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혼자 생각하는 즐거움 - 검색의 시대 인문학자의 생각법
구시다 마고이치 지음, 이용택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16년 9월
평점 :
절판
가을을 독서의 계절, 혹은 사색의 계절이라고 하지요. 이런 가을에 딱 어울리는 책이 있습니다. 바로 <혼자 생각하는 즐거움> 이 책의 저자인 구시다 마고이치는
일본의 대표적인 장서가이자 사색 수필가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책은
1955년 출판되었다가 여러 차례 복간되었고, 최근 작가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며 복간되었습니다. 책을 읽어보니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은 까닭을 알 거 같습니다. 바로 사색의 즐거움을 일깨워주는 책이거든요.
의심을 대하는 태도에 대한 이야기가 기억에 남습니다. 얼어붙은 강을
앞에 두고 고민하는 두마리의 여우 이야기가 나와요. 얼음의 두께를 신중하게 살피며 얼은 강을 건넌 여우를
보며 트라키아 사람들은 여우를 영리한 동물로 생각하죠. 하지만 중국에서는 여우를 쓸데없이 의심이 많은
동물로 생각합니다. 이런 차이가 바로 인간에게도 적응되는 것이죠. 저
역시 때로는 지나치게 신중하다는 평가를 들을 때도 있고, 때로는 지나치게 무모하다라는 평가를 들을 때도
있어서 이 부분이 인상적이었던 거 같아요. ‘신중하다’와
‘의심이 지나치다’의 경계에서 생각을 정리해보는 것이 상당히
흥미로웠습니다.
또한 노는 법에 대한 생각도 있습니다. 그는 어느 정치가의 이야기를
소개해주며 잘 노는 것에 대해 함께 생각해보자고 권합니다. 일과 놀이가 일치하면 좋겠지만, 그런 행운을 움켜쥔 사람들은 소수죠. 내가 좋아하는 일과 내가 해야
하는 일의 격차에서 고민하고 투정을 부린다고 해서 뾰족한 수가 생기는 것도 아니라는 것은 경험을 통해서 충분히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각자 즐길 수 있는 놀이를 익히면서 인간의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는 길을 찾아가자는 말이 참 의미있게
느껴졌습니다.
현대는 검색의 시대라고 합니다. 디지털 기계들은 그것을 소유한 인간의
외장하드 같은 느낌을 줄 정도이죠. 그리고 저는 그런 시대를 만끽하며 살아온 사람 중에 하나입니다. 궁금한 것이 있으면 거의 실시간으로 답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 너무나 큰 축복으로 느껴졌지요. 하지만 그러다 보니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점점 잃어간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
책에서는 여러 가지 생각의 주제를 제시하고, 거기에 대한 구시다 마고이치의 생각을 들려줍니다. 그의 깊이 있는 사색을 함께하다 보면, 생각을 하는 즐거움을 배울
수 있습니다. “구시다 선생 탄생 100주년에 복간된 이
책은 당연하게 생각하는 말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해준다” 요미우리 신문의 추천사를 정말 실감할 수 있지요.