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이 나서 2 (2017 플래너 세트) - 그리고 누군가가 미워진다, 177 true stories & innocent lies ㅣ 생각이 나서 2
황경신 지음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6년 11월
평점 :
마치 일기장을 들춰본 기분이 든다. 물론 날짜 별로 글이 있어서도
그렇겠지만 그것만이 다는 아니다. 글을 읽다 보면 두서없이 펼쳐지는 이야기 같을 때도 있고, 그래서 때로는 남의 이야기 같고, 지극히 관념적으로 느껴질 때도
있다. 그렇게 책장을 넘기다 보면 어느새 그 언저리에서 내 마음을 들여다보기도 한다. 그래서 때로는 나의 이야기 같고 마치 내 마음을 대신 읽어주는 것처럼 감상적으로 느껴질 때도 있었다. 황경신의 한 뼘 노트는 그런 책이다. 제목도 그래서 딱 <생각이 나서>인 것일까?
어릴 때부터 작가를 꿈꾸었냐는 질문에 길어진 그녀의 대답을 읽으며, 문득
그런 생각을 했다. 나는 늘 꿈이 없이 살아왔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내 꿈은 말 그대로 직업에 대한 것이었다. 그녀가 피하고 싶었던 그 대답처럼 말이다. 그래서 꿈에 대한 이야기를 읽으며 그런 생각을 했다. 어쩌면 나는
꿈을 꾸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 그리고 그 꿈에 어느 정도 다가가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 왜 꿈을 꼭 어떤 대단한 일 혹은 직업으로 생각해왔을까 하는 아쉬움이 드는 시점이기도 했다.
세상은 넓고 책갈피는 많을텐데, 내 마음에 드는 책갈피 하나를 찾기까지의
이야기도 기억에 남는다. 그럴 때가 있다. 내 마음에 맞는
딱 그런 것을 찾아냈을 때의 작은 희열이랄까? 마치 날 위한 물건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행여 세상에서 그것이 사라질까 걱정되어 잔뜩 그 물건을 사놓기도 했다. 물론
나는 기본적으로 변덕을 장착하고 있어서인지, 결국 그것이 짐이 되버리는 경우도 많았지만 말이다. 그래도 그 순간의 기쁨은 잊지 않고 있다.
추억에 대한 이야기, 어떻게 보면 장황하게까지 느껴지는 그 길다면
긴 이야기를 읽으며. 추억이 갖고 있는 힘에 대해서 생각해보기도 했다.
그리고 덧붙이듯 작게 써놓은 그 글이 눈에 박힌다. ‘다행이야. 추억들이 여태 싱싱해서’ 처음에는 ‘어떤 의미일까…’ 계속 생각을 했었다. 그러다 친구들과 보내기에 딱 좋은 실없는 시간, 친구니까 가능한
그런 시간을 보내고 들어와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내가 살아있으니까… 그렇게 끝없이 변화하는 자연처럼 우리 역시 계속 추억을 만들어내고 있으니까…
그래서 싱싱할 수 있는 것일까?
'실없이 만나 이렇게 즐거운 자리가 많았으면 좋겠다’고 누군가 말했다. (중략) 하지만 '실없이 만난다'는 말은 왠지 다정하다. 목적도 없고 해야 할 일도 없고 열매나 뭐 그런 걸 얻을 작정도 없어 그저 좋아서 만난다는 느낌이다. 그 느낌을 안고 '실없다'는
말을 좋아하기로 한다. 실없이 만나 실없는 시간을 탕진하기로 한다.
34P
자라는 것은 기다림이고, 상념이고,
그 끝에 매달린 어린 희망이다. 암석의 틈과 틈 사이를 가늠하며 솟아오르는 마그마고, 바다 깊은 곳에서 솟구쳐 오르는 용암이다. 어떤 교훈도 늘어놓지
않고, 아무런 자랑도 하지 않으면서, 끝없이 변화하는 자연이다. 가파르고 거친 생의 비탈에 서서, 이 정도는 비탈도 아니야, 다짐하고 버티며 생명을 키워내는, 당신과 나의 오늘이다. 195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