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혼자서도 잘 먹었습니다 - 힘든 하루의 끝, 나를 위로하는 작은 사치
히라마쓰 요코 지음, 이영미 옮김 / 인디고(글담) / 2016년 12월
평점 :
"오늘은 혼자라 우리 집에 와주셨구나 생각하면 기뻐요."
1인가구의 증가로 ‘혼밥족’, ‘혼술족’이 늘고 있고, 한국에도
이런 세태를 겨냥한 식당과 술집도 속속 생기고 있다고 한다. 식당에 들어갔을 때, “혼자 오셨습니까”라는 질문보다 이런 인사를 받는다면 정말 좋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했다. 히라마쓰 요코의 <혼자서도
잘 먹었습니다>이라는 제목을 보면, 자연스레 혼밥족이
떠오를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책에는 음식과 사람들의 다양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에세이같기도 하고, 소설같기도 한데, 굳이 그 장르를 구분할 필요까지는 없지 않을까 한다. 그리고 그
속에 자연스럽게 혼자서 식사를 즐기는 사람들의 이야기도 등장한다. 마치 그들을 특별하게 생각할 필요가
없다는 듯이 말이다.
혼자서 식사를 하는 사람들은 아무래도 카운터 자리를 선호하게 마련이다. 다른
손님에게 얼굴이 보이지 않는 것도 장점이고, 주인장과 자연스레 대화를 나눌 수도 있다. 가이세키 요리편에서 음식을 조금 더 맛있게 즐기는 법을 배울 수 있다며 좋아하는 것처럼 말이다. 물론 카운터에 앉을 때는 느긋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바질리코 스파게티에서
여주인이 지적한 것처럼, 더욱 바르고 곧은 자세로 앉아야 한다는 것도 잊지 말아야겠다. 생각보다 등에도 많은 표정이 있고, 나는 식당안에 사람들을 볼 수
없지만, 그들은 내 등을 볼 수도 있으니 말이다.
가장 기억에 남는 이야기는 수프에 대한 이야기다. 나 역시 수프를
너무나 좋아하기도 하지만, 채소가 많이 들은 된장국이라도 끝까지 먹으라던 엄마의 이야기가 있었다. 어렸을 때부터 고기를 유난히 좋아하고 요즘 말하는 초딩입맛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 김밥을 잘 먹는 것을 알고 고등학교를 다니는 내내 도시락을 김밥으로 준비해주시곤 했다. 이상하게 김밥을 먹으면 그 속에 있는 야채가 거슬리지 않는 느낌이랄까? 그렇게라도
야채를 먹이고 싶었던 엄마의 마음이 떠오른다.
채소 이야기를 하다보니, 나와 비슷한 입맛을 갖고 있다가 채소가 좋아진
사람의 이야기도 생각난다. 그들이 방문한 음식점은 채소 부분에 생산지와 생산자까지 표기를 해놓고 있었다. 처음에는 뭐 이렇게까지… 라고 생각했지만, 지명을 보자 추억이 자연스레 떠올리는 모습이 기억에 남는다. 음식은
단순히 음식 그 자체가 아닐 때가 있다. 나물을 ‘오시타시’가 아닌 ‘오히타시’라고
표기한 것을 보고 도쿄답다며 자연스레 연상되는 맛에 행복해하는 것처럼 말이다. 야채를 싫어하는 딸에게
호박전을 하나라도 더 먹이려고 재미있는 놀이와 이름을 붙여주셨던 아빠의 마음이 떠오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