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나고 헤어지는 것이 이렇게 어려웠던가 - 관계 맺기 심리학
옌스 코르센.크리스티아네 트라미츠 지음, 이지혜 옮김 / 와이즈베리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영화 ‘인사이드 아웃’을
정말 재미있게 봤는데, <만나고 헤어지는 것이 이렇게 어려웠던가>를
읽으며 조금 더 정교해진 ‘인사이드 아웃’을 만나는 기분이었다. 우리 안에는 은밀한 동반자가 있다. 바로 ‘평가자, 경고자, 신호전달자, 연결자, 공감자, 비교자, 보호자’가 있다. 이들은
자신만의 방식으로 우리의 내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은 ‘내면의
자아계발자’가 되어, 그들을 인식하고, 그들이 어떻게 활동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게 훈련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회피모드나 갈등모드에서 벗어나 유쾌한 기분을 주는 호의모드로
삶을 바꿔나가는 것이다.
나에게 가장 재미있게 다가온 것은 바로 ‘평가자’이다. ‘평가자’와 만나기
위해 ‘자아계발자를 위한 훈련법’을 하게 된다. 낯선 곳으로 가서 행인들을 바라보며 아무 생각도 하지 않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직접 경험하며, 평가자와 대면하게 되었다. 그리고 평소의 나를 생각해보면 평가자에게
정말 큰 권한을 주고 있다는 것을 굳이 관찰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문제는 나의 디폴트 상태라고 할
수 있는 회의모드와 평가자는 정말 찰떡 궁합이라는 것이다. 회피형 인간은 자신의 상태에 맞게 거부 신호만을
강하게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는 전략도 유용했지만, 무엇보다
자신의 성격을 그렇다고 인정하라는 것이 인상적으로 느껴졌다. 자기 자신을 재단하려고 하는 평가자를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다. 아예 ‘내성적’, ‘소심한’같은 단어도 사용하지 말고 생각도 할 필요가 없다. 내 성향을 그대로 수용하고 사랑한다는 것이, 나의 마음가짐과 행동방식을
현 상태로 유지하라는 것과는 다름을 이해하면 된다는 부분이 참 좋았다.
내 안에 있는 평가자가 나에게 자주 하는 말 중에 하나는 공감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이 아닐까 한다. 그래서 ‘공감자’에 대한
이야기도 기억에 남는다. 재미있는 것은 공감능력이라는 것은 개인의 의지에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감정이입을 하는 방식이 그저 다를 뿐이라는 조언이 기억에 남는다. ‘자아계발자를
위한 훈련법’에는 매일 어떤 문장을 소리 내어 읽어보는 방법이 많았다.
그 중에 공감자에 대한 훈련법도 있었다. “모든 사람이 생각하고 느끼는 것은 나름의 정당성을
갖는다. 자신의 뉴런 그물망으로 인해 현재 그들은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고 느끼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 말이 나에게 얼마나 힘이 되던지 말이다. ^^
삶이 내 뜻대로 되지 않는다면, 불만을 품거나 불평을 하거나 심지어
화를 낼 수 도 있다고 말한다. 다만 자신의 사고방식과 행동방식을 관찰하는 것을 절대 잊지 말아야 은밀한
동반자들을 잘 조정하는 노련한 전략가로 성장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