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 읽어주는 여자 - 마음의 허기를 채우는 음식에 관하여
모리시타 노리코 지음, 지희정 옮김 / 어바웃어북 / 2018년 1월
평점 :
절판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하면, 아주 진한 초콜릿 케이크를 먹곤 하는데요. 마치 몸 안에 쌓여있던 많은 것들이 스르르 녹아 내리는 기분이라고 할까요? 이제는 어떤 습관이 되어버린 것일까요? 언제부터인가는 초콜릿이 시각이나 후각으로 느껴지면 절로 행복이 찾아오는 느낌이 들어요. 저라는 사람만 봐도 인간에게 음식이 어떤 것인지 이해가 갈 거 같네요.

이번에 읽은 모리시타 노리코의 <맛 읽어주는 여자>는 맛을 통해서 사람을 그리고 사람들이 살아가는 세상을 읽어주는 책인데요. 책을 읽으면서 참 많은 추억을 떠올리고, 행복하고 그랬답니다. 책에서는 이를 어느 날 같은 맛 혹은 비슷한 맛과 만나면, 책 사이에 끼워둔 책갈피 끈을 잡아당겨 페이지를 폈을 때처럼 맛의 감정이 선명하게 떠오른다고 표현하는데요. 굳이 비슷한 향이나 맛을 만나지 않아도 이렇게 글을 읽는 것만으로도 그럴 수 있었네요. 특히나 송이버섯에 대한 이야기가 그러했는데요. 이를 숲을 졸인 맛이라고 표현하는데, 글을 읽는 내내 외갓집에서 할아버지가 직접 캐오신 송이버섯을 먹을 때의 따듯하고 향긋한 추억이 머릿속에 맴돌아, 결국 그 날은 송이버섯을 먹으로 다녀오기도 했어요. 작가의 말에 나왔던 것처럼 저 역시 음식에는 언제나 추억이라고 하는 양념이 배어 있다고 생각해왔거든요. 하지만 그래서 내 추억속의 음식처럼 맛있는 것을 다시 맛볼 수 없는 것이 아닐까라고도 생각했는데요. 이번 기회에 추억 속의 맛과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추억을 양념으로 하여 먹을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지요.

또한 풍부한 인문학적인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는데요. 근대화시기의 일본의 구호였던 화혼양재和魂洋才, 일본의 전통 정신에 서양 기술을 더해 일본의 고유 문화로 재해석한다를 음식으로 집약한 것이 돈가스라는 것에 저도 공감이 가더군요. 물론 후에 등장하는 고로케 역시 마찬가지가 아닐까 하고요. 물론 돈가스에 대한 이야기를 읽으면서 뜬금없게 느껴질지 모르겠지만, 소스에 대한 이야기로 관심이 흘렀는데요. 저 역시 굴튀김을 정말 좋아하는데요. 저는 항상 타르타르소스에 찍어먹곤 해서인지, 어린시절부터 나름의 원칙을 갖고 있던 작가가 불독 돈가스 소스에 찍어 먹어왔다는 이야기가 자꾸 제 호기심에 불을 지펴서요. 마침 불독 소스를 갖고 있기도 해서, 주말 메뉴는 일찌감치 굴튀김으로 정해버렸네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함께 떠나는 문학관 여행
김미자 지음 / 글로세움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각해보면 미술관이나 박물관은 많이 갔었는데, 문학관은 조금 낯선 기분이 듭니다. 조금은 부끄럽지만, 한국에 자리잡고 있는 문학관은 더욱 그런 거 같아요. 그래서 <함께 떠나는 문학관 여행>이 더욱 고맙게 느껴진 거 같기도 하네요. 문학관이라는 주제로 전국을 여행하여, 38곳의 문학관에서 44명의 작가를 담아낸 책인데요. 덕분에 학창시절에 집중적으로 접했던 한국 문학을 만날 수 있는 좋은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심지어 제가 그 근처까지만 가서 아쉬웠던 곳도 있었는데요. 마을이 움푹 파인 떡시루 모양과 닮았다 하여 실레 마을이라고 하죠. 마을 이름조차 참 고운 그 곳은 김유정 문학촌이 자리잡고 있었네요. 레일 바이크를 타러 그 근처에 갔었고, 김유정 문학촌이 있는 것도 알고 있었지만, 하필 폭우가 와서 못 가봐서 다음을 기약했었는데, 책으로 먼저 만나 반가웠네요. 또한 전주의 한옥마을을 방문할 계획을 갖고 있어서, 그 곳에 자리잡은 최명희 문학관을 꼭 가봐야겠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저에게 조정래작가의 3부작, 박경리 작가의 토지, 그리고 최명희 작가의 혼불은 정말 의미 있는 책이기에 더욱 그러합니다. 작가의 전시관 당호가 독락재獨樂齋라고 하는데요. “홀로 자신과 대면하기를 두려워하지 않고 오히려 그것을 즐기는 경지, 어쩌면 혼불이라는 소설이 떠오르는 느낌이 들더군요.

그리고 지금도 글을 쓰며 듣고 있는 이동원 박인수의 향수의 시인이죠. 정지용 문학관도 관심이 가네요. 그 곳에 가면 개천가도 시로 디자인하여 산책로로 만들었대요. 제가 참 감각적인 싯구절이라고 생각했던 옛 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전에 알쓸신잡이라는 TV프로그램에서 유시민이 제주도에 추사관을 다녀와서 그 건물 자체가 추사의 세한도라고 소개해주었던 것이 떠오르기도 하더라고요. 책을 읽다 보니 제가 학창시절 정말 좋아했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라는 시가 떠오르더군요. 찾아보니 항일시인 이상화의 고택도 있다고 하니 그 곳도 찾아가보고 싶어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다운 나의 하루 - 오늘을 온전한 나로 살아내기 위한 마음준비
이승훈 지음 / 썬더버드 / 2018년 1월
평점 :
절판


방송작가 이숭훈이 쓴 라디오 오프닝 멘트들을 모은 <나다운 나의 하루>를 읽으며, 옛 생각에 젖게 되는 거 같았어요. 라디오에서는 방송의 시작을 알리는 시그널 음악과 함께, 오프닝 멘트가 흘러나오곤 하잖아요. 저는 라디오를 많이 듣는 편은 아니었지만, 아직도 기억하고 있는 인상적인 시그널 음악도 있었고, 또 마치 한 편의 짧은 시처럼 다정하고 따듯한 오프닝 멘트들도 많았던 기억이 나요. 마왕이라 불렸던 신해철의 고스트스테이션처럼 유쾌하고 강렬한 이야기들도 있었지요.

아이들에게 "부모님께 가장 듣고 싶은 말이 뭐냐"고 물었습니다. "우리 아들, 딸이 최고!", "뭐 사줄까?" 이런 대답이 나올 거라 예상했는데 아이들은 부모님께 이런 말을 듣고 싶다고 했다는군요. "괜찮아, 네가 잘못한 게 아니야." –p56

읽고 나서도 계속 떠오르고 자꾸 생각하게 만들었던 글인데요. 아무래도 진심을 담아 그렇게 말해줄 수 있는 사람은 부모님뿐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자꾸 들더라고요. 정말이지, 이 말은 아이들뿐 아니라, 누군가의 부모가 아니 누군가의 조부모가 되었더라도 자신의 부모에게 듣고 싶은 말이 아닌가 해요. 작가의 말처럼 아직도 우리 마음속엔 어린아이가 숨어있기 때문이겠지만, 또 한편으로는 어쩌면 누군가에게 들을 수 있는 최고의 위로가 아닐까 라는, 그래서 이런 말을 바라게 되는 것이 아닐까 해요.

어깨에 짊어진 짐이 너무 무겁고 힘들어서 다 벗어 던져버리고 싶은 순간, 스스로에게 묻습니다. 무엇을 위해서, 누구를 위해서 이렇게 살고 있는 거지? 독일의 작가 헤르만 헤세는 이렇게 답했습니다. “인생의 주어진 의무는 다른 아무것도 없다네. 그저 행복하라는 한 가지 의무뿐.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세상에 왔지.”

그런 노래가 있잖아요. ‘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이 가사가 참 마음을 울리던 때도 있었는데요. 그와 비슷한 느낌을 주는 말인 거 같아요. 인생에 주어진 단 한가지의 의무, ‘행복절대 어려운 것이 아니고, 또 어떻게 보면 누구나 바라는 것이기도 할 텐데, 참 쉽지 않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책을 읽으며 저 나름대로 찾아낸 답은 멋있는 야경의 비밀이라는 글에 있었는데요. 무엇을 보느냐, 어떻게 생각하느냐의 차이가 아닐까 하는 어쩌면 이미 알고 있고 어쩌면 정말 단순하지만, 여전히 머리에서 실천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바로 그 것 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금은 특별한 미국 보통 사람들의 영어
김아영 지음 / 사람in / 201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저 같은 경우는 영어를 공부할 때, 팝송이나 드라마나 영화 그리고 연설문 정도를 많이 활용하는 편인데요. 그래서 이번에 인터뷰를 통해 영어를 배울 수 있는<조금은 특별한 미국 보통 사람들의 영어>가 처음에는 독특하게 느껴졌고, 다양한 배경을 가진 5명과의 인터뷰를 함께하다 보니 정말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네요.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에서 영어 교사 자격증 과정을 강의하는 김아영이 진행하는 인터뷰인데요. 간단한 자기 소개와 근황에 대한 이야기부터 자신들이 평소 관심을 두는 분야로 확장되어가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요. 순두부찌개를 사랑하는 플로리다 주립대의 연구교수 Steve Cocke와의 대화는 자신의 전문분야인 기상학에서부터 시작하여 아내와 음식 그리고 미국의 선거인단제도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한국 정치에 대한 이야기까지 자연스럽게 흘러가기도 하지요. 사실 저는 말이 많다면 많은 사람이지만, 낯을 엄청 가려서, 대화를 이끌어가는 기술 자체는 부족한 편이거든요. 그래서 이렇게 대화를 유려하게 끌고 나가는 부분도 정말 눈여겨보게 되더군요.

또한 삶에 대한 좋은 자세와 지혜로운 이야기, 특히 마지막 질문들과 거기에 대한 답이 좋았어요. 플로리다 주립대 어학연수원의 최고 인기 영문법 강사인 Candace Warmka는 다문화 사회에서 살아가는 우리에 대해서 이런 이야기를 합니다. “I believe if you don’t travel and don’t interact with other people who live in different places, you’re kind of in bubble” 여기에서 ‘be/live in a bubble’고립된 채로 있다/살다를 뜻하는데요. 물론 고립된 것을 표현하는 단어가 있지만, 그런 표현보다는 쉽고 요즘 미국인들이 사용하는 표현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게 해주더군요. 재학생과 교수진이 대부분 흑인인 플로리다의 대표 흑인 대학의 첫 백인 여자 교수로 26년째 재직 중인 Gale Workman의 이야기 중 편견에 대한 것도 기억에 남네요. “Hollywood too often casts Asians in a clichéd role like a Korean grocer or an overachieving model minority. Filmmakers and TV producers must more often cast Asian actors and actresses in mainstream roles. 이 문장에서는 다양한 단어들을 설명해주었는데요. 그 중에 상투적인/케케묵은이라는 뜻의 ‘clichéd’의 예문에서도 재미있는 표현이 나와 기억에 남네요.

이처럼 인터뷰에 ‘vocabulary & idioms’ ‘grammar’, ‘speaking training’이 붙어 있어서 더 자세히 이해하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도와주기도 하죠. 또한 전체 인터뷰를 수록해놓았고, 홈페이지(https://www.saramin.com/)에서 인터뷰 실황을 녹음한 음원을 제공해주어서 재미있게 듣고 있습니다. 자신들의 배경을 드러내는 다양한 억양과 톤이 담겨 있어서 흥미로웠고요. 글로 읽을 때보다 더욱 유쾌하고 자연스러운 분위기가 좋더군요. 특히 제가 영국억양에 관심이 많아서인지, 미국에 살고 있는 영국 보통 사람 ‘Andra Copeland’의 인터뷰 아주 잘 듣고 있습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까지 딱 한 걸음 - 여전히 사랑이 어려운 나와 당신에게
심승현 지음 / 예담 / 2017년 11월
평점 :
품절


파페포포 한정판 세트를 구매하며 받은 머그컵을 저는 필통으로 사용하고 있는데요. 사실 워낙 펜을 좋아해서 작은 서랍 하나를 다 수납용도로 사용해야 할 정도지만, 자주 사용하는 펜을 골라서 꼽아놓을 정도로 늘 가까이 두는 아이템 중에 하나에요. 그만큼 저에게 파페포포는 참 다정하고 따듯한 느낌을 주거든요. 그래서 파페포포 시리즈의 작가 심승현의 신작 <사랑까지 딱 한 걸음>이 나와서 더욱 반갑게 느껴졌습니다. 여전히 함께 쌓아가는 시간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느낌이었는데요. 그래서인지 책에 별책부록처럼 붙어 있던 엽서들에도 눈길이 가더군요. 그 소중함을 함께 만들어가는 사람들에게 마음을 전하라는 뜻처럼 느껴져서요.

기억에 남는 이야기들이 너무나 많았는데,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아픔의 무게입니다. 미래의 상점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요. 꼬마아이와 청년이 실연의 아픔을 씻어주는 약을 달라고 해요. 먼저 온 아이를 챙겨주려고 했는데, 청년은 어린 아이는 자신의 아픔보다 작을 것이라고 자신을 먼저 챙겨달라고 합니다. 그래서 아픔의 무게를 잴 수 있는 실험실에 가서 두 사람의 아픔을 재보기로 하는데, 그 무게는 같은 것이었죠. 저도 그렇지만, 많은 사람들이 다 자신의 아픔만을 챙길 수 밖에 없어요. 그 것만 들여다보기도 숨이 찰 때도 많고 말이죠.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나의 아픔이 다른 사람의 것보다 크고 깊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 심지어 저는 때로는 왜 나한테만 이런 일이!!’ 라며 탄식하기도 하는데, 그렇지 않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그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한 걸음 기꺼이 다가서는 노력이 필요하다. 눈길이 가는 곳이 아니라 마음이 머무는 곳에서 사랑이 시작되므로. P023

사랑은열 번 중에 아홉 번을 잘해줘도 한 번 못해준 것을 아쉬워하고, 열 번 중에 한 번을 잘해주면 그 잘해준 한 번을 고마워하는 것. P.039

가난의 신 페니아와 풍요의 신 포로스 사이에서 사랑의 신 에로스가 태어났기 때문이야. 세상 모든 것들에 아름다움과 추함, 좋음과 나쁨, 풍조과 빈곤, 앎과 무지가 공존하는 이유야. P.109

꿈이 이뤄지면 현실이 되고, 현실은 늘 공허하고 외로우니까. P.1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