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왕조실톡 5 - 두 명의 왕비 ㅣ 조선왕조실톡 5
무적핑크 지음, 와이랩(YLAB) 기획, 이한 해설 / 위즈덤하우스 / 2016년 12월
평점 :
조선왕조실록과 SNS메신저의 만남
<조선왕조실톡>, ‘두 명의 왕비’라는
부제를 갖고 있는 5권은 현종, 숙종, 경종 시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아무래도 숙종은 드라마나 영화를
통해 수없이 다뤄져서일까? 도리어 존재감이 약한 현종과 경종의 이야기에 눈길이 가기도 했다.
현종시대에는 두 번의 예송논쟁이 일어났었다. 우리는 무슨 옷가지고
저렇게 싸우나 싶었던 예송논쟁은 인조가 둘째 봉림대군에게 무리하게 왕위를 물려주면서 생긴 일이다. 재미있었던
것은 서자하면 홍길동의 영향인지, 첩의 아들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그 시절에는 둘째 이하의 아들을 말하기도 해서, 우암 송시열이 ‘효종은
체이부정體而不正’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했다. 이는 ‘서자 庶子가 후손을 이었을 경우’라는 말인데, 물론 틀린 말은 아니라지만, 그의 강한 성격이 드러난 순간이기도
하다. 2번째 예송논쟁이 일어났을 때는 현종이 왕권을 내세워 무마시켰다고 하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현종의 능력이 얼마나 부족했는지를 보여주기도 한다.
현종이 아들을 얻었을 때, 밝고 따듯한 사람이 되라는 뜻으로 불 화火자가
들어간 이름을 골랐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숙종의 성격이
불같았으니 아이러니하기도 하다. 그는 숱한 환국을 통해 당파싸움을 없애고 왕권을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이 역시 그 속을 들여다보면 조정에 인재가 사라지는 문제가 있었다. 장희빈과
인현왕후 그리고 최무수리의 이야기는 너무 익숙하니 일단은 넘겨보고, 장희빈 뿐 아니라 장희재의 비리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 탄핵을 접하게 된다. 재미있었던 것은 그 시대에도 탄핵이 가능했는데, 풍문을 근거로 할 때도 많았다는 것이다. 한명회는 107번의 탄핵을 당했는데, 그렇게 그의 정치적 입지를 줄여나간 것이
헛되지 않았음을 역사는 보여준다. 구운몽을 쓴 김만중의 장희빈과 인현왕후의 이야기를 패러디한 <사씨남정기>가 장희빈을 몰락시키는 데 기여한 것 역시
이런 소문이 날 정도면 얼마나 잘못하고 있는 것이냐라고 판단했던 것과 같은 맥락이었을 것이다. 이어서
경종, 그는 후에 영조가 되는 동생 영인군을 세자로 맞이하게 된다. 실록에도
경종이 영인군을 '삭엽數葉)으로 희롱하다'라는 구절이 있다고 한다. 그렇게 형제가 낙엽을 갖고 노는 것이 “장차 너에게 큰 벼슬을 주마”라는 뜻이었다니, 흥미로운 일이었다.
또한 제례의식에 대한 이야기도 기억에 남는다. 율곡 이이는 격몽요결을
통해 자신의 상황에 맞게 정성을 다하면 된다고 했다고 하고, 우암 송시열조차 "바다가 동쪽이니까 생선이 동쪽인가?"라는 추측을
하기도 했다. 도대체 지금 전해지는 복잡한 제례의식은 어디에서 유래된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들기도 했다. 이처럼 왕에 관련된 이야기 뿐 아니라, 다양한 시대상을 보여주는
이야기도 다루고 있어서 더욱 재미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