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콜라보네이션 - 시민X안희정, 경험한 적 없는 나라
안희정 지음 / 스리체어스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6년간 충남도지사로 일해온 안희정이 직접 작성한 보고서이자, 그 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직업 정치인으로서 꿈꾸는 대한민국을 담아낸 책이 바로 <콜라보네이션>이다. 콜라보네이션(collabonation)은 협력(collaboration)과 국가(nation)의 합성어로 국민이 참여해(콜라보) 이끄는 나라를(네이션) 의미한다. 그는 머리말에서 소설 ‘토지’의
한 장면을 인용한다. 나랏일이란 특수한 계층의 사람들이나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소설 속의 인물이 영
낯설지만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그만큼 국가와 시민이 분리되어 있는 나라가 대한민국이라는 생각도 들고, “누군가의 말처럼 대한민국은 여전히 대통령이라는 왕도 정치가 행해지는 나라”라는
표현에 딱히 반박을 하고 싶지 않기도 했다. 그래서 더욱 호기심을 갖고 읽게 된 책이다.
이 책의 구성은 정말 독특하다. 처음에는 무슨 암호문인가 싶기도 했던
지면이 있었다. 그런데 그 부분은 우리가 책을 읽으며 함께 채워나갈 수 있는 것이었다. 누군가가 비전을 제시하고 거기에 감탄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생각하고
함께 고민하면서 비워져 있는 부분을 채워나가는 것, 그가 생각하는 정치를 잘 보여주는 부분이기도 했다. “무엇을 어떻게 해준다는 말 대신 혼자 할 수 없으니 함께해 달라고 말하는 도지사”가 되고 싶다는 그다웠다. 물론 안희정부터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세운 자신의 신념을 담아 말할 수 있는 사람이기에 가능한 자신감이 아닐까? 안희정과 함께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었다. 특히 평소 내가 많이 생각해보지 못했던 지방자치와 농업에 대한
이야기들이 인상적이었다. 현장에서 직접 뛰면서 함께 고민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 나아갔던
발자취라 더욱 그렇게 느껴진 것 같다. 정치철학이 없는 지도자가 얼마나 위험한지 느끼고 있는 요즘, 이 책이 더욱 의미 있게 느껴졌다.
국민이 나라의 주인이므로 선거로 머슴을 선출한 뒤 머슴에게 빌지 말고 주인이 직접 나서서 주인노릇을 하자는 얘기다. (28p)
절대적 가난과 굶주림에서 벗어나기 위한 발전이 지난 세기의 발전 모델이었다면 이제는 물질과 정신이 동시에 발전해야
한다. (116p)
인서울이 아니면 모든 사람을 실패자로 만드는 뒤틀린 사회 구조를 깨야 한다. 문제의
핵심은 건드리지 않은 상태에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몇 개 세운다고 지역이 발전할 리 없다. (143p)
복지 정책에 있어 ‘내가 얼마를 줄게’라는 이야기는 애초 성립되지 않는다. 책임 있는 정치 지도자라면 복지
비전을 이야기할 때 반드시 구체적인 재원 마련 계획과 조세 정책, 복지 전달 체계 정비 계획, 경제 성장의 목표와 계획까지 함께 제시해야 한다. 그래서 복지 정책의
종합적인 틀이라 할 수 있다. (188p)
농업 문제나 통일 문제, 경제 문제,
노사 문제…… 모든 문제의 본질은 같다. 민주주의
리더십을 발휘해 민주주의가 작동하게 해야 한다. 나는 그것을 3농혁신을
통해 재확인했다. 만약 대한민국의 교육 정책을, 경제 정책을, 대북 정책을, 외교 정책을 농민들과 합의했던 것처럼 한다면 5년, 10년 내에 모든 문제가 풀릴 것이다. 이것이 바로 민주주의 리더십이다. 우리 모두가 주인이 되지 않으면
문제를 풀 수 없다. 모두를 주인으로 만드는 것이 바로 민주주의다.
(277p)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