고전연구회(민음사)

109.러시아혁명 1917-1938-쉴라 피츠패트릭

110.대학-동양고전연구회(민음사)

111.이중톈,정치를 말하다-이중톈

112.헤겔 이후-프레더릭 바이저

113.보이지 않는 건축 움직이는 도시-승효상

114.과학적 경험의 다양성-칼 세이건

115.인형은 거짓말을 하지 않아-하타케나카 메구미

116.영국 기행-니코스 카잔차키스

117.논어-공자(휴머니스트)

118.소년들-앙리 드 몽테를랑

119.부자들은 왜 민주주의를 사랑하는가-대럴 M. 웨스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독서노트를 살펴보니 번호에 오류가 있었다.

여기 적은 글중에 독서노트 8003번이라고 했는데,

다시 꼼꼼히 살펴보니 번호가 틀렸다.

정확한 번호는 7603번이었다.

갑자기 400개의 번호가 뻥튀기되었는데(??)

왜 그렇게 됐는지는 잘 모르겠고(^^;;),

어쨌든 오류가 있어 이렇게 오류수정을 알리는

글을 쓰고 번호를 수정하도록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을 읽으면 필연적으로 어떤 생각들이 떠오른다.

책에 쓰여진 것들과 내 머릿속에 든 것이 만나서 일어난 화학작용 같은

이 생각들은, 글로 쓰여지지 않은 원초적 형태의 글 같은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막상 그 생각들을 글로 쓰려고 하면

쉽지가 않다.

흩어지는 것들을 붙잡아 형체를 만드는 것의 어려움이라고 할까.

머릿속에 떠오르는 것들과 실제 글쓰기의 괴리때문에

나에게 글쓰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언젠가는 그 생각들을 붙잡아서 계속 글을 써야 한다는 생각은 있다.

왜냐하면 흩어지는 그 생각들이 아까우니까.

분명히 내것이지만, 내 것이 아닌 것들을 글로 쓰는 것에 어떤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