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웃음의 현대사 - 시대는 자기만의 방식으로 우리를 웃게 한다
김영주 지음 / 웨일북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시대는 자기만의 방식으로 우리를 웃게 한다’
26년차 현직 방송작가가 읽어주는 대한민국 근현대사와 웃음의 이야기 <웃음의 현대사>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박정희와 유신, 386과
민주화운동, X세대와 90년대, 밀레니엄, 모든 것이 예능
2010년대로 나누어서 웃음의 역사를 살펴보는데요. 각 시대마다 ‘먼저 읽어보는 시대적 잡담’이라 하여, 딸에게 들려주는 이야기처럼 간략한 시대사가 나오는데 이 부분도 참 알찼습니다.
사람들을 웃게 하는 것 역시 시대적인 배경과 상황이 영향력을 미치니 말이죠.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인에게 웃음과 희망을 주려고 노력했던 희극인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되는데요. 일본은 지금까지도 만담이 대세이지만, 한국에서는
그 맥이 어디서 이어지고 있는지 찾기 힘든 상황이기는 하죠. 1920년대, 신불출이라는 인물은 한국의 만담을 펼쳐내었는데요. 신파극의 막과
막 사이에 이루어진 만담이 코미디가 되고, 막과 막 사이에 가수가 대중가요의 시작이 되었다고 해요. 요즘은 신파라는 말이 조금은 부정적인 느낌으로 사용되고 있는 거 같지만, 어쩌면
우리민족에게 신파는 꽤나 뿌리깊은 정서적 공감대가 아닌가 싶기도 하고 말이죠. 한국전쟁시기에 등장했던
대한민국 코미디 1세대 트로이카, 구봉서, 배삼룡, 서영춘을 이어서 TV방송국이
생겨나고 텔레비전이 보급되던 시절로 넘어가는데요. 그 때는 내노라하는 예능작가가 되는 길이 일본프로그램
딱 500개를 보는 것이었다니, 이러한 현상이 그렇게 오래된
것이 놀랍기도 하고 말이죠. 콩트의 전성기였던 시절까지, 아무래도
제가 잘 모르던 시대의 이야기여서 더욱 재미있게 읽었던 거 같아요.
‘감자골의 젊은이들’을
필두로 제가 좋아하는 예능인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는데요. 이때부터는 기억나는 것들이 너무나 많아서, 그 때의 즐거움을 다시 떠올리며 읽어나갔어요. 사촌동생이 ‘개그콘서트’의 유행어를 했다가 제가 전혀 못 알아들어서, 서로 당황했던 기억도 나고 말이죠. 짐 캐리가 등장했던 ‘트루먼 쇼’를 보며 충격을 받았던 것이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저 역시 ‘트루면쇼’의
시청자 중 한 사람이 된 거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하고요. TV를 잘 안보던 저도 요즘의 예능은 취향에
맞아서, 예능프로의 이야기로 친구들과 떠들기도 하는 것을 보면, 웃음이라는
것은 사람들이 함께 나누고 공유하는 것이 아닌가 해요. 그래서 이렇게 웃음으로 근현대사를 살펴보는 것이
더욱 재미있게 느껴지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