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왕조실톡 7 - 안녕, 조선 패밀리 ㅣ 조선왕조실톡 7
무적핑크 지음, 와이랩(YLAB) 기획, 이한 해설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8월
평점 :
처음 <조선왕조실톡> 1권
‘조선 패밀리의 탄생’ 접했을 때의 놀라움이 떠오르네요. 그때 제목도 “#조선왕조실톡 #꿀잼 #시간순삭” 이런 식으로 정했었는데요. 이제 마지막 7권 ‘안녕, 조선 패밀리’로 마무리를 하게 되네요. 조선시대의 정치뿐 아니라 사회와 경제와
문화 그리고 왕실뿐 아니라 백성들의 삶도 살펴볼 수 있는 위대한 기록문화유산인 조선왕조실록에 만화와 카카오톡이 결합되어 있는 조선왕조실톡은 재미있으면서도
유익한 책인데요.

물론 저자 ‘무적핑크’가
이 책은 조선왕조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대한제국을 건국하는 순간에 끝을 내면서 나름 ‘해피엔딩’으로 장식을 하겠다고 했지만요. 이미 역사가 스포일러인 상황에서 쉽지는 않은 일이죠. 순조, 헌종, 철종, 고종으로
이어지는 라인업을 보는 순간 답답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거 같아요. 그래도 유머를 잃지 않고 이야기를
끌고 가려는 작가의 노력 덕분에 책을 읽는 내내 비극과 희극의 경계선에 서 있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이한의 ‘실록 돋보기’는 여전히 실톡을 더욱 밀도있게 만들어주더군요. 서양문물을 즐겼던 고종에게 어떤 사람드은 “나라가 망하는 와중에
커피와 와플이 목으로 넘어가느냐?”며 불만을 표하곤 했다는데요. 물론
그가 망국의 군주인 것은 부정할 수 없지요. 하지만 한 나라의 흥망성쇠는 거역할 수 없는 것이죠. 이미 정조의 죽음 이후로 세도가가 득세를 하면서 나라에 망조가 들었고, 거기에
시대의 흐름에 휩쓸려버린 상황에서 그런 비난마저 덧붙일 이유는 없다는 것에 공감이 가더군요.

아무래도 왕실의 이야기가 막막해서인지, 다른 이야기들이 더욱 기억에
남더군요. 담배에 대한 이야기도 그러했는데요. “다된 밥에
재 빠트린다”가 어떤 비유적인 표현이 아니라,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담배를 즐기던 조선후기에 실제로 아낙들이 흡연을 하면서 음식에 담뱃재를 떨어트리는 것을 이야기했다니 재미있더군요. 다산 정약용과 그의 저서를 한 구절로 설명한 것도 흥미로웠고요. 또한
열녀문과 효자비가 갖고 있던 어두운 그림자는 그 어떤 괴담보다 섬찟했습니다. 열녀문이나 효자비가 세워지면
지방관은 상을 받을 수 있고, 마을은 세금을 감면 받을 수 있어서 타인의 악의에 의한 열녀나 효녀가
만들어졌다니 말이죠. ‘미망인’이라는 표현 역시 한자를 풀어보면
아직未 안 죽은亡 사람人이라는 뜻이었다니, 열녀문의 비화와 어우러져서 사용하기 싫은 단어가 되어 버렸네요.
사실 조선왕조실톡을 꾸준히 챙겨 읽다가, 조금 심심해진 느낌 때문에
6권을 안 읽었었거든요. 하지만 7권을 읽고 나서 제일 먼저 한 것은 6권을 주문한 것입니다. 조선시대의 역사를 흥미진진하게 그리고 알차게 만날 수 있는 조선왕조실톡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