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후의 선비들 - 광기와 극단의 시대를 살다
함규진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7년 10월
평점 :
책을 다 읽고 나니 <최후의 선비들>에 ‘광기와 극단의 시대를 살다’만큼 잘 어울리는 설명이 있을까 싶다. 그런 시대를 살아간 선비들
역시 광기와 극단의 모습을 보여줄 수 밖에 없었으리라.
책에서는 선비를 “붓으로 세상을 지배하는 사람들”이라고 하고, 선비정신을 “천하의
근심을 누구보다 먼저 근심하고, 천하의 즐거움을 맨 나중에 즐기”는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조금 더 찾아보니 세종이 유교적 정책을 추진하면서, ‘학문적으로 뛰어나고 도덕적으로 어진 인물’을 선비라고 재정의 했다는
글도 있었다. 아무래도 나에게 선비란, ‘이상향’, ‘초연’, ‘절개’, ‘초개’ 같은 단어들이 먼저 떠오르게 하는 존재이기에, 이 책을 읽으면서
많이 혼란스럽고 당황하기도 했기에, 일단 선비에 대해서 궁금했던 거 같다.
그 중에서 가장 나를 당황시켰던 인물은 바로 ‘시일야방성대곡’의 장지연이었다. 을사오적이자 친일파의 대명사 같은 이완용의 비서
이인직이나 을사늑약(을사조약)에 대한 제국 대표로 이름을
남긴 박제순 같은 인물들이 목차에 등장했을 때도 놀라웠지만, 장지연에 미치지 못했다. 제목을 보면서, 유교적 선비가 사회의 주역으로 등장한 조선시대의
마지막을 장식할 선비가 누구일까라는 생각을 하며, 위암 장지연을 떠올렸었다. 아무래도 학창시절 들었던 그 절절한 ‘시일야방성대곡’의 여운이 상당히 컸던 거 같다. 그래서 목차에서 그의 이름을 찾는
순간 이것이 주입식 역사 교육의 보람이라며 즐거워하기도 했다. 말이다.
하지만 그가 시간의 흐름과 함께 친일경향으로 변절해갔다니… 그저 광기와 극단의 시대를 탓할
뿐, 덧붙일 말이 없을 뿐이다.
물론 자신의 소신에 따라 수많은 방식으로 살아간 수많은 선비들이 있고, 또
나라를 위해 초개와 같이 목숨을 버린 선비들의 이야기도 있었다. 때로는 나라보다 유교에 충성한 인물도
있었고, 개화의 흐름에 적응하고자 노력했던 선비들도 있었다. 그렇게
격동의 시대를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살아갔던 수많은 선비들, 그래서인지 이육사가 생전에 써놓고 발표하지
않았다는 ‘편복’과 저항시인으로서 그를 기억하게 해준 ‘광야’의 시 구절들이 마음에 깊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