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집을 생각하다 - 사람이 행복한 지속가능한 집에 대한 통찰
최명철 지음 / 청림Life / 2016년 10월
평점 :
‘비정상회담’이라는 TV프로그램에서, 출연자가 도시형 한옥에 사는 모습을 보여준 적이
있다. 한옥에 대한 추억은 아주 오래된 것이라 그런지,
한옥에서의 삶이 도리어 독특해 보인다는 것이 신기했다. 집이라는 것은 삶을 담아내는
그릇과 같다는데, 한국의 전통적인 주거양식인 한옥이 낯설어 보일 정도가 되었다니… 그래서 건축가 최명철의 <집을 생각하다>에서, ‘지속 가능한 한옥의 현대화’라는 주제로 도시형 한옥이 등장했을 때 반갑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최선의 집, 최적의 집,
최고의 집, 최신의 집’이라는 4가지 테마로 다양한 형태의 주거공간을 만날 수 있는 책이기도 하다.
아무래도 가장 눈길을 끈 것은 강원도 양구에 위치한 ‘포레스트 퀸텟’이다. "자연이 집 안을 지나가도록 둘레친 집", "좋은 건축은 좋은 사람처럼 잘 어울리면서도 내면은 바르고,
멋을 내면서도 과장되지 않는 것"이라는 건축가의 말처럼 자연과 집이 어우러지고, 집과 집이 또 어우러지는 그런 곳이었다. 그리고 ‘살둔 제로에너지 하우스’도 기억에 남는다. 30년전부터 자연친화형 삶을 추구해온 이대철 선생은 그 동안의 쌓아온 지식과 지혜를 총 동원하여 말 그대로
제로 에너지 하우스를 만든 것이다. 혹독한 추위의 강원도 오지에 위치해서도, 벽난로 하나로 실내온도를 20~22도로 유지한다니 놀랍기 그지
없다.
나무 위, 물 위, 정말 다양한
곳에 위치한 집들도 있고, 특정한 취미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집도 이색적이었다. 그 중 ‘서판교 월든힐스
2단지’라는 곳이 있다. 1층이 통유리로 되어
있는 구조인데, 마치 사랑방처럼 자신들의 개성을 살려서 꾸밀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놓은
것이다. 솔직히 처음에는 미분양이 된 것이 이해가 될 정도로 낯선 공간이었는데, 사람들이 살기 시작하면서 변화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각양각색의
인테리어로 사람들이 어울리는 공간이 되면서, 새로운 공동체를 만들어가고 있다니, 궁금해지기도 한다.
그리고 가장 내 눈길을 사로잡은 것은 ‘무지개떡 건축’이다. 어렵게 말하면 ‘저층중밀도 주상복합 건축’인데,
상업과 업무 그리고 주거기능을 갖춘 건물을 말한다. 책이 많기도 하고, 수집한 혹은 직접 만든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공간도 갖고 싶고,
그러다 보니 어떤 집에서 살아야 할지 고민하게 되는데, 옆으로 넓히는 것보다 위로 쌓는
것이 더욱 현실적으로 느껴지기도 했다. 그리고 단순히 쌓는 것이 아니라, 각 층의 매력을 살려내는 무지개떡 건축이 마음에 든다. 사람들의
주거공간이 변화해나가는 모습을 짚어주는 작가의 집에 대한 생각을 읽고, 또 내가 살고 싶은 형태를
생각해보기도 하고, 정말 제목 그대로의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