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토에 다녀왔습니다
임경선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9월
평점 :
일본어를 한참 배울 때, 선생님이 우리나라 말로는 ‘그립다’로 해석되곤 하는 ‘懐かしい’라는 단어가 갖고 있는 복합적인 의미를 설명하며, 교토에서의 추억을
가지고 설명을 해주었던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저 역시 교토에 대한 인상이 남다르고, 자주 방문했던 곳 중에 하나입니다. 임경선의 에세이 <교토에 다녀왔습니다>에서, 그녀는 도쿄를 감각의 도시로, 교토를 정서의 도시로 이야기 합니다. 문득 남편에게 도쿄는 정돈된 느낌이고, 교토는 단정한 느낌이라고
이야기 했던 기억도 나더군요.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면서, 더욱
그런 생각이 강해진 거 같아요. 도시의 외면도 그리고 그 도시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내면도 참 단정하고
단아하다고 할까요.

저는 교토에 가면 주로 문화유산 혹은 문학작품의 배경이 되는 곳들을 보기 위해 움직여서인지, 임경선의 교토는 또 다른 느낌을 주기도 하더군요. 특히 작가로서의
시선이 돋보일 때가 많았어요. 간사이 국제공항에서 교토로 들어갈 때 타게 되는 기차 ‘하루카’, 사람들의 일상 공간 사이를 지나가는 기차 안에서 그녀는
자신이 보고 있는 풍경 속으로 들어가서 살아가는 상상을 해요. 저도 다음에는 그런 공상에 빠져보고 싶어지더군요. 또한 저 역시 좋아하는 독립서점 ‘호호호좌’, 가타가나가 ‘ホ’가
다양하게 다가오는 곳이기도 하죠. 그녀는 에코백 애호가라서, 이
곳에서 초판, 중판, 절판이라는 글씨가 적혀 있는 독특한
에코백을 사는데요. 작가들이 혹은 편집자들이 고르는 것이 각기 다른 것도 저 역시 충분히 이해가 되더군요. 저도 이 곳에 갔다가 우키요에를 연상시키는 에코백을 구입해서 잘 썼었는데요.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이런 것조차 방향이 달라지게 되네요.
“즐거울 때는 종교가 필요 없으니 찾아오지 않으셔도 그건 그것대로
괜찮아요. 이곳을 필요로 하지 않는 상태면 오히려 다행 인 것이죠.”
조금은 뜬금없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이 책을 읽고 나니 문득 그녀가
기억하는 한 스님의 자비로운 말씀이 참 오래 기억에 남더군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