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조건 달라진다 - 의지 따위 없어도 저절로 행동이 바뀌는 습관의 과학
션 영 지음, 이미숙 옮김 / 21세기북스 / 2018년 2월
평점 :
품절
저도 여러권의 자기계발서를 읽었고, 그 중에서 가장 공감했던 것은
좋은 습관을 갖는 것이었어요. 그래서 나름 거기에 대한 명언도 다이어리 앞장에 써놓고, 바꾸고 싶은 것을 매일 일기장에 적어가기도 하죠. 그래서 제가 고치고
싶은 것들을 고치면 지워나가려고 하지만, 지워지는 속도보다 추가되는 속도가 더 빠른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네요. 그래서인지 한 해를 마무리할 때 즈음이면, 의지력의
부족한 수준을 넘어 희박한 것이 아닌가 하는 회의감에 빠지곤 하죠.
그래서 이 책에 솔깃했는지도 모릅니다. 바로 <무조건 달라진다>인데요.
심지어 이 책에 붙어있는 수식어가 ‘의지 따위 없어도 저절로 행동이 바뀌는 습관의 과학’이니까요. 책을 읽고 나니, ‘의지
따위’라는 말까지는 안 나왔지만, 그래도 저에게 필요한 것들이
어떤 것인지 가늠이 되더군요. 특히나 마음가짐을 바꿔서 습관을 만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행동을 통해서 자신의 마음가짐을 바꾸어나가는 부분이 그러했습니다. 이는
제가 제일 좋아했던 ‘뇌 해킹하기’에서 나오는 방법인데요. 비밀번호를 투 두 리스트처럼 사용하는 것입니다. 생각해보면 저 역시
여러 사이트에 자주 로그인을 하게 되는데요. 그 때마다 제가 다이어리에 써놓은 ‘해야 할 일’의 목록을 사용하는 것이죠. 계속 같은 문구를 자신에게 입력하고, 행동이 바꾸어 나가면 결국
자신의 뇌까지 해킹해낼 수 있는 것입니다. 저부터가 비밀번호가 자동으로 입력되는 시스템을 없애고 바로
시작한 방법이기도 하고요.
행동의 사다리 만들기, 커뮤니티에 의지하기, 우선순위 정하기, 일을 쉽게 만들기, 뇌 해킹하기, 매력적인 보상 주기,
몸에 깊이 새기기라는 7가지 방식을 적용하는 방법도 각기 다릅니다. 우리의 행동 역시 자동행동, 열정 행동, 일반행동의 세가지로 나누어서, 적절한 방식을 조합해서 해결해 나가야
하는데요. 저에게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은 바로 ‘열정행동’입니다. 이는 자신에게 해로운 것을 알고, 하지 않으려고 마음을 먹어도, 몸이 따르지 못하는 상황을 이야기
하는데요.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데 가장 좋은 것이 바로 ‘뇌
해킹하기’입니다. 생각해보면 나름 이 방식을 부정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하고요. 전략시뮬레이션 게임이 정신 없이 빠져들 때면, 어차피 스스로 지쳐야 그만둘걸 알잖아, 라며 자신을 위로하곤 했는데, 이는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심화시키는 방식이었던 것이죠. 방법을
몰라서 자신이 변화하지 못했던 것을 넘어 잘못된 방법을 사용하는 것까지 진단할 수 있게 해주는 책이기도 했어요.
벌써 2018년도가 시작된지도 2달이 지났습니다. 연초에 세운 계획을 돌아보며, 다시 자신을 다 잡아야 할 시기에, 참 좋은 책을 만나게 되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