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짠내나는 서울지앵 - 우리들의 짠한 서울기억법
서울지앵 프로젝트 팀 지음 / 리프레시 / 2018년 1월
평점 :
수많은 사람들에게 서울은 제 2의 고향으로 기억되겠지요. 그리고 그들 중에 사람들의 기억에 모여 도시를 더욱 다채롭게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는 6명이 모여서 서울지앵 프로젝트 팀을 만들었는데요. 그들이 들려주는
서울에 대한 이야기 <짠내나는 서울지앵>입니다.
그런 동네가 있고, 그런 이야기가 있었다는 것만 알아주면 된다. 우리의 동네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하나 둘 늘어난다면 봉천동, 혜화동, 신림동, 방학동, 화양동, 홍대는 살아 숨 쉬게 도리 것이다. 여러분의 동네도 각자가 기억한다면
모든 동네가 살아나게 되고, 도시 서울은 생명력 가득한 모습으로 변화할 것이다. 저자들이 서울을 기억하는 방법은 우리만의 서울을 사랑하는 방법이다. 우리
모두가 서울을 기억하는 과정은 위대한 여정이 된다 - 서울지앵 프로젝트 팀을 대표하며 이종현이 쓴 프롤로그에서.
책을 다 읽고 나니, 그냥 뉘앙스로만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던 ‘짠내’가
어떤 뜻일까 궁금해져서 검색을 해보았는데요. ‘짠내난다’를
네이버 오픈 사전에서는 ”안타깝고 마음이 아프다는 뜻으로 자신의 상황이 아닌 주로 제3자의 상황에 대해 지켜보는 입장에서 쓰이는 말이다.”라고 설명해두었더라고요. 물론 이 책의 내용을 다 공감할 필요도 없고 그저 알아주면 된다고 했지만, 문득
그런 느낌이었나 하는 생각에 고개를 갸웃하게 되네요. 저에게는 상당히 그립고 정다운 느낌의 에세이였거든요. 아무래도 저에게 서울은 고향이라고 그런 것일까요? 왠지 고향은 정겹고
친근한 느낌으로 다가오니까요.

이영아 서울생활 5년차 대구시민입니다
이종현 어쩌면 마지막 혜화동 이야기
차오름 신림동 고시촌, 청춘애가(靑春哀歌)
안선정 도봉구 24년차 주민의 추억 여행
엄사사 24시 카페에서 유학생의 하루
최하경 홍대앞 20년 추억의 공간들

‘어쩌면 마지막 혜화동 이야기’를
읽으며 혜화동이라는 노래를 배경으로 깔아놓고 있었는데, 이 책이랑 참 잘 어울리는 노래와 가사더군요. 그리고 이 중에 기억에 남는 것은 엄사사의 이야기었는데요. 유학생으로
바라보는 서울, 저 역시 그런 경험이 있어서인지 그 마음의 결에 공감이 많이 갔어요. 특히 자신의 일기를 수록해준 부분이 그러했는데요. 7년전의 일기에서
자신이 한 당부를 돌아보는 것도요. 저도 일기를 쭉 써왔기 때문에, 가끔
오래 전의 일기를 열어볼 때의 감각들이 다시 떠오르는 기분이 들더군요. 왜 그렇게 자신에게 하고 싶은
당부도, 경계도 많은지 말이죠. 마치 언제나 몇 가지 테마가
반복되는 것만 같던 엄마의 잔소리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하고요. 그렇게 엄마의 잔소리를 지겨워했으면서, 이제는 자신에게 그러고 있네요.
책을 읽다가 ‘짧은 역사’라는
표현이 마음에 콕 박히더군요. 서울에 참 잘 어울리는 표현이죠. 분명
서울은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도시지만, 이상하게 그 도시를 구성하고 있는 것은 파편과 같은 시간이라는
느낌을 많이 받아요. 어린 시절 제가 살았던 곳들을 지나칠 때면, 추억할
공간조차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되거든요. 빠르게 변화하는 도시 속에서,
추억을 담을 공간은 사치인 것일까요? 그래서 이렇게 다른 사람들의 추억을 읽다 보니, 저와 서울이 만들어온 시간을 돌아보게 됩니다. 단순히 공간의 사라짐을
아쉬워하지 말고, 기억하는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생각과 함께 그런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에세이네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료로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