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찰불화 명작강의 - 우리가 꼭 한 번 봐야 할 국보급 베스트 10
강소연 지음 / 불광출판사 / 2016년 10월
평점 :
서양에서 역사에 기록될 명화로 손꼽는 작품 중에 종교화가 많고, 많은
사람들의 찬사를 받곤 합니다. 우리나라에도 아름답고 뛰어난 종교화가 많이 남아 있는데, 바로 불화(佛畵)입니다. 안타깝게도 그 동안 불화에 대해서 잘 몰랐는데, 이번에 <사찰불화 명작강의>를 통해 여러 작품들을 만나고, 상세한 설명 덕에 이해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불교에서는 ‘불교미술’이라는
용어보다는 ‘불교장엄’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장엄’이란 사원이나 법당을 아름답게 장식하는 것에 세상을 아름답게
만드는 모든 유형, 무형의 덕행까지 아우르는 표현이라고 하더군요. 고운
마음을 담아 향이나 촛불을 피워도 세상을 장엄한 것이라고 하니, 저 역시 세상을 아름답게 장식하는데
작은 기여를 했다는 생각에 뿌듯하기도 했습니다.
개인의 취향의 문제로 농후한 색감의 작품들보다는 섬세하고 은은한 작품들이 기억에 남더군요. 그 중에 하나가 쌍계사 ‘괘불’입니다. 괘불(괘불탱, 괘불화)이란, 야외에서 벌어지는 대규모 불교 의식에 사용되는 초대형 크기의
불화를 말합니다. 쌍계사 괘불재는 그 곳에 모인 모든 사람들이 보살이 되는 보살계를 받는 수계식때 등장한다고
합니다. 정말 큰 그림이었는데, 거기에 그려져 있는 그림이
화사하게 느껴질 정도로 색감이 고와서 더욱 인상적이었습니다. 또한 수계식때 등장하는 쌍계사 괘불이기에, 석가모니가 피지 않은 연꽃 봉오리를 들고 있는 것이 더욱 의미있게 느껴지더군요.
그리고 운흥사 ‘관세음보살도’도
섬세하고 투명한 느낌이 참 아름다웠죠. 아무래도 관세음보살은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이라는 말 때문에 익숙하기도 하죠. 그런데 저는
지금까지 관세음보살이 여성인줄 알고 있어서, 관세음보살도를 보며 처음에는 조금 당황하기도 했습니다. 조금 더 찾아보니 “관세음보살 중생의 근기에 따라 다양하게 몸을
나타내어 제도함으로써 32응신應身을 나타낸다”라고 하더군요. ‘근기’라는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잘 몰랐지만, 동화사의 ‘극락구품도’를
볼 때, 자세한 설명이 있었습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들여
그대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근기라고 하는데, 구품(九品 )연못은 근기에 맞추어 교화를 베풀기 위한 방법이라고 합니다. 추가 설명을 통해, 관세음보살도에 등장하는 파랑새는 한국적 토착화를
드러내는 장치라는 것도 흥미로웠습니다.
또한 가끔은 왜 불상은 금색일까라는 궁금증을 갖곤 했었는데, 이 역시
책을 통해서 알 수 있었습니다. 경전에서 부처님의 몸을 묘사하는 대목에서 자마금색, 자마황금, 염부단금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이는 상서로운 자색紫色이 감도는 최고 품질의 황금색이라고 하니 그 연유가 다 있었네요. 이 책을 읽고 나니, 다음 번에 사찰에 방문하면 불화를 조금 더
깊이 감상할 수 있을 거 같아 기대가 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